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사
· ISBN : 978893291671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4-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가장 좋아하는 철학자는 누구입니까?
1 소크라테스적 방법에 관해 메리 마거릿 매케이브에게 듣다
2 플라톤이 말하는 에로틱한 사랑에 관해 앤지 홉스에게 듣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관해 테렌스 어윈에게 듣다
4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학에 관해 앤서니 케니에게 듣다
5 마키아벨리의『군주론』에 관해 퀜틴 스키너에게 듣다
6 몽테뉴에 관해 세라 베이크웰에게 듣다
7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관해 A. C. 그레일링에게 듣다
8 스피노자가 말하는 정념에 관해 수전 제임스에게 듣다
9 존 로크가 말하는 관용에 관해 존 던에게 듣다
10 버클리의 수수께끼에 관해 존 캠벨에게 듣다
11 데이비드 흄이 왜 중요한가에 관해 피터 밀리컨에게 듣다
12 애덤 스미스가 말하는 인간 본성에 관해 닉 필립슨에게 듣다
13 루소가 말하는 현대 사회에 관해 멀리사 레인에게 듣다
14 에드먼드 버크가 말하는 정치학에 관해 리처드 버크에게 듣다
15 칸트의 형이상학에 관해 A. W. 무어에게 듣다
16 헤겔이 말하는 변증법에 관해 로버트 스턴에게 듣다
17 존 스튜어트 밀의『자유론』에 관해 리처드 리브스에게 듣다
18 키르케고르의『두려움과 떨림』에 관해 클레어 칼라일에게 듣다
19 니체가 말하는 예술과 진리에 관해 에런 리들리에게 듣다
20 헨리 시지윅의 윤리학에 관해 피터 싱어에게 듣다
21 실용주의와 진리에 관해 로버트 B. 털리스에게 듣다
22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에 관해 배리 C. 스미스에게 듣다
23 프랭크 램지가 말하는 진리에 관해 휴 멜러에게 듣다
24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에 관해 메리 워녹에게 듣다
25 하이에크와 자유주의에 관해 찬드란 쿠카사스에게 듣다
26 존 롤스가 말하는 정의에 관해 조너선 울프에게 듣다
27 자크 데리다가 말하는 용서에 관해 로버트 롤런드 스미스에게 듣다
대담자 소개 / 더 읽으면 좋을 책들 / 트위터 문구 공모 당선작 /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명심해야 할 것은 대화 자체가 <아포리아>, 즉 막다른 골목에서 끝나더라도 이것이 헛수고는 아니라는 거예요.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독자와 대화 참여자 모두, 생각과 설명과 지식을 어떻게 구사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니까요
_1 소크라테스적 방법에 관해 메리 마거릿 매케이브에게 듣다
『군주론』을 받아들이느냐의 문제는 결과론적 윤리 이론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사회의 목표 중에서 너무나 중요하기에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달성해야 하는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워버턴 씨는 마키아벨리주의자입니다. 현재 우리의 지도자들이 마키아벨리적 분위기를 풍기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자유주의 국가가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되 그것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자유를 누리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테러 위협이 커지면서 자유가 제한되었고 안보를 명분 삼아, 많은 이들이 부도덕하다고 여기는 수단이 동원되고 있습니다.
_5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관해 퀜틴 스키너에게 듣다
그 자체로는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기독교의 명령은 어떻게 해석하든 관용의 대상이 된 반면에 무신론이 그렇지 않은 이유는 기독교의 명령에 대한 해석이 (타인의 현실적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이론적인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성이 행동을 일으키기 위해 조직되었다는 로크의 독특한 견해에 따르면 무신론은 현실적 믿음입니다. 무신론은, 해도 된다고 이성적으로 확신하는 일을 해서는 안 될 이유가 없다는 믿음이며, 따라서 지극히 전복적인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_9 존 로크가 말하는 관용에 관해 존 던에게 듣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