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복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통 부채 연구가이자 경기도 우수 공예인 제4호로, 2000년 경기 으뜸이로 지정되었다. 수십 년 동안 별전, 부채 등 우리 민속품을 수집했다. 전국고예품경진대회에서 상공부장관상, 제9회 전승공예전에서 문화재위원장상 등 다수의 수상경력과 서울타워, 교보문고,현대백화점 등에서 수십 회 국내 초대전과 해외전을 가졌다. 2006년에는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에서 <아름다운 한국의 별전> 이라는 특별전을 갖기도 했다. 저서로 <목각교본>, <전통 부채>, <옛 안경과 안경원> 등이 있다.
펼치기
김매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사)창무예술원 이사장, 무용월간지 《몸》 발행인, 창무국제공연예술제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이화여대 체육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무용을 전공했다. 한국창작춤의 틀을 마련하였으며 제1대 한국무용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궁중무용, 불교의식무용, 민속무용, 무속춤 등을 섭렵했으며 무형문화재 제27호 한영숙류 승무의 이수자이기도 하다. 1993년부터 매년 창무국제예술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창무예술단은 세계 각국의 초청을 받아 800여 회 이상 해외공연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전통무용과 한국창작춤 등 우리 춤의 세계화를 통해 K컬처를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춤》(1990), 《한국무용사》(1995), 《춤의 김매자》(2014) 등이 있으며 《세계무용사》(1983)를 번역했다. 1993년 월간 무용잡지 《몸》을 창간해 2023년 9월 현재 345호를 발행했다.
펼치기
김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생. 경기여자 중.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생활미술과를 졸업하고 중요무형문화재 22호 한국매듭장 김희진에게 사사하였다. 매듭전수교육을 이수한 뒤 서울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공예학과를 졸업하였고 서울시 무형문화재 13호 매듭장으로 지정되었다. 국전, 인간문화재공예전, 전승공예전에서 국무총리상을 비롯해 여러 차례 수상하였고, 또 신사임당상, 옥관문화훈장, 경기인상을 수상하였다. 여섯 번의 국내·해외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 해외 초대전에 참여하였다.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 출강하였고, 서울산업대학 조형대학 겸임교수, 전통공예학교 교수, 한국매듭연구회 부회장, 녹미회 회장, (사)서울시 무형문화재기능보존회 이사장, (사)녹미미술문화협회 이사장, (사)궁중복식연구원 부원장을 역임하였다. 전승공예대전과 청주공예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현재 (사)한국민속박물관회 부회장과 간송C&D 대표직을 맡고 있다.
[작품소장]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세종대왕기념관, 여주
빅토리아 앤 앨버트 미술관, 런던
바티칸 미술관, 로마
우라센케 자료관, 교토
비엔나 민속박물관, 비엔나
시애틀 동양예술박물관, 시애틀
[저서]
『전통매듭』, 대원사, 1989
『우리나라 매듭』, 진화, 1989
『매듭』, 가나아트, 1995
『매듭』,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1
『김은영 매듭』, 가나아트, 2003
펼치기
정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상과와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문화재관리국장, 문화체육부 생활문화국장을 역임했다. 현재 문화재위원, 문화재보호재단, 문화재조사연구단장으로 있으며,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겸임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전통 원>, <한국의 옛조경>, <보길도 부용동원림> 등이 있고 공저로 <동양조경사>, <북한의 문화유산>이 있다.
펼치기
조효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은 책으로 <복식>, <생활한복>, <한국복식풍속사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한영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1회 서울미술제 공예 부문에서 특선 및 입선, 대상을 받았다.
현재 서울미술제 초대작가 및 공예 부문 심사위원이며 한국 자수문화협회 이사로 있다.
펼치기
장숙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의류직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여대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5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직물학과 교수 및 동대학 담인복식미술관 관장으로 있다. 여러 차례 전통 장신구 해외 전시를 가졌고 전통 장신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지은 책으로 <전통 장신구>, <전통 남자 장신구>가, 논문으로 '우리나라 망건식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