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금속문명사

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김종일, 성정용, 성춘택, 이한상 (지은이)
들녘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100원 -10% 0원
1,950원
33,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7,300원 -10% 1360원 23,210원 >

책 이미지

한국 금속문명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9254871
· 쪽수 : 519쪽
· 출판일 : 2019-11-30

책 소개

한국의 과학과 문명 15권. 선사 및 고대 과학기술의 문명사적 의의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한 책으로, 한국 과학문명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도구와 기술의 혁신 및 변화 그리고 발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 시도의 결과물이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제1장 서론 _김종일 성춘택

제2장 돌을 다듬다: 문명의 시작 _성춘택

머리말: 석기와 기술 변화를 보는 시각
■ 상자글 2-1. 최초의 돌로 만든 도구: 석기의 출현

1절 한국 선사시대 석기기술 연구사

2절 석기의 종류와 제작기술
1. 석기 제작기술의 이해
1) 석기의 종류
2) 석기 제작과 사용의 과정
2. 신석기, 청동기시대 석기의 제작과 분류

3절 석기기술의 다양성과 변화
1. 구석기시대 석기기술
1) 주먹도끼와 이른 구석기시대
2) “인류혁명”과 돌날기술
3) 돌감 사용과 석기기술의 진화
2.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석기기술
1) 돌화살촉의 제작과 사용
2) 농구와 공구: 돌괭이와 돌칼, 갈판과 갈돌
3) 석제 장신구와 옥
4) 간돌검과 청동기시대 사회의 위계
5) 석기 조성과 신석기?청동기시대 생업경제의 변화

4절 동아시아의 맥락과 사회 속에서 석기기술의 의의
1. 석기기술의 사회적 맥락
1) 석기와 선사시대 사회적 기술의 이해
2) 흑요석과 잔석기가 말하는 후기 구석기시대 사회네트워크
2. 동아시아 석기기술과 한국 선사시대의 석기

맺음말: 석기기술과 금속문명

제3장 금속을 녹이다: 금속문명의 도입과 청동기 _김종일

머리말

1절 동의 발견과 금속문명의 시작

2절 한국 청동기문화 연구에 대한 연구사

3절 청동 제작과 장인
1. 동광 산지 추정 및 동괴(copper ingot) 혹은 청동괴(bronze ingot)의 생산과 교역
2. 납 동위원소 분석과 산지 추정
3. 청동기 제작기술: 거푸집의 사용과 생산 제작기술 ? 작업연쇄의 관점에서
4. 청동 제작장인의 신분과 생산조직
5. 청동기의 주조와 공방
6. 한국 청동기 제작기술과 생산 과정의 기술사적, 사회사적 의미 ? 비교사적 관점에서

4절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청동기
1.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발전
2. 한반도 출토 청동기의 종류와 분포
1) 무기류: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동모, 동과, 동촉
2) 생산 공구류: 동부, 동착, 동사
3) 장신구류: 동포 등

5절 한국 청동기문화와 동아시아 문명
1. 한국 청동기문화와 중국 동북 지역
2. 한국 청동기문화와 일본 출토 한국계 청동기의 관계: 세형동검의 일본지역 내 확산과 초기 정치체의 형성

맺음말
■ 상자글 3-1. 한국의 이형청동기와 지배자
■ 상자글 3-2. 일본 요시노가리 유적과 한국식 세형동검

제4장 쇠를 두드리다: 우리 역사를 바꾼 혁신적인 이기, 철 _성정용

머리말: 철의 탄생과 그 중요성

1절 철 생산과 철기 제작기술: 사회를 변혁시킨 신기술
1. 철 생산 공정
1) 원료 획득
2) 제련 공정: 본격적인 철 생산
2. 철기 제작 공정
1) 주조 공정: 용해 및 주조
2) 단야 공정: 제강 및 성형단야
■ 상자글 4-1. 철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
■ 상자글 4-2. 옛날 철 생산에는 얼마나 많은 작업 인원이 필요하였을까?

