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정대홍, 조영환, 임철일, 손미현, 김민성, 이상일, 김선희, 류나영, 김기택, 이병민, 성민창, 성상환, 이옥선, 박재범, 이경화, 유연주, 조정효, 문공주, 박동열, 모경환, 강은희 (지은이)
교육과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7097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세 개의 주제로 구성된 교재다.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이라는 주제로, 범교과적으로 미래 교육 및 교사의 수업 설계 등에 대해서 다뤘다. 또한 '인공지능과 교과 교육'으로, 각 교과에서 인공지능 및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실 수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였다.

목차

◆ 머리말 5
◆ 추천사 10

Part 1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교육
Chapter 1 교육적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19
1. 들어가며 _ 19
2.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적 관점 _ 21
3. 인공지능 기반 교육 모형 _ 32
4. 나가며 _ 44

Chapter 2 인공지능과 교사 그리고 수업 설계 ……………………… 49
1. 들어가며: 인공지능과 교사 _ 49
2. 인공지능기반 수업 설계의 필요성 _ 54
3. 인공지능기반 수업 설계의 사례와 특성 _ 58
4. 나가며: 향후 연구 방향 _ 71

Chapter 3 역량을 키우는 교실 수업 설계자……………………………77
1. 교실에 몰아친 변화 _ 77
2.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_ 83
3. 예비교사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_ 91

Part 2 인공지능과 교과 교육
Chapter 4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과 지리 교수학습 전략……… 105
1. 들어가며 _ 105
2.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근거 _ 108
3. 교수학습전략으로서 목표기반시나리오 _ 113
4. 인공지능 활용 목표기반시나리오 지리학습모형 _ 115
5. 나가며 _ 122

Chapter 5 인공지능 시대의 외국어 교육……………………………… 129
1. AI 시대의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 _ 129
2. 외국어 교육 관련 AI 기술 _ 132
3. 외국어교육 관련 애플리케이션 _ 134
4. 외국어교육 관련 온라인 도구 _ 144
5. AI 시대의 외국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_ 148

Chapter 6 인공지능 챗봇과 외국어 학습……………………………… 151
1. 인공지능 시대의 외국어 학습 _ 151
2. 영어교육과 챗봇 _ 152
3. 다이얼로그플로우와 챗푸얼을 활용한 챗봇 개발 _ 156
4. 영어교육 목적으로 개발된 챗봇 _ 161
5. 다이얼로그플로우와 독일어 학습 _ 168
6. 나가며 _ 173

Chapter 7 인공지능 기술 발달과 수학교육의 변화………………… 179
1. 들어가며 _ 179
2. 수학 수업의 변화 _ 180
3. 수학 학습의 변화 _ 188
4. 나가며 _ 199

Chapter 8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 203
1. 들어가며 _ 203
2. 과학의 과정: 뉴턴은 이론가? 캐플러는 데이터과학자? _ 205
3. 과학탐구와 데이터 _ 209
4. 데이터-기반 과학교육의 실제 _ 218
5. 나가며: 빅데이터 시대 과학교육의 방향 _ 225

Chapter 9 인공지능 활용 체육수업의 현황과 과제…………………229
1. 들어가며 _ 229
2. 스포츠와 신체활동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_ 231
3. 체육수업에서의 AI 기술 적용 _ 235
4. 인공지능 활용 체육수업을 위한 과제 _ 237
5. 나가며 _ 242

Part 3 인공지능의 한계와 함의
Chapter 10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교육과 윤리… …………………… 247
1. 인공지능 시대와 교육의 변화 _ 247
2.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성 교육 _ 249
3. 인공지능 시티즌십의 두 가지 차원 _ 253
4. 인공지능 윤리기준 _ 257

Chapter 11 인공지능, 이 새로운 교육 환경을 어떻게 볼 것인가?………………………267
1. 새로운 교육 환경 _ 267
2. 기술을 보는 관점들 _ 273
3. 교육적 성찰 _ 282
4. 결론을 대신하여 _ 290

