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9104532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I부 신자에게 보장되는 궁극적 구원
1. 칭의 받은 자에게 주어지는 세 가지 복 (롬5:1-2)
2. 구원의 확신을 보장하는 환난 (롬5:3-4)
3. 성령의 밀어붙이심 (롬5:5)
4. 구원의 확신의 세 가지 근거 (롬5:6-11)
5. 아담은 오실 자의 모형 (롬5:12-14)
6. 죄의 전가를 압도하는 의의 전가 (롬5:15-19)
7. 율법의 기능, 죄의 왕국과 은혜의 왕국 (롬5:20-21)
제II부 반율법주의
8.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 (롬6:1-2)
9. 세례와 연합 (롬 6:3-4)
10. 그리스도의 죽음에 연합함 (롬 6:5-7)
11. 하나님에 대하여 살아 있는 자 (롬 6:8-11)
12. 지체를 의의 무기로 (롬 6:12-14)
13. 의의 노예 (롬 6:15-18)
14. 두 방향의 삶의 길 (롬 6:19-23)
제III부 율법폐기론
15. 두 방향의 삶의 길 1 (롬 7:1-4)
16. 두 방향의 삶의 길 2 (롬 7:5-6)
17. 율법은 죄를 알게 하는 것 (롬 7:7)
18. 탐심 형성의 도구로 악용되는 율법 (롬 7:8-12)
19. 죄를 드러내는 계명 (롬 7:13)
20. 원함과 행함의 분열 (롬 7:14-17)
21. 가장 큰 절망에서 소망을 (롬 7:18-25)
제IV부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22.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롬 8:1-4)
23. 불신자와 신자의 일반적 특성 (롬 8:5-6)
24. 불신자와 신자의 구체적 특성 (롬 8:7-11)
25. 빚진 자가 된 성도 (롬 8:12-13)
26. 성령의 인도하심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
27. 성도는 하나님의 양자 (롬 8:15-16)
28. 자녀이면 또한 상속자 (롬 8:17)
29. 영광과 비교할 수 없는 고난 (롬 8:18-22)
30. 소망과 인내 (롬 8:20-25)
31. 성령의 탄식 (롬 8:26-27)
32.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 (롬 8:28)
33. 미리 아심과 미리 정하심 (롬 8:29)
34. 구원의 서정 (롬 8:30)
35.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1 (롬 8:31-34)
36.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2 (롬 8:35-39)
저자소개
책속에서
로마서 전체 구도에서 로마서 5장은 새로운 전환점이 됩니다. 로마서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부분은 1-4장이며, 둘째 부분은 5-8장, 셋째 부분은 9-11장, 넷째 부분은 12-16장입니다.
첫째 부분인 1-4장은 칭의의 복음을 다룹니다. 둘째 부분인 5-8장은 의롭다 칭함을 받은 자들에게는 구원의 복이 확실하게 보장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9-11장은 구원의 복음을 유대인들을 위하여 재서술합니다. 12-16장은 구원의 복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살아내야 할 삶은 어떤 것인가를 서술합니다.
본문에 환난으로 번역된 헬라어 들립시스θλῖψις는 외부로부터 인간에게 주어지는 어려움을 뜻합니다. 환난은 구원과는 가장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구원과는 정반대되는 상황입니다. 누구든지 환난으로부터 빨리 벗어나고 싶어 하고 환난으로부터 구원받고 싶어 합니다. 그런데 본문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환난은 피해야 할 일이 아니라 오히려 “즐거워해야 할” 일이라고 바울은 말합니다. 바울은 환난이 하나님이 주시는 최종적인 완전한 구원에 대한 확신을 주는 강력한 장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세상 모든 사람이 자범죄를 행하기도 전에 이미 자범죄를 행한 자로 여겨지고, 이 때문에 끔찍한 사망의 형벌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은 너무나 절망적인 현실임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 무엇을 발견해냅니까? 바울은 아담의 범죄가 모든 인류에게 전가되어서 모든 인류가 자범죄를 행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범죄를 행한 자로 여겨지고 그 때문에 사망의 형벌을 받게 된 바로 그 패턴을 정반대로 뒤집으면 인류가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의를 행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의로운 자로 여겨 주시고, 구원해주시고 새로운 생명을 주시는 구원의 패턴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온 인류를 비극으로 몰아넣었던 바로 그 아담이 오실 자 곧 구원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