2절 우리나라 제철 문화의 발달 과정
1. 신기술, 언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까?
2. 고대의 제철 양상
3. 중세의 제철 양상
1) 고고학 자료에 보이는 고려?조선시대의 제철
2) 문헌에 보이는 고려?조선시대의 제철
■ 상자글 4-3. 조선시대의 철 종류와 장인

3절 다양한 철기의 종류
1. 무기
2. 농구
3. 마구

4절 철의 사회적.기술사적 의의: 철, 과연 우리 세상을 바꾼 이기였는가?

맺음말

제5장 금과 은을 구부리고 펴다 _이한상

머리말

1절 문명의 진전과 귀금속

2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귀금속의 채광과 정련
2.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주조
2) 단조
3) 투조와 색채대비
4) 누금세공
5) 상감
6) 도금

3절 장인과 귀금속 공방
1. 고대 장인의 사회적 신분
2. 귀금속 공방과 물품 제작

4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사회사: 권력의 표상, 귀금속
1. 금은공예품의 독점과 사여
2. 금은공예품 활용방식
1) 백제
2) 신라
3) 가야

5절 고대 금은공예문화의 확산: 양식의 창출과 확산
1. 고구려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1. 부여의 귀걸이
2. 신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2. 황남대총 금은제 그릇
■ 상자글 5-3. 천마총 금은제 그릇
3. 백제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4. 무령왕기 금속용기
4. 가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5. 통일신라의 금은공예품

맺음말

제6장 결론 _김종일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저자소개

성춘택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수학했으며, 충남대학교, 경희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선사고고학과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 수렵채집사회, 석기 분석, 고고학사와 관련한 글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2017년 『석기고고학』(2019년 삼불학술상 수상)을 저술했으며, 『인류학과 고고학』(크리스 고스든, 2001), 『다윈 진화고고학』(마이클 오브라이언·리 라이맨, 2009), 『기원과 혁명: 휴머니티 형성의 고고학』(클라이브 갬블, 2013), 『수렵채집사회: 고고학과 인류학』(로버트 켈리, 2014), 『고고학사(2판)』(브루스 트리거, 2019), 『빙하 이후: 수렵채집에서 농경으로, 20,000∼5000 BC』(스티븐 마이든, 2019), 『고고학의 역사』(브라이언 페이건, 2019)를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이한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고대사 연구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일본 후쿠오카대학 인문과학연구과에서 동아시아 고고학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년 8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국립중앙박물관(공주박물관, 경주박물관, 고고부)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으로 근무하였다. 2003년 3월부터 동양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2007년 9월부터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황금의 나라 신라』(2004, 김영사), 『공예1-고분미술-』(2006, 예경), 『장신구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2009, 서경문화사), 『동아시아 고대 금속제 장신구문화』(2011, 고고), 『삼국시대 장식대도 문화 연구』(2016, 서경문화사), 『신라의 성장 과정과 복식 사여체제』(2022, 서경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성정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충남대학교 박물관 조교(1992~1999)를 거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와 일본 京都大學考古學硏究室에서 연구 활동을 수행한 다음 2004년 이래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 과정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마한과 백제의 고분과 토기, 철기, 수리 체계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가야지역의 철 생산과 유통 양상」(2018), 「마한 분구묘의 출토유물과 성격」, 『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발전』(2016, 공저), 「우리나라 선사∼중세수리시설의 유형과 발달과정」(2015), 「중원지역 원삼국시대 분묘 축조집단의 성격」(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고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유럽 선사시대 및 한국 청동기시대, 그리고 고고학 이론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아제르바이잔 가발라 유적 및 러시아 투바 공화국 아르잔 고분군 조사를 주도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Formation and Change in Individual Identity between the Bell Beaker Culture and the Early Bronze Age in Bavaria, South Germany (Oxford: Archaeopress, 2004), 「민족주의적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7), 「유럽 선사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 - 독일 남부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2015), 「유라시아 전차의 등장과 확산 과정의 고고학적 의미 - 유럽 내 전차의 확산 과정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9256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