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0121309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6-07-1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꿈에 대한 새롭고 놀라운 이야기
Part1 꿈을 무시했던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1장 그냥 꾸는 개꿈은 없다
우리는 삶의 절반을 무시해왔다
거의 모든 꿈은 다음 날 아침이면 잊힌다
꿈이 우리에게 던지는 결정적 질문들
밤은 나를 가르쳐주는 선생이다
2장 꿈에 대한 기억을 신뢰하지 마라
영화가 꿈의 색깔을 바꾼다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꿈을 조작한다
꿈에 대한 과학자들의 엉뚱한 주장들
타인의 꿈에 접속해 생각을 훔치는 사회
3장 꿈과 현실 사이
이상한 나라의 레몬과 오징어
가위에 눌리지 않았더라면 큰일 날 뻔했다
꿈이 먼저일까? 현실이 먼저일까?
4장 당신이 잠들어도 뇌는 잠들지 않는다
한스 베르거의 위대한 발견, 뇌전도(EEG)
꿈은 ‘눈으로’ 말해요
왜 꿈속에서는 자주 두려움에 떠는가
꿈꾸는 사람들의 ‘원초적 본능’
5장 우리는 꿈속에서 본다고 믿는다
헬렌 켈러가 꿈속에서 본 것들
시각 장애인이 꿈을 꾼다는 것
우리는 아는 대로 본다
꿈에서 본 듯한 느낌의 실체
Part2 꿈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들
6장 지난밤, 기억을 걷는 시간
꿈을 조작할 수 있을까1: 향기 편
꿈을 조작할 수 있을까2: 소리 편
제니퍼 애니스톤에게만 반응하는 뉴런
세상에서 가장 관능적인 꿈의 줄거리
7장 꿈속에서 나는 누구인가
꿈꾸는 사람도 논리적인 생각을 할까?
모든 발상은 즉시 현실이 된다
엉뚱한 상상력이 거침없이 작동한다
나를 더 제대로 이해하는 법
8장 누구나 매일 밤 꿈을 꾼다
단 하룻밤에 수백 가지 체험을?
꿈꾸기에 너무 짧은 시간은 없다
잠들면 의식도 사라질까?
깊은 밤을 날아서 의식도 깊어지네!
9장 프로이트도 놓친 꿈의 해석
잠든 채로 살인을 저지르다
당신이 잠든 사이, 좀비들이 살아난다
무의식의 정체와 충동 프로그램
10장 감정에서 드러나는 꿈의 의미
성인의 80퍼센트가 꾸는 꿈
불안하니까 꿈을 꾼다
기분에 맞는 기억 호출하기
11장 꿈을 통해 자신을 더 알고 싶다면
꿈은 당신의 삶의 목표까지 알고 있다
프로이트의 악몽: 이르마의 주사기
한 번 꾼 꿈은 해석하지 마라
Part3 어젯밤 꿈이 우리의 인생을 바꾼다
12장 인생의 방향을 말해주는 꿈들
밤에도 계속되는 ‘낮의 잔재’
꿈은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든다
기억의 재구성
현실적이고 자꾸 반복되는 꿈
13장 지긋지긋한 악몽에서 빠져나오는 법
꿈이 영혼의 부상을 치유한다
악몽이 너무 자주 반복된다면
악몽과 우울증의 상관관계
새로운 꿈을 준비하라
14장 내 맘대로 꿈을 조종하는 법
과학으로 측정 가능한 자각몽
자각몽을 꾸는 효과적인 방법들
가장 매력적인 가상 훈련장
15장 꿈에서 슬쩍한 크리에이티브한 생각들
카프카의 문학과 비틀스의 음악
꿈속에서 얻은 과학자들의 천재적인 발상
아이디어를 원한다면 새벽잠에 공을 들여라
절대로 꿈을 해석하지 마라
에필로그|당신이 꾸는 꿈, 그것이 바로 당신이다
리뷰
책속에서
과학자들은 지난 몇십 년 동안 꿈에 관한 보고를 체계적으로 수집했다. 과거에는 꿈이 단지 개별적인 일화처럼 거론되었다면, 오늘날 우리는 수만 건의 꿈 보고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다. 그 데이터는 낮의 경험, 생활환경, 개인적 성격이 어떻게 꿈에 반영되는지 단서를 제공한다.
꿈이 과거에만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새롭고 놀라운 통찰 중 하나는 꿈이 우리가 미래를 헤쳐 나가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꿈꾸는 동안 우리는 능력이 확장되고 뇌가 변화한다. 말 그대로 잠을 자면서 배우고 밤중에도 성격이 발달한다. 꿈은 우리가 누구인지 또 어떤 가능성이 있는 존재인지도 보여준다.
-p.8 <프롤로그> 중에서
미국 철학자 에릭 슈비츠게벨은 영화가 꿈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을 변화시켰다고 설명했다. 어느 시대에나 표준은 천연색 꿈이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흑백영화가 스크린에 이어 텔레비전에 방영되면서 사람들은 회색 동영상을 보는 경험에 익숙해졌다. 그리고 이 경험은 꿈속에 전이되었고 전후 세대의 꿈에서 색채가 사라졌다. 잠에서 깬 뒤 어젯밤 꿈을 회상할 때 원래 천연색이던 광경이 무채색으로 변한 것이다. 슈비츠게벨은 이 문제를 중국에서도 탐구하여 자신의 생각이 옳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중국의 경우 컬러텔레비전과 영화가 오랫동안 도시에만 있었다. 시골 사람들은 흑백텔레비전으로 만족해야 했다. 조사해보니 실제로 중국의 도시 거주자들은 천연색 꿈을 보고한 반면, 시골 거주자들은 무채색 꿈을 보고했다고 한다.
-p.27 <영화가 꿈의 색깔을 바꾼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