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01116457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1-01-13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프롤로그
1장 탈러의 사과 : 과도한 가치폄하 현상
리처드 탈러의 사과 선택 실험
보상일이 가까울수록 인내심을 잃는 ‘과도한 가치폄하 현상’
일상의 선호 역전 현상(1) : 자연분만 VS 유도분만
일상의 선호 역전 현상(2) : 아이들의 마시멜로 선택 실험
선호 역전 현상을 제어하는 자기 결박 계약
약속 실천 계약은 언제 필요한가?
동물도 자기 결박이 가능할까?
자신을 아는 것이 독이 될 수도 있다
2장 유인 VS 약속 실천 계약 : 선택을 유도하고 선택을 차단한다
1만 2,000달러의 벌금
성과에 따른 보상과 처벌
유인은 더 나은 선택을 유도한다
투자 대비 더 큰 이익을 가져온 보조금 정책
약속 실천 계약은 선택 범위를 축소시킨다
약속 실천을 강제하는 당근과 채찍
부자 삼촌과 맺은 계약
전통적 유인의 문제점
3장 손실이 더 커 보인다 :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너무 강한 채찍은 참여제약을 부른다
손실회피 경향을 이용한 프레이밍
당근 효과를 극대화하는 설계법 : 케빈 볼프의 체중 감량 실험
당근과 채찍을 함께 체공하는 방법
흡연 권리를 팝니다
그것이 바로 프레이밍 효과다!
약속 실천을 위해선 때로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
4장 혼자 할 수 없다면 도움을 요청하라 : ‘누구와’ 함께할 것인가?
당근 유인의 역효과 : 충분한 돈을 주거나, 아예 주지 마라
채찍 유인의 역효과 : 그니지 교수의 어린이집 실험
싫어하는 안티단체에 돈을 기부한다?
다른 사람을 따라하게 되는 또래 압력
자기 협박의 놀라운 효과
‘창피’라는 당근
당신의 약속을 누가 지켜봐줄 것인가?
사회가 개인의 약속 실천에 미치는 영향
5장 유지하기와 마음다잡기 : ‘결과’는 어떠해야 하는가?
마음다잡기가 중요한 이유
규칙적인 자기 감시의 필요성
자신에게 가장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라
성공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켜라
약속 실천 계약에 최적의 탄력성을 부여하는 법
단계적 접근법 : 스키너의 비둘기 먹이 실험
6장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약속
신호를 보내는 약속
선별 기능을 하는 약속
인증 기능을 하는 약속
현실적 이익을 제공하는 약속
대규모의 공익적 약속
실행을 금지하는 약속
7장 약속 계약에 제동을 거는 요소들
순진한 계약자의 문제점
약속 계약에 제동을 거는 요소들
중독 전이 현상
오바마 대통령은 계속 담배를 피워야 할까? : 자제력 고갈 현상
자율 규제 능력은 훈련을 통해 강해질 수 있다
자율 규제 능력은 재량껏 사용할 수 있다
약속 실천과 행복의 관계
8장 약속 실천 계약 가게
스틱K의 출범
약속 실천 계약의 고객은 누구인가?
스틱K의 시장성 테스트
지어 놓으면 찾아올 것이다
다양한 맞춤식 약속 실천 계약
에필로그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아이디어들은 기업과 정부가 목표를 설정하는 데도 유용하다. 기업들은 직원들이 건강에 좋은 생활습관을 선택하도록, 고객들이 해야 할 일을 뒤로 미루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의 지방정부는 예산의 균형을 달성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조금은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먼 미래에는 사과 2개를 원하면서도 오늘 당장은 1개의 사과를 원한다. 혜택을 받을 날이 가까워짐에 따라 선호를 바꾸는 것이다. …사과를 마약으로 바꿔 질문해보면 동태적 비일관성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심각한 마약 중독자라면 내일 주어질 2배의 마약보다 오늘 쓸 수 있는 적은 양의 마약을 택할 것이다. 리처드 탈러의 사과선택 실험은 보통사람들도 합리적이지 못한 조바심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약과 달리 사과의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은 시간이 닥칠수록 인내심을 잃는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여러 면에서 ‘현재’에 중독되어 있다. 지금 당장의 만족이라는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어떻게 자포스 직원들은 한결같이 이런 고객서비스를 할 수 있을까? 그 비결은 직원들에게 ‘돈을 주면서’ 회사를 관두라고 제안하는 것이다. 4주간의 입사교육이 끝나면 자포스는 신입사원들에게 회사를 그만두면 아무 조건 없이 그때까지의 급여에 2,000달러를 더한 금액을 주겠다고 ‘제안’한다. 자포스는 ‘지금 그만두면’ 먹을 수 있는 큰 당근을 직원들이 먹지 않기를 바라며 매다는 것이다. …내가 정말 흥미롭게 생각하는 것은 그 ‘제안’이 신입사원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이다. 신입사원들은 2,000달러를 거부함으로써 막 직업전선에 뛰어든 자기 자신에게 직장이 소중하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 제안을 거절하면 회사를 열심히 다니겠다는, 직장에서 성공하고 말겠다는 직원들 내면의 책임감이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