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교육 에세이
· ISBN : 9788925544663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1-11-04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프롤로그
1. 집중과 자기 통제 Focus and Self-control
집중과 자기 통제는 IQ만큼 중요하다
집중과 자기 통제란 무엇인가
시간 부족 시대에 집중과 자기 통제 능력을 어떻게 향상할 수 있을까
집중과 자기 통제의 근원: 엄마 뱃속에서부터
집중과 자기 통제: 뇌 속으로의 여행
아기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려줄까
스트레스와 자기 통제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주의력 결핍 장애와 뇌의 실행 기능
집중과 자기 통제 계발은 언제 시작해야 하는가
집중과 자기 통제를 어떻게 계발할 수 있을까
마시멜로를 지금 한 개 먹을래, 나중에 두 개 먹을래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집중과 자기 통제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_ 아이에게 집중과 자기 통제 능력을 가르치려면?
2. 조망 수용 Perspective Taking
조망 수용의 뇌과학적 바탕
자녀의 조망 수용 능력을 길러주려면 부모 자신부터 배워야 한다
왜 아이들에게 조망 수용이 중요한가
아기들의 조망 수용 능력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아기들에게도 ‘인간 감각’이 있다
크래커 대 브로콜리: 취학 전 유아의 조망 수용 능력 발달
문제 해결보다 더 중요한 것: 학령기 아동의 조망 수용 능력 발달
조망 수용 학습이 주는 광범위한 이득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조망 수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_ 아이에게 조망 수용 능력을 가르치려면?
3. 의사소통 Communication
아이들은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게끔 태어난다
부모 화법
부모 표정
두 살이 될 때까지 부모 화법과 부모 표정, 부모 몸짓이 중요한 이유
부모 화법과 부모 표정은 감정을 더 확실하게 전달한다
부모 화법은 아기에게 자신을 통제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준다
부모 화법은 아이에게 소리의 바다에서 단어를 감지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부모 표정과 부모 몸짓은 아이들이 중요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도와준다
부모 몸짓은 아이의 의사소통 학습에 도움이 된다
부모 화법은 아이들이 단어를 인식하고 말하는 법을 배울 때 도움이 된다
걸음마 이후의 언어 처리
언어와 읽고 쓰기
저학년 아이들에게 읽기·쓰기 능력을 장려하는 방법
읽기 학습
제2의 언어 학습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_ 아이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가르치려면?
4. 연관 짓기 Making Connections
물체 감각
공간 감각
어림수 감각
수 감각: 작은 숫자로 덧셈, 뺄셈하기
위대한 여정: 수 감각에서 수학적 지식으로
실행 기능: 완전히 협력하기
창의성과 사회적 성공의 연관성
예술과 뇌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연관 짓기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_ 아이에게 연관 짓기 능력을 가르치려면?
5.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지식이란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의 선행 조건: 이론 세우기
다른 사람에게 배우기: 어린아이들은 잘 도와주는 사람을 믿는다
아이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어떤 경우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유치원에 들어갈 때쯤, 아이들은 자신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알아본다
어린아이들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분간할 수 있다
어린아이들은 이 세상을 흑백논리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지식의 저주
경험에서 배우기: 호기심의 역할
과학박물관에서의 모험
과학적 사고 가르치기
뜨거운 vs. 차가운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_ 아이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가르치려면?
6. 스트레스 관리 Taking on Challenges
어린아이와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생리학
스트레스의 영향
스트레스의 본질
신뢰 관계가 중요하다
스트레스 경험은 어떻게 전달되는가
아이들이 스스로 스트레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라
아이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을 배울 때는 어느 정도 통제권을 주라
자녀의 기질
기질보다 중요한 것 1: 양육 형태
기질보다 중요한 것 2: 부모와 아이 주변의 인간관계
어려운 상황과 방해물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어떻게 하면 아이에게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_ 아이에게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가르치려면?
7. 자기 주도 연계 학습 Self-directed, Engaged Learning
학습은 본성과 양육의 산물이다
원칙 1 : 자녀와 신뢰감 있는 관계를 형성하라
원칙 2 : 아이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하라
원칙 3 : 아이를 사회적, 정서적, 지적으로 참여하게 하라
원칙 4 : 아이의 학습을 정교하게 발전시키고 확장하라
원칙 5 : 아이가 실행하고, 종합하고, 일반화하도록 도와주라
원칙 6 : 점점 책임을 느끼도록 도와주라
원칙 7 : 학습자 공동체를 만들라
_ 아이에게 자기 주도 연계 학습을 가르치려면?
에필로그
감사의 글
주
책속에서
마이클 포스너와 그의 동료들은 네 살과 여섯 살짜리 아이들에게 5일 동안 컴퓨터로 주의 집중 기술을 훈련한 뒤 그 결과를 훈련을 거치지 않은 동일 연령의 아동 집단과 비교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아이들은 단순한 훈련을 받고도 주의 통제나 억제 조절을 좀 더 쉽게 해냈다. 여섯 살짜리 아동이 네 살짜리에 비해 더욱 많이 발전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연구자들은 아이들의 주의 능력 향상에 따라 추론과 사고 능력이 함께 발달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에 따르면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법을 배운 아이는 유치원에서 더 잘 적응한다고 한다. 또한 조망 수용 능력과 읽기 학습 사이엔 깊은 연관이 있다. 앨리슨 고프닉은 읽기를 배우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 중에 ‘상위 언어 능력’을 언급하는데, 상위 언어 능력이란 읽기의 원리나 언어의 원리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언어의 원리를 이해하려면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대해서도 이해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조망 수용은 아이들의 미래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이에 대해 고프닉은 다른 사람을 능숙하게 상대하고 싶다면 우리 주변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스턴의 말마따나 조망 수용 능력이 없다면 세상은 아주 외로운 곳이 될 것이다.
모와 아이의 대화 방식 또한 중요하다. 스페인어를 쓰는 아이들을 장기적으로 연구한 결과, 퍼널드와 동료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즉, 유아 지향적 말투(아이의 연령에 적절한 화법)를 쓰고, 더 말을 많이 하고, 같은 대상에 대해 다른 단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유형의 단어를 사용하고, 생후 18개월 된 자녀에게 긴 어구를 사용해 말하는 엄마들의 자녀는 24개월이 되었을 때 어휘력이 더욱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단어 처리 속도도 더욱 빨랐다. 퍼널드는 작은 차이들이 쌓여 큰 효과를 나타낸다고 말한다. 어린아이들이 듣는 거의 모든 문장에는 새롭게 배워야 할 것들이 있다. 아이가 자랄수록 배울 수 있는 능력은 더욱 커지므로 배움에 도움을 줄 약간의 차이가 나중에는 매우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