◆ 찾아보기 293

저자소개

임철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 석사) 미국 Indiana University 대학원 교수체제공학과(Ph. D.)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경력) 서울대학교 교육부처장 교수학습개발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장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공학회 부회장 한국기업교육학회 회장 (저서)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공저) 교수설계이론(개정증보판) 교육공학탐구의 새지평(공저) 기업교육론(공동편저) 원격교육과 사이버교육 활용의 이해(제2판)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공역) 원격교육론(공저)
펼치기
모경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UC Berkeley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교육』, 『청소년 문제와 보호』가 있으며, 역서로는 『시민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입문』 등이 있다
펼치기
이병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외국어(영어)교육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호서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를 거쳐 2001년부터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며 언어교육원 외국어교육센터 소장 및 교육종합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을 맡고 있다.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심의위원,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전문대학원 심의위원, 서울시교육청 외국어교육정책자문위원장을 역임했고,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영어사교육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10여 년에 걸쳐서 대표 저자로 초·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집필했고, 『어린이 영어교육』 『어린이 영어교육 2』『학교공부 바로하기』『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I』『아깝다, 영어 헛고생』 『영어, 내 마음의 식민주의』『좌우파 사전』『굿바이 영어 사교육』『세상을 바꿔라』 등을 공동 집필했다. 번역한 책으로 『외국어교수 학습·교수의 원리』『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가 있다. 오랫동안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운다는 것에 대해 학문적·이론적으로 천착해왔으며, 광풍이라 부를만한 우리 사회의 영어 과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행보 또한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펼치기
이상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도학, GIS, 공간통계학, 인구지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지도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지리학회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도학 관련 번역서로 『지구 끝까지: 세상을 바꾼 100장의 지도』와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공역)가 있다. 지도 투영, 지리적 시각화, 지도학사에 깊은 관심이 있으며, 관련 논문을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펼치기
조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에서 교육공학 석사 학위를, 미주리대학교에서 정보과학과 학습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국립교육원에서 약 2년간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2013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와 함께 2023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서울대학교 학습과학연구소의 초대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학습과학과 교육공학이며,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우리나라 교육의 난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획일적인 학교 교육을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으로 전환하고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학습 과정에서 멀티모달 데이터를 수집해 학습자의 역량을 진단하고 최적의 학습경험을 설계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교육부와 교육청의 인공지능 및 미래교육 관련 자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공저서로 『문제해결과 학습 디자인: David H. Jonassen 교수님의 연구를 되돌아보며』(2019), 『교육공학과 수업』(2021),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정대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 박사(1999)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교수로서, 나노과학 연구와 학교 현장과학과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에서 과학교사와 활동하면서 연구 현장과 교실 현장의 간극을 좁히고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손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 화학교육 전공 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미래혁신연구원 연구 교수로 있다. 이전에는 20년 가까이 서울에서 교사로서 중고등학생들을 가르쳤다. 지구를 망치는 주범이라는 누명을 쓰고 있는 화학의 대변인을 하기로 마음먹고 화학의 선행을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썼다.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다. 《한 번만 읽으면 확 잡히는 중등 화학(공저)》, 《챗GPT 시대 인공지능 디지털 소양을 키우는 하이테크 교실수업(공저)》,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공저)》, 《현장 교사가 함께 집필한 디지털교육(공저)》, 《미래직업 다이어리 2(공저)》를 짓고, 《나노세계로 보는 과학의 빅 아이디어》를 번역하였다.
펼치기
박재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에서 운동 역학 및 신경 역학에 관해 연구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메릴랜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 과정 동안 인체 중추신경계의 제어 기전에 관해 연구했다. 이후 펜실베니아대학교, 몬타나대학교에서 연구교수와 교수로 재직했다.
펼치기
김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이자, 공간과 장소에 대한 끝없는 호기심을 품고 살아가는 여행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텍사스A&M대학교(Texas A&M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덕분에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지도 속 지명이 아닌, 직접 밟고 경험한 공간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소설 『어린 왕자』에 등장하는, 책으로만 지리를 공부하는 지리학자가 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며 우리의 모든 삶이 지리적이라고 말하지만, 정작 본인은 내비게이션 없이는 주차장에서도 길을 잃고, 언제나 길을 헤매는 길치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낯선 공 간을 익숙한 장소로 바꾸어 가는 법을 배우고, 그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오늘도 다른 장소를 향해 시선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길 위에서 새로운 질문과 깨달음을 마주하고, 여행이 삶이 되고 삶이 여행이 되는 시간을 쌓아 가고 있다.
펼치기
김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조교수
펼치기
류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아시아학과 조교수
펼치기
김기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부교수
펼치기
이옥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펼치기
유연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펼치기
조정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 서울대학교에서 통계물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미국 국립보건원,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고등과학원, 계명대학교를 거쳐, 2019년부터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문공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덕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펼치기
박동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
펼치기
강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래치의학센터 연구조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