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60505474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8-08-27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5
머리말•8
1부. 자기연민 발견하기 21
1. 자기에게 친절하기•22
고통 쪽으로 향하기•27 | 저항할수록 지속된다•31 | 중도 찾기•44 | 수용 단계•49 | 수용에서 자기연민으로•53 | 쉽게 생각하자•57
2. 몸에 귀 기울이기•60
마음챙김의 길•61 | 마음챙김 수행 시작하기•69 | 몸에 대한 마음챙김•80 | 명상을 꼭 해야 할까?•82 | 일상생활에서 마음챙김 수행하기•89
3. 힘겨운 감정 다루기•95
우리는 어떻게 고통을 초래할까•97 | 몸에서 일어나는 감정의 닻 내리기•100 | 감정에 꼬리표 붙이기•106 | 정신적 외상 다루기•120
4. 자기연민이란 무엇인가?•123
나의 자기연민은 어느 정도일까?•125 | 자기연민은 자연스러운가?•127 | 자기연민은 이기적인가?•130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135 | ‘자기’ 돌보기•139 | 이 연구는 무엇을 보여줄까?•148
5. 자기연민에 이르는 길•152
자기연민의 다섯 가지 경로•153 | 해치지 않기•167 | 음미하기•170 | 긍정적 감정 키우기•173 | 어린 시절의 뿌리들•182
2부. 자애 수행하기 189
6. 우리 자신 돌보기•190
자애의 간략한 역사•191 | 마음챙김과 메타의 혼합•194선한 의지와 좋은 느낌•199 | 말의 힘•201 | 자신에게 향하는 길 찾기•206 | 세 가지 요소의 조화 속에 싹트는 자애•213 | 역류•220 | 기도처럼•224 자리에 앉지 않고 해보기•226 | 메타가 아닌 것•231
7. 다른 사람 돌보기•234
연결감을 맺는 법•237 | 다른 사람을 위한 메타•243자신을 잃지 않고 타인 사랑하기•261 | 길에서 명상하기•268
3부. 나에게 꼭 맞는 자기연민 수행하기 281
8. 자기균형 찾기•282
지금‐여기에 존재하기•283 | 당신은 어떤 성격 유형인가?•285 | 무엇이 우리를 방해하는가?•304 | 한꺼번에 손쉽게 처리하기•310
9. 앞으로 나아가기•322
당당하게 새로운 틀 짜기•323 | 자기연민의 단계•324 | 전념의 힘•331 | 명상 수행 지속하기•334 | 수행할 때 더 고려할 사항•338 | 진행 단계 측정하기•352 | 새롭게 시작하기•356
|부록1|그 밖의 자기연민 수행법•358
|부록2|참고도서 및 자료•38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불쾌한 감정과 맞닥뜨릴 경우, 우리는 그것이 마치 외부의 적이라도 되는 양 본능적으로 맞서 싸운다. 하지만 이러한 내면의 다툼은 사태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 날카로운 송곳니를 가진 호랑이한테서 살아남는 데 효과적인 대처법이 정서생활에서는 아무런 쓸모가 없는 듯하다. 불안과 맞붙어 싸우면 공황상태에 빠질 수 있다. 슬픔을 억누르면 만성 우울증에 걸릴지 모르며, 잠들려 애쓰다 보면 밤을 꼬박 새울 수도 있다.
고통에 사로잡히는 경우에도 우리는 자신에 맞서 전쟁을 치르려 한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싸우거나 도망치거나 제자리에서 꼼짝 않기 따위로 위험에 맞서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대응하면 자기비난, 자기고립, 자기매몰이라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상처받은 감정을 치유하는 방법은 심리학자 크리스틴 네프가 설명한 대로 자기친절, 세상 사람들과의 연결감, 균형 잡힌 자각으로 우리 자신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자기연민이다.
_ ‘머리말’ 중에서
불행히도 우리는 스스로를 속일 수 없다. 미셸의 마음속에는 “나는 불안감을 덜기 위해 수용을 훈련하고 있어”라고 속삭이는 면이 있었다. 그런 건 수용이 아니다.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수용이란 ‘우리 내면에서 순간순간 생겨나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을 뜻한다. 수용의 대상은 우리가 좋아하는 감정일 수도 있고 싫어하는 감정일 수도 있다. 좋아하는 감정은 간직하고 싫어하는 감정은 없애길 바라는 게 자연스럽지만, 아쉽게도 그런 목표에서 출발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 우리의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문제가 무엇이든 우선 충분하고 온전하게 그 문제를 경험하는 것이다. 그런데 미셸은 이 부분을 건너뛰고 싶었던 것이다.
_ ‘1. 자기에게 친절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