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트렌드코리아2021"(으)로 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59896837

트렌드 코리아 2021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전망)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향은, 이준영  | 미래의창
16,200원  | 20201013  | 9788959896837
코로나가 앞당긴 미래, 더욱 빨라진 변화의 속도 바이러스發 경제, V-nomics(브이노믹스) 시대의 전략을 말하다 ‘집콕’이 일상어로 자리 잡고 비대면은 이제 누구에게나 익숙하며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이 더 어색한 세상이 되었다. 코로나가 일상이 되면서 사람들은 서서히 21세기 팬데믹에 적응해가는 중이다. 무슨 일이 벌어져도 삶은 계속되고 소비는 이루어진다. 코로나가 순식간에 큰 변화를 몰고 온 것 같아도 지금의 변화는 이전부터 서서히 진행되어왔던 것이다. 언택트, 집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온라인 쇼핑의 증가는 이미 저변이 확대되고 있었으나 이번 사태로 그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졌을 뿐이다. 『트렌드 코리아 21』은 팬데믹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하자는 뜻, 백신의 기원이 된 소의 해, 현실을 직시하되 희망을 잃지 말자는 의미에서 COWBOY HERO를 2021의 10대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했다. 날뛰는 소를 마침내 길들이는 멋진 카우보이처럼, 시의적절한 전략으로 팬데믹의 위기를 헤쳐나가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았다. 이번 10가지 트렌드의 전반적인 흐름을 설명할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모든 트렌드가 코로나 사태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트렌드는 사회의 반영이기에 매우 당연한 일이다. 본서의 첫 키워드인 브이노믹스V-nomics는 바이러스virus의 V에서 출발한 단어로 “바이러스가 바꿔놓은, 그리고 바꾸게 될 경제”라는 의미다. 과연 V자 회복은 가능할까? 기존의 가치Value는 어떻게 변할까? 언택트 트렌드의 진화는 어디까지인가? 새로운 브이노믹스 패러다임에 얼마나 잘 적응하느냐가 장기화될 코로나 시대를 이겨내는 전략을 제공할 것이다. 국내 경기는 전반적으로 K자형 양극화를 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업종별로는 V, U, W, S, 역V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나누는 기준은 대면성의 정도, 대체재의 존재 여부, 기존 트렌드와 얼마나 부합하느냐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코로나 특수형인 국내여행과 화상 커뮤니케이션, 홈웨어 시장은 역V자형으로 분류된 반면, 비대면 성향이 높고 기존 트렌드와 부합하는 온라인쇼핑과 캠핑, 호캉스, 애슬레저룩 등은 코로나 이후에도 더욱 성장이 가속화되는 S자형으로 분류됐다. 이른바 VUCA(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로 대변되는 작금의 상황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신속한 상황 파악과 이에 따른 빠른 적응을 요구한다. 쉬운 일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고 과감한 방향 선회 그리고 실패를 용인하는 관용적인 태도 또한 중요하다. 장기간의 공들인 전략과 마케팅보다는 우선 뭐라도 해보는 자세가 더 중요하다. 즉, “Done is better than perfect(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 먼저 실행하라).” 정신이 절실한 시점이다. ‘빠른 생애사 전략’을 기본으로 한 ‘피보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9791197099366

뜻밖의 투자코드 트렌드 ANTI (2021 코리아 트렌드와 2022 분출력)

정동희  | 더뷰
13,500원  | 20201212  | 9791197099366
동이 트다, 서해에서 ‘2021 코리아 트렌드와 2022 분출력’을 시장 지표와 트렌드 역학구조 분석에 의한 투자 및 트렌드 전망서이다. 중국에 쑹훙빙이 있다면, 한국에는 경제전략 정동희 작가가 있다! 더뷰의 「2021년 한국 트렌드 및 투자분석서」 ‘뜻밖의 투자코드 트렌드 ANTI(안티)’는 새로운 트렌드에 적합한 판단력과 분석능력에 의거한 사고력이 필요한 2021년의 10색 무지개를 논한다. 더 나아가 2022 분출력의 트렌드 기반까지 투자전략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트렌드 전망서 자체의 트렌드를 바꾸는 책이다.
9788959896905

