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01269092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02-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삶과 죽음 그리고 영생에 관하여
제1장 삶이 끝난 후에도 삶은 계속되는가
죽음을 이야기하기 전에 던져야 할 질문들 •인간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육체와 영혼으로 이뤄진 인간-이원론 •육체만으로 이뤄진 인간-물리주의
제2장 영혼은 존재하는가
영혼의 존재를 입증할 수 있을까?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 •육체는 누가 조종하는가 •영혼은 체험할 수 있는가
제3장 육체 없이 정신만 존재할 수 있는가
육체와 정신은 다르다-데카르트 •개밥바라기별과 샛별
제4장 영혼은 영원히 죽지 않는가
소크라테스의 죽음 •플라톤의 완벽한 왕국 •불멸의 영혼-형상의 본질 •소멸하지 않는 존재-영혼의 단순성 •정신, 육체가 만들어내는 화음
제5장 나는 왜 내가 될 수 있는가
의심스러운 영혼의 존재 •인간의 정체성과 시공간 벌레 •영혼 관점에서의 정체성 •육체 관점에서의 정체성 •인격 관점에서의 정체성
제6장 나는 영혼인가 육체인가 인격인가
같은 문제 다른 대답 •또 한 명의 나폴레옹-복제 문제 •영혼은 나뉠 수 있는가-분열 문제 •정말로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
제7장 죽음의 본질에 관하여
죽음이란 무엇인가 •살아있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
제8장 죽음에 관한 두 가지 놀라운 주장
“나는 결코 죽지 않는다” •“인간은 모두 홀로 죽는다”
제9장 죽음은 나쁜 것인가
죽음이 앗아가는 것들-박탈 이론 •죽음은 ‘언제’ 나쁜가-에피쿠로스의 입장 •내가 ‘없던’ 과거, 내가 ‘없을’ 미래-루크레티우스의 경우
제10장 영원한 삶에 관하여
영생이라는 형벌 •영원히 살고 싶은가
제11장 삶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본질적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 •경험 기계에 연결된 삶 • 그릇과 같은 삶-그릇 이론
제12장 피할 수 없는 죽음의 무거움
반드시 죽는다-죽음의 필연성 •얼마나 살지 모른다-죽음의 가변성 •언제 죽을지 모른다-죽음의 예측불가능성 •어디서 어떻게 죽을지 모른다-죽음의 편재성 •삶과 죽음의 상호효과
제13장 죽음을 마주하고 산다는 것
죽음에 대한 태도-부정·인정·무시 •죽음은 두려운 대상인가 •단 한 번뿐인 삶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삶의 전략
제14장 자살, 죽음의 선택인가 삶의 포기인가
자살은 합리적인 선택인가 •자살은 도덕적으로 정당한가
에필로그 다시 삶을 향하여
주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찾아보기
추천의 말 죽음에 대한 모든 책은 삶을 이야기 한다 (김상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죽음과 관련해 대체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을까? 우선 죽음의 본질에 대해 생각할 때 떠오르는 철학적인 질문들을 다뤄볼 것이다. 가령 “죽고 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해 생각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져볼 것이다.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인간의 실체는 무엇인가?”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영혼이란 게 정말로 존재하는가?” -<프롤로그> 중에서
나는 이런 철학적 논의에 대해 여러분 스스로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죽고 나면 나라는 존재가 완전히 사라진다고 상상해보자. 이 말이 옳다고 한다면 죽음은 결코 나쁜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일단 내가 죽었다면 죽 음은 절대 내게 나쁜 것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내가 존재하지도 않는데 어떻게 죽음이 내게 나쁜 것이 될 수 있다는 말인가? 내게 아무런 피해를 입힐 수 없는데 어떻게 죽음을 나쁜 것이라고 부를 수 있단 말인가? 또한 살아있는 동안에도 죽음은 당연히 내게 나쁜 것이 아니다. -<프롤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