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나무

소나무

(한.중.일 문화코드읽기, 비교문화상징사전)

김충영, 김현자, 심경호, 윤열수, 이어령, 전영우, 조희웅, 진태하, 방병선, 허균, 정양모, 배재수, 이종철, 다카시나 슈지, 장숙환, 강석원, 안동준, 김문성, 김상환, 김종덕, 이상희, 홍윤식, 이규태 (지은이)
종이나라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나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나무 (한.중.일 문화코드읽기, 비교문화상징사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8897622401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05-06-10

책 소개

한중일 삼국의 소나무의 어원과 언어적 고찰을 통해 소나무의 가치를 투명하게 들여다본다. 유래와 관련한 이칭, 별칭, 부분별 명칭 및 서양에서의 표기, 용도까지 객관적 사실을 중심으로 기술하며 종교와 사상, 문학과 사상, 그림과 예술 등에 나타난 소나무의 모습을 서술한다.

목차

매화

1. 종교.사상으로 보는 매화
2. 문학 속의 매화
3. 회화와 공예품으로 보는 매화
4. 생활 속의 매화
5. 오늘날의 매화

소나무

1. 종교와 사상으로 보는 소나무
2. 문학.설화로 보는 소나무
3. 그림과 도자 그리고 민화와 조각으로 보는 소나무
4. 생활 속에서 보는 소나무
5. 오늘날의 소나무

