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0403175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9-29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 종교개혁의 위대한 서신, 갈라디아서
1. 복음을 위한 바울의 열심(갈라디아서 개요) _ 토마스 슈라이너
무엇을 말하는가? / 누가 썼는가? / 어디로 보내졌는가? / 언제 기록되었는가? / 어떤 상황이었는가? / 개요
2. 복원되어야 할 통찰과 적용(종교개혁자들의 갈라디아서 해석) _ 제럴드 브레이
마르틴 루터 / 초기 주석가들 / 16세기 후반 / 17세기 / 이후 세대
3. 다른 복음은 없다(갈라디아서 1장) _ 존 파이퍼
저주를 안기는 자들 / 권위와 칭의 / 논증의 재구성 / 여덟 단계의 메시지 / 솔라 스크립투라 / 놀라움과 슬픔
4. 그리스도만으로 충분하다(갈라디아서 2장) _ 샌디 윌슨
죄책감의 치료제 / 우리의 모든 죄보다 큰 은혜
5. 성경을 들으라! 약속을 받으라! 그리스도를 믿으라!(갈라디아서 3장) _ 피터 아담
성경을 들으라! / 그리스도 안에 거하라 / 바울의 교훈 / 완전히 잘못되었다 / 저주를 받으신 그리스도 / 약속을 받으라! / 율법을 잘못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 그리스도를 믿으라! /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는가? 그리스도인의 행위를 보는 안경
6. 우리는 은혜의 복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갈라디아서 4장) _ D. A. 카슨
노예살이에서 자유로 돌이키는 영광 / 자유를 버리고 노예살이를 선택하는 비극 / 노예살이와 자유의 명료한 대조
7. 복음의 자유, 복음의 열매를 추구하라(갈라디아서 5장) _ 타비티 얀야빌리
복음을 잃어 가는 교회들을 향한 세 가지 목회적 관심 / 효과적인 해결책 / 참자유
8. 십자가 외에는 자랑할 것이 없다(갈라디아서 6장) _ 팀 켈러
행위와 정체성 / 큰 구멍 / 시기하는 마음 / 서로의 짐을 가볍게 하라 / “내가 죽어서 네가 살아야 해” / 그리스도만 자랑하라 / 당신은 무엇을 자랑하는가? / 산이 움직이는 것을 보라
9. 율법주의와 반율법주의로부터 자유한 삶(갈라디아서 적용) _ 싱클레어 퍼거슨
복음에 대한 도전 / 그리스도와의 연합 / 아브라함의 약속이 먼저였다 / 모세 율법이 더하여졌다 / 사랑이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한다 / 율법주의도 아니고 반율법주의도 아니다 /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셨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17년, 전 세계 그리스도인이 하나님께서 인류 역사에 일으키신 가장 영광스러운 운동의 하나로 꼽히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했다. 그해 4월 3-5일, 2년마다 열리는 ‘복음연합’(Th Gospel Coalition, TGC) 전국 콘퍼런스가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려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했고, 당시 만 명이 넘는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참석했다. 그 콘퍼런스에서 강사들이 위대한 종교개혁의 서신인 갈라디아서를 한 장씩 맡아 설교했고, 그 설교들을 요약하고 중요한 서론을 덧붙여 이 책을 출간했다. 종교개혁의 풍성한 복음을 누리고 싶은 다음 세대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갈라디아서를 충실하게 해석하고 적용할 자료를 목회자들과 교사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다.
- 시작하는 글 중에서
바울은 갈라디아서에서 복음을 위해 싸운다. 그리고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말한다. 갈라디아서는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중요한 문제들을 다룬다. 바울은 갈라디아서에서 복음의 핵심을 제시하고, 이신칭의가 무슨 뜻인지 말하며, 이것이 갈라디아서의 중심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루터는 바로 그 이신칭의에 의해 교회가 서기도 하고 넘어지기도 한다고 했다. 그의 주장은 옳다. 사람이 어떻게 정죄를 받지 않고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바울은 갈라디아서로 답한다.
- 1장. 복음을 위한 바울의 열심(갈라디아서 개요) 중에서
루터에게는 거짓 사도들이 ‘복음 더하기 율법’을 전한다는 것이 문제였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불필요한 무언가를 더함으로써 그분의 가르침을 훼손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을 신뢰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무언가를 더한다면 하나님의 능력이 충분치 않다고 내비침으로써 그분의 능력을 의심하는 것이다.
- 2장. 복원되어야 할 통찰과 적용(종교개혁자들의 갈라디아서 해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