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01088839
· 쪽수 : 543쪽
· 출판일 : 2008-10-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감성지능,그 10년의 역사
한국어판 서문 : 능력이 아닌 관계에 주목하라
10주년 기념 특별한 서문 : 성공과 행복의 키워드,감성지능
서문 : 아리스토텔레스의 도전
1.감성두뇌
Chapter 1 감성은 왜 생겨났는가? : 정열이 이성을 압도할 때
Chapter 2 돌발감정의 해부 : 감정은 순간적인 계획이다
2.감성지능의 본질
Chapter 3 똑똑한 바보 : 높은 IQ가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
Chapter 4 결정에 앞서 감정을 다스려라
Chapter 5 분노,불안,우울에 대처하기
Chapter 6 스스로 동기부여하는 힘
Chapter 7 감정이입의 근원 : 아동학대자의 정신,정신이상자의 도덕
Chapter 8 인간관계의 기술 : "우린 너를 싫어해"
3.감성지능 실전편
Chapter 9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위한 감성지능 : 화성 남자,금성 여자의 결혼
Chapter 10 최고 기업을 위한 감성경영 : 공동 목표를 추구하도록 설득하는 기술
Chapter 11 정신과 의학 : 관계에 초점을 맞춘 자료
4.기회의 창
Chapter 12 가정교육과 감성지능 : 말썽꾸러기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Chapter 13 정신적 외상과 감성 재교육 : 새로운 감성 회로를 만들다
Chapter 14 기질은 바꿀 수 있다 : 경험을 통한 감성교육
5.감성교육의 세계
Chapter 15 낮은 감성지능의 대가 : 문제아를 위한 학교
Chapter 16 학교에서의 감성교육 : 감성 성장의 시간표
부록 1 감성이란 무엇인가?
부록 2 감성적 정신의 특징
부록 3 두려움의 신경회로
부록 4 W.T.그랜트 협회 : 예방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부록 5 자아과학 교육과정
부록 6 사회성 학습과 감성학습 : 결과 보고서
주(註)
참고 자료
감사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인간은 완전히 성숙한 두뇌를 갖고 태어나지 않는다. 두뇌는 탄생 이후 계속해서 스스로 모양을 갖추어 가는데, 어린 시절에 가장 맹렬하게 성장한다. 아이들은 성숙한 두뇌가 보유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신경세포를 지니는데, ‘가지치기’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사용이 줄어든 신경세포의 연결은 없애고, 많이 활용되는 시냅스의 회로에는 강력한 연결을 구축한다. 관련 없는 시냅스를 제거함으로써 가지치기는 ‘소음’의 원인을 없애 두뇌 안에서 신호 대 소음의 비율을 개선해 나간다. 이 과정은 일정하고 빠르게 진행된다. 시냅스의 연결은 몇 시간이나 며칠 만에 형성될 수 있다. 경험, 특히 어린 시절 경험이 두뇌를 조각한다. - (본문 369쪽)
프린스턴 근처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싱크 탱크인 벨 연구소에서 진행되는 스타급 연구원들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자. 이 연구소는 IQ가 최고인 기술자와 과학자들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이런 재능의 보고(寶庫)에서도 스타로 떠오르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보통의 성과만을 내는 사람도 있다. 스타들과 그 밖의 사람들 사이에 차이를 낳는 것은 그들의 IQ가 아니라, 역시 ‘감성지능’이다. 스타들은 스스로 훨씬 동기부여를 잘할 수 있고, 비공식 네트워크를 특별한 목적을 위한 조직으로 더욱 잘 활성화할 수 있다. - (본문 277쪽)
초등학교 2~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호감을 사는 아이들의 26퍼센트도 이미 어울려 노는 무리에 들어가고자 했을 때 퇴짜를 맞은 적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 무리에 들어가기 위한 로저의 책략은 우선 무리를 관찰하고, 그런 다음 다른 아이가 하고 있는 것을 모방하고, 마지막으로 그 아이에게 말을 건네 완전하게 그 활동을 함께하는 식이었다. 이는 승리를 보장하는 책략이다. 로저의 기술은, 예를 들어 워런과 함께 ‘폭탄(실제는 조약돌)’을 양말에 넣는 놀이를 할 때 잘 드러난다. 워런이 로저에게 헬리콥터를 타고 싶은지, 비행기를 타고 싶은지 묻는다. 그러자 대답을 하기 전에 로저가 묻는다. “넌 헬리콥터를 타고 있니?”
해치는 로저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로저는 놀이친구들에게 ‘입회 신청’을 합니다. 그 결과 그들과 그들의 놀이는 연결을 유지하게 되죠. 반면 많은 다른 아이들은 그저 자기 헬리콥터나 비행기에 타고 서로에게서 멀리 달아나버리죠.” - (본문 218~22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