대나무

1. 종교.사상으로 본 대나무
2. 문학 속의 대나무
3. 미술로 본 대나무
4. 생활 속의 대나무
5. 오늘날의 대나무

국화

1. 종교와 사상으로 본 국화
2. 문학 속의 국화
3. 미술로 본 국화
4. 생활 속의 국화
5. 오늘날의 국화

난초

1. 종교와 사상으로 본 난초
2. 문학 속의 난초
3. 미술로 본 난초
4. 생활 속의 난초
5. 오늘날의 난초

저자소개

김충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 졸업(1963) Naval Post Graduate School, OR/SA 석사(1977) Arizona State University, 산업공학 박사(1983) University of Iowa 교환교수(1990) 국방대학교 교수(1983-2000) KISTI Reseat Program 전문연구위원(2006-2018) 현) 국방대학교 명예교수/한국시니어과협 평위원 [저서] 「통합국가안보전략과 국방과학․정보」(2000) 「선형계획법」(1997,1999,2003) 「네트워크 이론과 응용」(1999,2006) 「非線型計劃法」(2005,2010) 「군사 OR 이론과 응용」(2004,2010) 「전쟁영웅들의 이야기」(고대 동양편)(1997,2003,2012) 「전쟁영웅들의 이야기」(고대 서양편)(2005) 「전쟁영웅들의 이야기」(고대 중서 아시아편)(2010) 「전쟁영웅들의 이야기」(소국과 대국편)(2020) 「전쟁영웅들의 이야기」(근대 현대편)(2021)
펼치기
김현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비평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1974년 「아청빛 언어에 의한 이미지」로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학비평가로 활동해왔으며, 한국시학회 회장, 한국기호학회 회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장을 지냈다. 텍스트의 심미적 구조와 수사적 장치를 규명하는 내재적 문학 연구 방법을 선구적으로 개척해온 대표적인 학자로 손꼽힌다. 한국문학의 근원적 상상력과 미적 구조를 밝히는 연구로 이화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시와 상상력의 구조』, 『아청빛 길의 시학』, 『한국 현대시 읽기』, 『한국시의 감각과 미적 거리』, 『현대시의 서정과 수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서정주 시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 「한국 여성시의 계보」, 「한국 선시의 미적 거리」, 「한국시 전통의 계승과 확장」, 「한국 여성시의 존재 탐구와 언술 구조」를 비롯한 8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심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55년 충북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및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학 입문』 『김시습 평전』 『안평』 『김삿갓 한시』 『내면기행』 『산문기행』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호, 주인옹의 이름』 30여 종이 있다. 역서로 『주역철학사』 『서포만필』(상·하)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1~3) 30여 종이 있다.
펼치기
윤열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조선후기 산신탱화(山神幀畵) 연구』로 석사 학위를, 『문자도(文字圖)를 통해 본 민화(民畵)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밀레박물관과 삼성출판박물관 학예실장, 가천박물관 부관장 등을 역임했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민화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2014년에는 한국 민화 해외 전시 관련 공로가 인정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2002년에는 수집한 민화를 일반인에게 공개하기 위해 가회민화박물관을 개관했다. 이곳은 민화 2700여 점을 비롯해 전적류, 무신도 등 총 3500여 점의 자료가 소장·전시되어 있으며, 일반인을 위한 민화아카데미 등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민화, 벽화 등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지은 책으로는 『한국호랑이』(열화당, 1986), 『장승과 벅수』(대원사, 1991), 『산신도』(대원사, 1998), 『용, 불멸의 신화』(대원사, 1999), 『신화 속 상상동물 열전』(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0), 『알고 보면 반할 민화』(태학사,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어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11월 13일(음력, 호적상 1934년 1월 15일)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능소凌宵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이화여대 석좌교수, 동아시아 문화도시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 여러 신문의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월간 『문학사상』의 주간으로 편집을 이끌었다.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을 주관했으며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다. 대표 저서로 『지성에서 영성으로』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축소지향의 일본인』 『생명이 자본이다』 『젊음의 탄생』 등이 있고, 소설 『장군의 수염』 『환각의 다리』와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펴냈으며, 희곡과 시나리오 「기적을 파는 백화점」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사자와의 경주」 등을 집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2022년 2월 26일 별세했다.
펼치기
전영우 (감수)    정보 더보기
1951년 경남 마산 출생. 고려대학교 임학과와 대학원에서 산림학을 전공했다.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에서 5년간 근무한 후,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에서 산림생물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명예교수와 (재)동숭학술재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문화의 창으로 숲을 읽고 해석하여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글쓰기를 시작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그의 글이 실린 것을 보람으로 여긴다. 그가 쓴 여러 권의 저작은 대한민국 학술원, 환경부, 문화관광부, 서울시교육청, 한국출판인회, 간행물윤리위원회, 환경정의시민연대, 동아일보, 문화일보, ‘책으로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교사들(책따세)’ 등의 추천도서나 우수도서, 세종도서로 선정되는가 하면, 불교출판문화상, 가장 문학적인 학자상 등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는 《조선의 숲은 왜 사라졌는가》, 《숲과 한국문화》, 《나무와 숲이 있었네》, 《숲 보기 읽기 담기》, 《한국의 명품 소나무》, 《궁궐 건축재 소나무》, 《한국의 사찰 숲》, 《송광사 사찰 숲》, 《우리 소나무》, 《한 산림학도의 글쓰기》 등이 있고, 그 밖에 《森と韓國文化》(일본어판), 《The Red Pine》, 《Forests and Korean Culture》(영어판) 등을 펴냈다.
펼치기
조희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1971), 《한국구비문학대계》[서울 도봉구 편(1980), 경기 의정부 남양주군 편(1981), 경기 안성 군 편(1982), 경기 용인군 편(1984)],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경기북부구전자료집 1》(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2002), 《영남 구전자료집》(8책, 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3책, 공편,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2책, 2006), 《이야기문학 실타래》(2008), 《이야기문학 가을갈이》(2008), 《경판 조웅전》(2008), 《이야기문학 징검돌》(2009), 《완판 조웅전》(2009), 《이야기 망태기》(2책, 2011),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25책,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74책, 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소도시 기행》(공저, 2020) 등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약 백여 편의 논문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다.
펼치기
진태하 (엮은이)    정보 더보기
