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88933707159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6-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1. 일본 문화 속의 교토와 니시진 | 2. 니시진에서의 현지조사 | 3. 책의 구성
제1부 니시진오리의 역사와 기모노의 세계
제1장_ 니시진오리의 역사: 끊임없이 새로이 만들어지는 전통
1. 교토와 니시진의 직조사 | 2. 19세기 말, 20세기 초 니시진의 모습 |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니시진의 변화
제2장_ 기모노의 변천과 니시진
1. 기모노의 역사 | 2. 복식의 변화와 니시진 | 3. 현대 일본인의 생활 속의 기모노
제2부 니시진오리의 생산과 유통 구조
제3장_ 전통직물 산업의 가내공업과 분업체계
1. 가내공업과 분업의 기본구조 | 2. 제직업자의 역할 | 3. 제직업자와 직조공의 관계 | 4. 니시진오리의 전통적 유통구조
제4장_ 니시진 제직업자의 다양한 유형
1. ‘주식회사 오리히코’의 사례 | 2. ‘야마시타 오리모노’의 사례 | 3. ‘가와시마 오리모노’의 사례 | 4. ‘가쓰라 기업점’의 사례 | 5. ‘오비야 스테마쓰’의 사례 | 6. ‘주식회사 호소오’의 사례 | 7. 재일동포 직물업자 Y씨의 사례 | 8. 재일동포 직물업자 O씨의 사례 | 9. 니시진 직물업자의 다양성
제5장_ 직조공과 하청장인의 세계
1. 직조공 사례 연구 | 2. 하청장인 사례 연구 | 3. 직조도구 및 부품의 지속성 문제
제6장_ 니시진 도매상의 역할과 권력
1. 매계상과 직물제조업자 및 도매상의 관계 | 2. 니시진 매계상의 역할 변화 | 3. ‘주식회사 하세가와’의 사례
제3부 니시진오리의 현황과 전망
제7장_ 통계로 본 니시진의 직물업
1. 규모별 기업 수의 변화 | 2. 분업 생산양식의 변화 | 3. 유통 및 판매 구조의 변화
제8장_ 니시진 지역사회의 변용
1. ‘지역’으로서의 니시진 | 2. ‘생활양식’으로서의 니시진 | 3. ‘니시진 마을’의 이미지 | 4. 니시진 지역생활의 변화
제9장_ 전통산업의 활성화, 지역의 활성화
1.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 2. 지역 중심의 활성화 운동 | 3. 직물산업 종사자들의 노력
마무리: 사라져 가는 세계, 니시진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래 인류학에서 이루어진 일본 연구의 맥락에서 본다면 여기서 시도하는 것은 도시의 한 전통적 지방산업에 종사해 온 특정 직업집단의 삶의 양식과 일의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것은 도시인류학적 연구라 할 수 있겠으나 여기서 보다 중점을 둔 것은 전통공예 직물업의 세계와 그 변화이다. 즉 일본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온 소중한 유산임은 분명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차 사라져 가는, 결코 과거와 같은 영광을 회복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는 한 세계를 통하여 일본 특유의 기술과 문화의 관계를 살펴보는 작업이기도 하다.
니시진오리가 ‘전통공예품’으로 이해되는 가장 큰 이유는 그 생산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공정이 기계화되었으나 니시진오리의 생산과정은 산업화된 대량생산체계가 아니다.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개별 공정이 독립된 영세 가내공장에서 훈련받은 장인들에 의해 분업체계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니시진오리는 다양한 신기술 도입에도 불구하고 전통산업이라 할 수 있다. 가내공업에 기반을 둔 생산체계는 일본의 이에(家)제도를 특징짓는 가업(家業) 및 가독상속(家督相續) 관념과 더불어 니시진의 직물업을 지탱해 온 힘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심각한 후계자 확보 문제에 부닥쳐 그 지속성이 위협받고 있다.
니시진 직물업은 ‘인맥산업’이라 할 만큼 사람들 간의 연계 확보가 장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힘이다. 기모노업계는 다른 업종과 달리 오래된 상습관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계약 없이 상품을 위탁 판매하거나, 현금이 아닌 어음으로 지불하거나, 할인을 강요하는 등의 관행은 니시진의 좋지 않은 상습관으로서 개혁의 대상으로 많이 언급된다. 그러나 하세가와 씨의 견해에 따르면 그런 것들은 모두 신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서면 계약을 하고 인장을 찍는 것이 옳은 방법일지도 모르지만 ‘저 사람이라면 틀림없다’, ‘물건을 팔면 지불해 줄 것이다’라는 서로 간의 믿음이 있기에 이러한 관행이 지금까지 이어졌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