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독일철학
· ISBN : 9788908063280
· 쪽수 : 134쪽
· 출판일 : 2021-10-10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7
비극론(悲劇論) · 13
서문 · 15
제1장 비극적인 지식 · 21
1 역사적 개관 · 22
2 비극적 지식에 있어서의 존재의식과 비극성 없는 안전성 · 25
3 서사시와 비극에 나타난 비극적 지식 · 28
4 철학적 세계 해석과 계시종교에 있어서의 비극성의 초극 · 31
5 비극적인 것의 근본성격 · 34
6 비극적 지식의 해석의 방향 · 36
제2장 문학에 있어서의 비극적 대상 · 38
1 비극적 분위기 · 39
2 투쟁과 알력 · 40
3 승리와 굴복 · 44
4 죄 · 45
5 좌절에 있어서의 인간의 유대성 · 49
6 진리의 문제 · 50
제3장 비극적인 것의 주관성 · 69
1 구원 일반의 개념 · 69
2 비극성과 구원 · 71
3 비극적인 것 속에서의 구원 · 73
4 비극적인 것으로부터의 구원 · 77
5 비극적인 것의 탐미적 무책임성으로의 변화 · 84
제4장 비극적인 것의 원리적 해석 · 87
1 신비적 해석 · 88
2 철학적 해석 · 91
3 해석의 한계 · 93
1) 비극적 지식의 비극적 세계관으로의 전도 · 4
2) 비극적 지식의 본질 · 8
리뷰
책속에서
|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이 책은 칼 야스퍼스(Karl Jaspers)의 《비극론(Ber das Tragische)》을 번역한 것이다.
원래 〈비극론〉은 야스퍼스의 《진리에 대하여》에 수록되었던 것으로 나중에 이 부분만 독립시켜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야스퍼스가 실존철학의 기초를 닦은 대철학자임은 중언부언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는 실존철학자 중에서도 특히 동양인의 정서와 친숙한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비극론〉은 비록 서양의 비극을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그 통찰은 동양적인 정신세계와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극론〉은 단순한 예술론이 아니라 비극을 통해 인간의 참모습을 밝히려고 한 것으로 어떤 의미에서는 야스퍼스 실존철학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이 《진리에 대하여》에서는 제3부 ‘진리’ 제3절 ‘진리의 완성’ 3항 ‘근원적 관점에 있어서의 진리의 완성(한 예로서의 비극적 지知)’으로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도 이 글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야스퍼스는 《이성과 실존》 《실존철학》 그리고 《진리에 대하여》 등 여러 저서에서 이성을 통찰하고 있지만, 여기에서 전개한 이론들을 집약하여 현대의 반이성적 상황과 관련시켜서 논한 것이 바로 《현대의 이성과 반이성》이다. 그러나 이것이 결코 읽기에 수월한 내용은 아니다. 표현 자체가 매우 함축성이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읽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현대의 반이성적 상황이 어디 있고, 또 우리는 이러한 시대에 있어서 어떻게 하면 이성적으로 살 수 있는가를 터득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