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915840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배움을 삶으로 이끄는 진정한 학습을 위하여
1장
지식에서 출발하여 역량으로 나아가는 수업을 위한 3가지 성찰
1. 수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실을 넘어 삶에서 움트는 배움
2. 무엇을 배우게 할 것인가? 지식과 역량, 두 날개로 나는 수업
3. 어떻게 배우게 할 것인가? 러닝 퍼실리테이션 바로 알기
(수업사례 1) 경험의 지혜를 배움으로: 학생들이 만드는 우리만의 숙제 해결법
2장
학습 설계를 위한 교사의 4가지 핵심 능력
: 공감력, 조망력, 질문력, 성찰력
1. 학습자를 이해하는 공감력
2. 학습의 큰 그림을 보는 조망력
3. 학습을 이끄는 질문력
4. 학습을 돌아보는 성찰력
(수업사례 2) 질문이 이끄는 배움의 여정: 4가지 핵심 능력을 깨우는 수업 설계
3장
러닝 퍼실리테이션 학습 설계를 위한 햄버거 모델
1. 햄버거 모델이란?: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법
(수업사례 3) 언어로 그리는 지식의 지도: 키워드 연구 활동
2. 햄버거 소스 준비하기: 수행과 평가를 연결하는 수행 평가
(수업사례 4) 대화가 만드는 평가 혁신: 월드카페와 루브릭의 만남
2. 햄버거 토핑 준비하기: 역량을 개발하는 참여 활동
(수업사례 5) 조용한 대화로 여는 그림책 세계: 깊이 있는 통합 학습
4장
러닝 퍼실리테이션 FAQs
1. 어린 학습자에게 러닝 퍼실테이션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나요?
(수업사례 6) 기억을 지식으로: 인출 훈련을 통한 줄거리 발표
(수업사례 7) 다양한 친구를 만나는 예술 수업: 시계 친구 그리기
2. 수업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까요?
3.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업사례 8) 과학자의 눈으로 세상 읽기: 헤드라인 문장 만들기
(수업사례 9) 책의 탄생 과정을 함께 걷다: 편집자와의 만남과 갤러리 워크
4. 학습해야 할 분량이 많을 때 러닝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할 수 있나요?
5. 학생들이 스스로 배운다면 수업에서 교사는 무슨 역할을 해야 할까요?
(수업사례 10) 학생이 주도하는 수학 평가 혁신: 문제 제작 프로젝트
6. 러닝 퍼실리테이션 수업에서 평가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수업사례 11) 평가 기준의 공동 설계: 학습자가 만드는 성장의 이정표
5장
수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햄버거 토핑과 세트
1. 러닝 퍼실리테이션 햄버거 토핑 20가지
2. 러닝 퍼실리테이션 햄버거 세트 10가지
에필로그
우리가 책을 쓰며 경험한 것
리뷰
책속에서
수업의 진정한 목적은 과거의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만들고, 그 지식을 삶의 여러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야말로 수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일 것입니다.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학습’이 일어나고, 그것이 삶의 다양한 영역으로 퍼져나가는 ‘학습 전이’야말로 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이 아닐까요?
<1장. 지식에서 출발하여 역량으로 나아가는 수업을 위한 3가지 성찰> 중에서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학교 수업이라는 맥락 안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바라보면, 교육은 학생들이 삶에 꼭 필요한 것을 배우도록 돕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육의 본질은 ‘무엇을 가르치는가’가 아니라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있다는 것이지요.
<1장. 지식에서 출발하여 역량으로 나아가는 수업을 위한 3가지 성찰> 중에서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가 정의하는 러닝 퍼실리테이션은 ‘학습자가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며 배움을 만들어 가도록 돕는 교수법’입니다.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자 중심, 학습의 방법으로서 동료상호작용 중심, 학습의 목적으로서 문제해결 중심이 러닝 퍼실리테이션의 세 가지 축이 됩니다. 이 책의 제목처럼 강사가 혼자 가르치지 않고 학습자가 함께 배우게 하는 교수법입니다.
<1장. 지식에서 출발하여 역량으로 나아가는 수업을 위한 3가지 성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