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8891920396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08-08-10
책 소개
목차
PART 1 ‘한계’를 인정하고 ‘규칙’을 지키고 ‘한도’를 넘지 말자
● Chapter 1 ‘한계’를 알고 ‘한도’를 지키는 아이로 키워라
1. 참는 데도 한도가 있다! 없다?
case 1: ‘한도’를 모르는 아이
2. 누구에게나 자기 능력의 ‘한계’가 있다
case 2: ‘한계’를 갖고 시작하는 아이
3. ‘한도’를 모르는 아이, ‘한계’를 갖고 있는 아이
4 한계를 알고 한도를 정해야 목표가 생긴다
case 3: 자기 능력의 ‘한계’를 모르는 아이
● Chapter 2 ‘한계’를 알고 ‘한도’를 지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세상은 나를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case 1: ‘한도’를 모르는 부모
2. 한도를 모르면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case 2: ‘한도’를 가르치지 않은 부모
3. 어른도 자기 상황과 능력에 한계가 있다
case 3: 자기 ‘한계’를 제대로 전달 못 한 부모
4. 함께 즐기면 필요한 ‘한도’는 저절로 정해진다
case 4: 걱정만 하고 함께 즐길 줄 모르는 부모
5. 한계도 모르고 한도도 없으면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와 같다
case 5: 마음만 앞서고 감당을 못 하는 부모
6. 주어진 한도가 분명하면 그만큼 지키기도 쉽다
case 6: 확실한 ‘규칙’으로 아이를 보호하는 부모
7. 돈이란 한없이 쓰라고 있는 게 아니다
case 7: 돈의 ‘한도’를 모르는 부모
8. 한계 속에서도 꿈과 희망은 자란다
case 8: 돈의 ‘한계’를 갖고 있는 부모
9. 아이가 자신의 능력을 발견할 기회를 박탈하지 마라
case 9: 부모역할의 ‘한도’를 모르는 부모
10. 결국 문제는 아이가 아니라 부모다
● Chapter 3 ‘규칙’과 ‘한도’는 인생을 떠받치는 버팀목이다
1. ‘한도’란 무엇인가? 또 ‘규칙’과는 어떻게 다른가?
2. ‘한도’는 우리에게 융통성과 자유를 준다
3. ‘한도’를 정하는 기술을 터득하라
case 1: ‘한도’를 정해 주는 사람이 없는 아이
4. ‘한도’를 정했으면 관철하라
case 2: ‘한도’를 어기면 결과가 따르는 것을 아는 아이
5. 스스로 경험하고 스스로 정하는 ‘한도’만큼 좋은 것은 없다
case 3: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한도’를 정한 아이
PART 2 ‘규칙’과 ‘한도’를 정하고 조절하는 협상의 기술
● Lesson 1 밤과 낮의 ‘한도 조절’
1. 밤마다 잠시 헤어지는 법을 배운다
case 1: 밤낮의 구분이 없이 잠이 없는 아이
case 2: 아픈 사이 밤과 낮의 한도가 무너진 아이
2. ‘밤낮’은 평생 반복되는 리듬이다
● Lesson 2 배고픔과 목마름의 ‘한도 조절’
1. 배고픔과 목마름은 교감수단이다
case 3: 음식을 엄마 아빠의 관심을 끄는 도구로 받아들이는 아이
2. 음식에서 부모의 애정을 확인한다는 생각은 근거 없다
3. ‘기다림’은 평생을 두고 하는 연습이다
case 4: 음식을 절도 있게 먹을 줄 아는 아이
● Lesson 3 내 것과 네 것의 ‘한도 조절’
1. 이 세상은 모두 내 것이 아니다
2. ‘내 거야’는 성장과 발달에서 아주 중요한 말이다
case 5: 자기 물건에 다른 사람이 손도 못 대게 하는 아이
3. 나와 너, 내 것과 네 것 사이엔 아직 가야할 먼 길이 있다
4. 내 권리와 네 권리의 경계는 어디인가?
● Lesson 4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한도 조절’
1. 울며 소리치는 게 능사는 아니다
case 6: 울음으로 자기 뜻을 관철하려는 아이
2. 울기 시작하면 이미 늦다. 울기 전에 대화를 시도하라
3. 말없이 해결할 수 있는데 꼭 큰소리가 나야 끝이 난다?
4. 어른 목소리가 커질수록 아이의 귀는 점점 막힌다
5. 큰 소리 나는 건 결국 어른 책임이다
● Lesson 5 예스와 노의 ‘한도 조절’
1. 애매하게 대답하는 버릇을 버려라
case 7: ‘선생님이 된다고 했어요’하는 아이
2. ‘노’라고 말하는 것은 꼭 필요한 학습의 한 단계이다
3. ‘예스’는 약속이고, 약속은 약속이다
case 8: 지킬 수 없는 약속을 한 아이
PART 3 ‘부모자격’은 저절로 얻어지는 게 아니다
● Chapter 1 ‘한도’에도 한도가 있다
1. ‘한도’에는 유효기간이 있다
case 1: 익숙한 한도 속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아이
2. 불필요하고 과도한 한도도 있다
case 2: 지나치게 경직된 한도 속에서 자란 아이
3. 우리는 일정한 규칙과 한도가 있어야 자유로울 수 있다
● Chapter 2 ‘절충’하고 ‘타협’하는 법을 배운다
1. 규칙이나 한도보다 위로와 격려가 필요한 시기가 다가온다
2. ‘타협과 절충’의 다리로 사춘기라는 험한 강을 건너자
3. 부모와의 갈등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성장과 발전에 쓰자
BONUS PAGE
연세누리 소아정신과 이호분 원장이 들려주는 아이 발달 과정 특강
SOS! 우리 아이 이럴 때 어떻게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