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족주의
· ISBN : 978893370504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6-09-1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1부 일상 속의 세계 감각
1. 세계지도의 이데올로기
2. 좋아하는 나라, 싫어하는 나라―심리적 세계지도
시대의 흐름┃일본인의 인종적 거리―아시아 문제를 중심으로┃일본인의 아이덴티티
2부 유럽의 동양관
3.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을 다시 읽으며
걸프전과 오리엔탈리즘┃「지옥편?의 무하마드┃오리엔트 순례와 순례자들┃마르크 스의 인도론―문명론의 함정┃이항대립의 한계와 그것을 넘어설 가능성
3부 일본의 문화 수용 패턴
4. 서구화와 회귀
서구화와 회귀 사이클┃수용의 이중구조
4부 문명과 문화―기원과 변동
5. 기원―유럽적 가치로서의 문명과 문화
문명┃문화
6. 프랑스와 독일―대항 개념으로서의 문명과 문화
역사적 조건┃프랑스혁명의 역할┃인류학자의 관점┃보론―정리를 위한 노트
7. 일본에서의 수용―번역어로서의 문명과 문화
문명개화의 이해
이와쿠라 사절단과 후쿠자와 유키치―문명론에서 탈아론으로┃문명에서 문화로―구 가 가쓰난의 문화 개념┃다이쇼 문화와 전후 문화
5부 문화의 국경을 넘어서기 위하여
8. 국민문화와 사문화―일본 문화는 존재하는가?
국민문화에 대한 의혹┃흔들리는 ‘민족’ 개념 ┃문화상대주의의 역할과 한계
9. 두 개의 『일본문화사관』―타우트와 사카구치 안고
문화가치와 생활가치┃활달자재한 속악┃문화의 국경을 넘어서다
6부 보론―1990년대를 되돌아보며__
10. 글로벌리제이션·다문화주의·아이덴티티―사문화에 관한 고찰을 심화하기 위하여 글로벌리제이션이란 무엇인가?┃다문화주의의 가능성┃아이덴티티의 정치성
〔해설〕‘국민국가’론의 공과 죄―우에노 지즈코
옮긴이 주┃참고문헌┃초판 후기┃증보판 후기┃옮긴이 후기┃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나는 여기서 조금은 다른 입장에서 문화상대주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려 한다. 즉 문화상대주의에 의해 인정되는 국민국가의 이데올로기적 잔재에 대해서이다. 다시 말하면 문화상대주의는 전세계 모든 문화의 독립과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고 주장함으로써, 결국은 문화적인 세계지도를 그렸으며 문화라는 국경을 만들어버렸다는 것이다. 문화상대주의는 국민국가의 이데올로기적 비판으로 출발하면서도, 결국 국민국가라는 고정적인 문화 모델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이동하고 변용해가는 전세계 모든 문화의 모습을 파악할 수 없다. -- 본문 256~25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