雅號 : 淸凡 충청북도 忠州市 출생 忠州고등학교 졸업 서울문리사범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석사 중화민국 국립대만사범대학 대학원 중국문학과 박사과정 졸업 國家文學博士 중화민국 國立政治大學 초빙교수 홍콩 珠海大學 초빙교수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국어교육학회 회장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국제한자진흥협의회 회장 月刊 『한글+漢字문화』 발행인 겸 편집인 (社) 全國漢字敎育推進總聯合會 理事長 2018년 3월 27일 서거 저서(著書) 『鷄林類事硏究』, 『接尾辭硏究』, 『古典文學』, 『生活漢文』, 『아, 白頭山』, 『東方文字뿌리』, 『漢字를 가장 쉽게 익히기』, 『IQ EQ 도전 漢字1, 2, 3. 部首篇』, 『완전정복 就業 漢字』, 『高麗朝語硏究』(編著), 『漢字의 핵 300字』, 『陳박사와 新나는 千字놀이』, 『漢字學全書』, 『學術論文의 穿鑿』, 『論說文의 構想』, 『文藝文의 鑑賞』, 『韓中歷代名文鑑賞Ⅰ·Ⅱ·Ⅲ』, 『漢詩와 抒情의 샘물』, 『韓中日 共通漢字 808字』, 『漢字의 뿌리 300字』, 『行書帖 韓中日 共通漢字 808字』, 『新千字文』, 『漢字는 우리의 조상 東夷族이 만들었다』 등
펼치기
방병선 (감수)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 학사와 석사,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0년 3월부터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학연구소장, 대만예술대학 초빙교수, 인문대 학장, 인문정보대학원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와 충청남도, 세종시 문화재위원, 문화재청 문화재 감정위원 및 전문위원,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백자연구』, 『순백으로 빚어낸 조선의 마음, 백자』,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중국도자사연구』, 『도자기로 보는 조선왕실문화』, 『한국도자사전』(공저) 등이 있고, 60여 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허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학미술사학을 전공해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편수연구원, 우리문화연구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국립문화재연구소 외 부용역과제 평가자문위원,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심사위원, KBS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과 한국민화학회 고문이다.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사찰 100美 100選』 『한국의 서원, 넓고 깊은 사색의 세계』 및 공저로 『전북문화 찾아가기』 『충남문화 찾아가기』 『전남문화 찾아가기』 등을 비롯해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정양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대표적인 미술사학자로, 193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호는 소헌(笑軒)이다. 1958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62년부터 38년간 국립중앙박물관에 근무하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국립경주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냈다.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소장, 경기대학교 전통예술감정대학원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 국민대학교 문화예술사료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미술발전연구소를 열고 도자 연구를 거듭하며, 후학 양성과 저술에도 힘쓰고 있다. 저서로 『한국 도자 감정(전3권)』 『한국의 도자기』, 『너그러움과 해학』, 『조선시대 화가 총람』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백자론」, 「조선 전기의 화론」, 「18세기 청화백자에 대하여」 등 다수가 있다. 문화유산 보호 공로로 은관문화훈장(2005년)을 수상했다.
펼치기
배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일제의 조선 산림정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이용과 보전의 역사를 지속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임정사(편역)』(2001), 『조선후기 산림정책사』(2002),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2010), 『조선후기 산림과 온돌』(2020), 『일제강점기 산림정책과 산림자원의 변화』(2021), 『광복 이후 산림자원의 변화와 산림정책』(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고고인류학을 전공하고 영남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문화재연구소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을 거쳐 1986년부터 1994년까지, 다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국립한국전통문화학교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우리 민족 문화에 관한 글을 많이 썼고, 작품으로는 <서낭당> , <장승> 들이 있다.
펼치기
다카시나 슈지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 도쿄에서 태어나 1953년 도쿄대학교 교양학부를 졸업했다. 파리 제1대학에서 서양 근대미술사를 전공하고 도쿄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를 지냈다. 이후 국립서양미술관 관장, 도교대학교 명예교수, 파리 제1대학 명예교수, 오하라 미술관 관장, 교토조형예술대학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슈발리에장, 오피시에장, 레지옹 도뇌르장을 받았고, 일본 정부로부터 문부대신상, 자수포장紫綬褒章, 문화훈장을 받았다. 일본 미술사학계의 수장으로서 100여 권이 넘는 저서를 펴냈다. 우리말로 옮겨진 책으로는 《일본인에게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미의 사색가들》《최초의 현대 화가들》《예술과 패트런》《내 마음의 색깔이야기》《명화를 보는 눈》《만화 서양미술사》가 있다.
펼치기
장숙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의류직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여대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5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직물학과 교수 및 동대학 담인복식미술관 관장으로 있다. 여러 차례 전통 장신구 해외 전시를 가졌고 전통 장신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지은 책으로 <전통 장신구>, <전통 남자 장신구>가, 논문으로 '우리나라 망건식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강석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국대학교 일문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안동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경상대학교 국문과 교수. 주요 논저 『도교와 여성』 『도교문화15강』 「고구려계신화와 도교」 「고조선지역의 무교가 중원 도교문화에 미친 영향」 「북방계 신화의 신격유래와 도교신앙」
펼치기
김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현재 경서도명창 고 김옥심추모사업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학자. 한학漢學을 수학하다가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한문학을 전공했다. 대학과 문화원 등 여러 기관에서 고전을 강의했다. 《국역 학교등록學校謄錄1》부터 《국역 각사등록各司謄錄56(전라도편 2)》까지 10여 권을 번역했고, 《표암 강세황》, 《전통 회화 최후의 거장, 의재 허백련》, 《공재 윤두서》, 《밀양 표충사 서간첩, 표충사 중창주 남붕 대사에게 보낸 사대부들의 편지》 등 다양한 고문헌을 번역·탈초脫草·해제하였다. 현재 고문헌연구원을 운영하며 서울 종로구 인사동과 경북 안동에서 한시漢詩.초서草書.《주역周易》 등 고문헌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김종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현재 순천향대학교 및 열린사이버대학교 강사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이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건설부 장관 직을 역임했다.
펼치기
홍윤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펼치기
이규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전북 장수에서 출생하여 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1959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하여 문화부, 사회부, 편집부 국장을 역임하였다. 조선일보 논술위원으로 활동하며 1983년 3월 1일 <명월관 이야기>를 쓰기 시작하여, 2006년 2월 23일자 신문에 독자들에게 보내는 고별사를 싣기까지 모두 6,702회의 <이규태 코너>를 써서 국내언론 사상 최장기 연재집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자신만의 원칙을 고수하며 수십 년간 독자와의 약속을 단 한 번도 어기지 않았던 성실한 언론인으로 큰 족적을 남긴 그는《한국인의 의식구조》등 120여권의 저서를 남기면서 한국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학자로 평가받는다. 2006년 2월 별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