2021 Consumer Trend Insights(트렌드 코리아 영문판) (Ten Keywords regarding What Consumers Want in 2021, the year of the ox)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향은, 이준영  | 미래의창
16,200원  | 20201120  | 9788959896905
영어로 읽는 〈트렌드 코리아 2021〉 해마다 출간 즉시, 종합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는 ‘검증된’ 최고의 트렌드서,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를 이제 영어로도 만날 수 있게 됐다. 명실공히 글로벌 시대, K-Pop과 K-Food에 이어 K-Trend가 이제 세계를 리드한다. 국내외 대기업 및 다국적 기업의 외국인 임원들과 국내에 주재하고 있는 외국인 비즈니스맨들과 언론사 특파원들 그리고 해외 투자자들에게는 물론이고, 국내외 비즈니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트렌디한 영어 표현에 목말라 하는 국내 영어학습자들에게도 반가운 책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 현재 뭐가 인기 있고, 한국 소비자들이 무엇을 좋아하며, 왜 달고나 커피와 아무노래 챌린지가 그토록 세계적인 인기를 끌 수 있었는지, 한국의 MZ세대가 무엇에 열광하며 그들을 왜 ‘롤코족’이라고 부르는지, 당근이 왜 먹는 당근이 아닌 것인지, 궁금해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흥미로우면서도 심도 있는 설명을 담고 있다. 영문판은 한글판을 최대한 충실히 옮기되 단어 대 단어의 직역을 피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일하는 기획자와 마케터, 디자이너, 사업가들이 보다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조정 작업을 거쳤다. 글로벌 시장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하는 한국 시장과 한국 소비자에 대한 이해는 글로벌 시장에 대한 이해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9788963221724

채용 트렌드 2021 (코로나가 바꾼 일하는 방식의 변화)

윤영돈  | 비전코리아
15,300원  | 20201123  | 9788963221724
2021년 채용 트렌드의 지각 변동에 대비하라! 취업 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2020년에 대졸 신입사원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힌 기업이 코로나19 이전(8.7%)보다 두 배 이상(19.4%) 늘었다. 많은 기업이 채용 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면서 고용 절벽에 내몰린 취준생들은 전례 없이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19는 이제 우리의 일상을 넘어 채용시장의 판도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채용의 판’이 완전히 뒤집힌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일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구직자들은 희망의 끈을 놓지 말고 채용 트렌드를 숙지하고 있어야 원하는 일자리를 얻을 수 있고 기업은 미래의 성장 동력인 인재들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커리어 코치이자 채용 전문가인 윤영돈 저자는 《채용 트렌드 2021》에서 다년간의 취업 현장 경험과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코로나로 인해 급변하는 채용시장의 흐름을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하여 국내외 채용 동향과 함께 소개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개인들은 이미 재택근무와 리모트 워크를 병행하면서 일과 가정을 통합하였고, 주요 대기업들은 공채 대신 수시·상시채용으로 화상면접을 통해 직원을 선발하는 중이다. 또한 멀티커리어리즘 시대가 되면서 여러 가지 직업을 통해 다양한 기회가 생겨나고 있기도 하지만, 취업을 앞두고 있었던 Z세대는 코로나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상황이다. 채용 트렌드는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지속적인 특성이 있다. 취업을 위해 일시적으로 채용 트렌드를 알아야 하는 것도 있지만 취업 이후에도 채용시장의 흐름을 계속 주목한다면 새로운 기회를 잡고 성과로 연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세상은 계속 변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일해야 한다. 그러자면 이 책에서 제시하는 채용 트렌드를 통해 코로나가 바꾸는 세상을 계속 주시하면서 앞으로 새롭게 일어날 변화를 예측하고 지각 변동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검색어 "트렌드코리아2021"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