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회재집 2

회재집 2

이언적 (지은이), 조순희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회재집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회재집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3288
· 쪽수 : 564쪽
· 출판일 : 2016-02-24

책 소개

회재 이언적은 1514년(중종9) 문과 별시에 급제한 이후 파직과 출사를 거듭하다가 유배지에서 죽었다. 이언적의 삶은 연산군부터 명종조에 걸쳐 일어난 사대사화에 모두 직간접적으로 얽혀 있다. 이 책은 이언적의 문집이다.

목차

회재집 제7권
소疏
일강십목소 一綱十目疏 13

회재집 제8권
소疏
진수팔규 進修八規 73
붙임 〈진수팔규〉를 올리는 상소 附獻進修八規疏 110

회재집 제9권
전箋
사사전 辭謝箋 119
사은전 계묘년 5월 謝恩箋 癸卯五月 122

장狀 차箚
정세를 아뢰고 모친을 봉양하게 해 주기를 청하는 글 신축년 8월 陳情乞養狀 辛丑八月 125
재차 정세를 진달하고 모친을 봉양하게 해 주기를 청하는 글 임인년 4월 再陳乞養狀 壬寅四月 128
을사년 1월 18일에 올린 사장 乙巳正月十八日辭狀 131
1월 24일에 올린 사장 正月二十四日辭狀 134
윤1월 17일에 올린 사장 閏正月十七日辭狀 137
윤1월 23일에 올린 차자 閏正月二十三日箚子 139
3월 8일에 올린 사장 三月初八日辭狀 141

회재집 제10권
장狀 차箚
병오년 봄에 올린 차자 丙午春箚子 145
3월에 정사하고 나서 올린 차자 三月呈辭上箚子 158
4월에 올린 사직장 四月辭職狀 160
5월 11일에 올린 두 번째 사장 五月十一日再度辭狀 163
6월 19일에 올린 세 번째 사장 六月十九日三度辭狀 165
발을 드리우는 것이 옳지 않음을 밝힌 차자 不宜垂簾箚子 167

회재집 제11권
습유拾遺
서序
《대학장구보유》 서 大學章句補遺序 173
《중용구경연의》 서 中庸九經衍義序 177
《구인록》 서 求仁錄序 185
《봉선잡의》 서 奉先雜儀序 187

전傳
사벌국전 沙伐國傳 189

제문祭文
손 사재에게 올리는 제문 祭孫四宰文 193
김모재 안국 에게 올리는 제문 祭金慕齋 安國 文 198
부인 손씨의 기일에 올리는 축문 孫夫人諱日祝文 202
가묘에 고하는 글 告家廟文 204

비명碑銘 묘갈墓碣
부인 홍씨 묘비명 夫人洪氏墓碑銘 205
부인 최씨 묘비명 夫人崔氏墓碑銘 207
충의위 손군 묘갈문 忠義衛孫君墓碣文 209
훈도 김군 묘비명 訓導金君墓碑銘 211

회재집 제12권
습유拾遺
소疏
홍문관에서 올린 상소 弘文館上疏 217

회재집 제13권
습유拾遺
장狀
신축년 6월 16일에 올린 정사 辛丑季夏十六日呈辭 249
임인년 9월에 올린 정사 壬寅九月呈辭 251
갑진년 7월에 올린 정사 甲辰秋七月呈辭 253
갑진년 9월에 올린 정사 甲辰秋九月呈辭 255
갑진년 11월에 올린 정사 甲辰十一月呈辭 258
갑진년 11월에 올린 대죄장 甲辰十一月待罪狀 260
을사년 윤1월에 올린 대죄장 乙巳閏正月待罪狀 262
을사년 12월에 올린 정사 乙巳十二月呈辭 264

차箚
시강원에서 올린 차자 侍講院箚子 266
양사에서 올린 차자 兩司箚子 270
사헌부에서 올린 차자 司憲府箚子 274
을사년 가을에 올린 차자 乙巳秋箚子 279
을사년 가을에 올린 차자 乙巳秋箚子 285

계啓
정부에서 올린 서계 10조 政府書啓十條 288
을사년 가을에 올린 의계 乙巳秋議啓 294

회재집 발문晦齋集跋|유희춘(柳希春) 297
회재집 발문晦齋集跋|허엽(許曄) 299
문원공 세계도 文元公世系圖 302
문원공 회재 선생 연보 文元公晦齋先生年譜 307
문원공 회재 선생 연보 후서
文元公晦齋先生年譜後敍|노수신(盧守愼) 369

회재집 부록
회재 이 선생 행장 晦齋李先生行狀|이황(李滉) 373
유명 조선국 고 행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문원공 회재 이 선생 신도비명 병서 有明朝鮮國故行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文元公晦齋李先生神道碑銘 幷序|기대승(奇大升) 394
회재 이 선생 묘지 晦齋李先生墓誌|이항복(李恒福) 407
옥산서원기 玉山書院記|허엽(許曄) 420
강계부 사묘기 江界府祠廟記|박승임(朴承任) 423
관학 유생들의 상소에 답한 어찰 뒤에 공경히 쓰다
恭書御札答館學諸生疏後|유성룡(柳成龍) 428

저자소개

이언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491년(성종22)~1553년(명종8).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이다. 초명은 적(迪)이었는데 중종(中宗)의 명으로 언적(彦迪)으로 고쳤다. 외숙인 손중돈(孫仲暾)을 사사하였다. 1514년(중종9) 문과 별시에 급제하였다. 이후 이조 정랑.사헌부 장령.밀양 부사 등을 거쳐 1530년 사간원 사간이 되었다. 김안로(金安老)의 기용을 반대하다가 파직되었다. 귀향한 후 경주(慶州) 자옥산(紫玉山)에 독락당(獨樂堂)을 짓고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1537년에 홍문관 교리로 서용되었다. 이후 전주 부윤.대사성.대사헌.홍문관 부제학.한성 판윤.우참찬.이조 판서 등을 거쳐 1542년 좌참찬이 되었다. 1543년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다가 이듬해 병으로 사임하였다. 1545년(인종1) 다시 출사하여 좌찬성이 되었다. 인종이 승하하자 원상(院相)을 맡았다.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판의금부사로 추관(推官)에 임명되어 위사 공신(衛社功臣)에 녹훈되고 여성군(驪城君)에 봉해졌으나 곧 사직하였다. 1547년(명종2) 양재역 벽서 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강계로 유배되어 죽었다. 학문적으로는 주희(朱熹)의 주리론(主理論)에 입각한 이우위설(理優位說)을 주장하여 손중돈(孫仲暾).조한보(曺漢輔) 등과 무극태극 논쟁(無極太極論爭)을 벌였고, 이황(李滉)에게로 계승되는 영남학파 성리설의 선구가 되었다. 저술로는 《구인록(求仁錄)》,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봉선잡의(奉先雜儀)》 등이 있다. 종묘에 배향되었고, 1610년(광해군2) 문묘에 종사되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펼치기
조순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시대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에서 한문을 공부하고, 현재 고전번역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홍재전서』, 『기언』, 『명재유고 』, 『회재집』, 『송서, 길 떠나는 그대에게』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