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트] 교양으로 읽는 용선생 세계사 1~12 세트 - 전12권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세계사
· ISBN : K372533737
· 쪽수 : 3996쪽
· 출판일 : 2017-05-12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세계사
· ISBN : K372533737
· 쪽수 : 3996쪽
· 출판일 : 2017-05-12
책 소개
인류의 탄생에서 출발해 세계 곳곳에서 인류 최초의 문명이 탄생하는 순간과 그 내용을 되짚어 본다. 세계 4대 문명으로 꼽히는 각 문명의 특징은 물론 각 고대 문명이 훗날 지역 문화권의 형성에 미치게 된 영향까지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교양으로 읽는 용선생 세계사 1~12권
저자소개
이희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뒤 내내 책 만드는 일을 했다. 과학, 철학, 교육, 역사, 음식 등 온갖 분야에 관심이 많으며 요리책의 바이블로 꼽히는 해럴드 맥기의
《음식과 요리》를 비롯해 《철학을 위한 물리학》, 《내 아이의 스무 살, 학교는 준비해주지 않는다》 등을 번역했고, 《교양으로 읽는 용선생 세계사》의 대표 필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이희건의 다른 책 >
차윤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거친 뒤 독일 뮌헨 대학교에서 중세 문학 박사 과정을 마쳤다. 『교양으로 읽는 용선생 세계사』(1-15권), 『독일 간 김에 순례』를 기획 및 집필했다. 『분도통사』(공역), 『트리스탄』, 『그리스도교의 오후』, 『내 안의 빛을 찾아』, 『요한 카시아누스의 참된 자유』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차윤석의 다른 책 >
김선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웹진 <거울> 등에서 소설을 썼습니다. 어린이 교육과 관련된 일을 시작하여 국어, 사회, 세계사와 관련된 다양한 교재와 콘텐츠를 개발했습니다.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도 낯선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글을 쓰는 것이 목표입니다.
펼치기
김선빈의 다른 책 >
박병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습니다. 사실의 나열이 아닌 ‘왜’와 ‘어떻게’라는 질문을 통해 어린이들이 역사와 친해지는 글을 쓰기 위해 오늘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박병익의 다른 책 >
김선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여러 회사에서 콘텐츠 매니저, 기획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누구나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역사책을 쓰는 것이 꿈입니다.
펼치기
김선혜의 다른 책 >
이우일 (캐릭터)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공부한 만화가입니다. 세대를 이어가며 꾸준히 사랑받는 어린이의 필독서 ‘노빈손’ 시리즈, ‘용선생’ 시리즈 외 수많은 어린이책과 어른을 위한 책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우일우화』, 『옥수수빵파랑』, 『좋은 여행』, 『고양이 카프카의 고백』, 『이우일 선현경의 신혼여행기』, 『퐅랜,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우린』, 『하와이하다』, 『파도 수집 노트』 등이 있습니다. 그림책 작가인 아내 선현경, 딸 은서, 고양이 떫보와 함께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며 살고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i00111
펼치기
이우일의 다른 책 >
김병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학사, 석사, 박사
『중국 고대의 지역 문화와 군현 지배』(저서, 1997); 『아틀라스 중국사』(공저, 2007)
펼치기
김병준의 다른 책 >
성춘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수학했으며, 충남대학교, 경희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선사고고학과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 수렵채집사회, 석기 분석, 고고학사와 관련한 글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2017년 『석기고고학』(2019년 삼불학술상 수상)을 저술했으며, 『인류학과 고고학』(크리스 고스든, 2001), 『다윈 진화고고학』(마이클 오브라이언·리 라이맨, 2009), 『기원과 혁명: 휴머니티 형성의 고고학』(클라이브 갬블, 2013), 『수렵채집사회: 고고학과 인류학』(로버트 켈리, 2014), 『고고학사(2판)』(브루스 트리거, 2019), 『빙하 이후: 수렵채집에서 농경으로, 20,000∼5000 BC』(스티븐 마이든, 2019), 『고고학의 역사』(브라이언 페이건, 2019)를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박병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서문학과를 졸업하고 멕시코국립대학교(UNAM)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보르헤스의 『세계문학 강의』(공역), 『영원성의 역사』(공역), 훌리오 코르타사르의 『드러누운 밤』 등을 옮겼다.
펼치기
박병규의 다른 책 >
이지은 (감수)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인도 델리대학교, 네루대학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함께 지은 책으로는 《탈서구중심주의는 가능한가》가 있으며 〈인도 식민지 시기와 국가형성기 하층카스트 엘리트의 저항 담론 형성과 역사인식〉, 〈반서구중심주의에서 원리주의까지〉 등의 논문을 지었습니다.
펼치기
이지은의 다른 책 >
유성환 (감수)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한 후 5년간 전문 통번역사로 활동했다. 대학원 재학 중 우연히 고대 이집트 성각문자의 매력에 빠져 독학으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에서 홀로 공부하는 것에 한계를 느껴 이집트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하고. 2005년 미국 브라운대학교 이집트학과 석박사통합 과정에 입학했다. 2012년 이집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13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고대 서아시아 전반의 문명과 역사, 언어와 예술, 종교와 문화 등을 가르치고 있다. 서사문학 작품과 장례문서, 역사적 비문, 의학 파피루스 등과 같은 고대 이집트의 주요 원전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문헌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일생의 목표로 삼고 틈틈이 원전 번역과 주해 작업을 수행해 왔다.
이집트의 종교와 문학을 주제로 지금까지 총 10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으며 2022년 『서양사론』에 발표한 논문 「고대 서아시아의 팬데믹–제1차 세계화 시대의 이집트 문명을 중심으로」가 한국서양사학회의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다. 2022년 공식 출범한 한국고대근동학회(KANES)의 창립 멤버이며 현재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아울러 2020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고대 이집트 의학에 대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2022년 KBS 1TV [역사저널 그날]에 전문 패널로, 2023년에는 tvN [벌거벗은 세계사]에 강연자로 각각 출연했다.
펼치기
유성환의 다른 책 >
박기종 (삽화)
정보 더보기
단국 대학교 동양화과와 홍익 대학교 미술대학원을 졸업했습니다. 전국 대학 미전, 충청남도 미술 대전, 산수화 공모전 등에서 입상했습니다. 동화와 소설, 광고, 잡지 등 다양한 매체에서 일러스트 작가로 활동하면서 보는 사람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천재를 뛰어넘은 77인의 연습벌레들』, 『수학 대소동』, 『과학 탐정 브라운』, 『용선생 세계사』, 『말 잘 듣는 약』, 『늦둥이 이른둥이』, 『너무 시끄러워』 등의 책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펼치기
박기종의 다른 책 >
정지윤 (구성)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문화예술, 교육 분야 기관에서 기획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아이들의 세계관을 넓히고, 다채로운 시각 자료로 구성된 역사책을 만들고 싶습니다.
펼치기
정지윤의 다른 책 >
김경진 (지도)
정보 더보기
‘매핑’이란 지도 회사에서 일하면서 어린이, 청소년 책에 지도를 그리고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 중학교 교과서 만드는 일도 했습니다. 참여한 책으로는 《아틀라스 중국사》, 《아틀라스 일본사》,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경진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