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상학/해석학/실존철학
· ISBN : 9788935664979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1-07-26
책 소개
목차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2
·구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제1장 물질적 자연의 구성
제1절 자연 일반의 이념
1. 자연과 경험 개념에 대한 잠정적 소묘의(미술어는 배제)•25
2. 이론적 태도로서의 자연과학 태도•26
3. 이론적 태도와 이론적 관심에 대한 분석•27
4. 이론적 작용과 ‘미리 부여하는’ 지향적 체험•29
5. 자발성과 수동성. 의식의 현실성과 비-현실성•39
6. 이론적 태도로 이행하는 것과 반성으로 이행하는 것의 차이•42
7. 객관화하는 작용과 객관화하지 않는 작용, 그 상관자•44
8. 구성적인 근원적 대상인 감성의 대상•46
9. 범주적 종합과 감각적(‘감성적’) 종합•47
10. 사물, 공간적 환상 그리고 감각자료•51
11. 단순한 사태의 영역인 자연•55
제2절 직관적 사물 자체의 존재적 의미 층
12. 물질적 자연과 동물적 자연•59
13. ‘사물’ 일반과 특히 물질적 사물의 구조에 대한 연장의 의미•61
14. 동물적인 것의 구조에 대한 연장의 의미•65
15. 물질성의 본질(실체)•66
16. 종속성의 다양한 관계 속에 사물속성의 구성•82
17. 물질성과 실체성•93
제3절 감각적 신체와의 관계에서 감각된 것
18. 사물의 구성에 주관적으로 조건지어진 요소와 객관적인 물질적
사물의 구성•94
제2장 동물적 자연의 구성
서론
19. 자연객체인 영혼에 대한 고찰로 이행함•137
20. ‘영혼적인 것’에 대한 통상적 논의의 의미•139
21. ‘자아-인간’이라는 개념•140
제1절 순수 자아
22. 자아 극(Ichpol)으로서 순수 자아•145
23. 순수 자아(자아극)를 포착할 수 있음•151
24. 순수 자아의 ‘가변성’•155
25. 작용의 극성(極性): 자아와 객체•157
26. 깨어 있는 의식과 둔감한 의식•160
27. 순수 자아의 주변을 이루는 부분인 ‘자아-인간’•163
28. 초월적 객체로 구성된 실재적 자아와 내재적으로 주어진 순수 자아
•165
29. 내재적 영역 안에서 통일체의 구성. 순수 자아 속의 침전물로
지속하는 의견•166
제2절 영혼의 실재성
30. 실재적 영혼의 주체•177
31. 실재성의 형식적-일반적 개념 •183
32. 물질적 실재성과 영혼의 실재성의 근본적 차이•184
33. 실재성이라는 개념의 더 상세한 규정•196
34. 자연주의 태도와 인격주의 태도를 구별할 필요성•200
제3절 신체를 통한 영혼의 실재성 구성
35. ‘자연으로서 인간’에 대한 구성적 고찰로 이행함•204
36. 장소화(場所化)된 감각(감각됨)의 담지자인 신체의 구성•205
37. 시각영역과 촉각영역의 차이•209
38. 의지기관이며 자유로운 운동의 담지자인 신체•214
39. 더 높은 객체성의 구성에 대한 신체의 의미•215
40. 감각됨의 장소화와 신체의 비-사물적 속성•216
41. 다른 물질적 사물과 대비되는 물질적 사물인 신체의 구성•221
42. 독아론으로 구성된 신체의 특성묘사•224
제4절 감정이입에서 영혼의 실재성 구성
43. 생소한 동물적인 것의 주어짐•226
44. 근원적 현존과 간접적 현존•226
45. 간접적 현존하는 내면을 지닌 근원적 현존하는 신체물체인
동물적인 것•228
46. ‘자아-인간’이라는 실재성의 구성에 대한 감정이입의 의미•232
47. 감정이입과 자연의 구성•235
제3장 정신적 세계의 구성
48. 도입•241
제1절 자연주의 세계와 인격주의 세계의 대립
49. 자연주의 태도에 대립된 인격주의 태도•244
50. 환경세계의 중심인 인격•257
51. 인격적 연대 속의 인격•264
52. 주관적으로 나타나는 다양체와 객관적 사물 •277
53. 자연고찰과 정신고찰의 상호관계•287
제2절 정신적 세계의 근본법칙인 동기부여
54. 자기 관찰(inspectio sui)에서 자아•291
55. 환경세계에 대한 자신의 행동에서 정신적 자아•295
56. 정신적 삶의 근본법칙성인 동기부여•301
57. 순수 자아와 반성적 자기통각의 객체인 인격적 자아•334
58. 반성 이전에 인격적 자아의 구성•338
59. 능력의 주체인 자아 •342
60. ‘자유로운 자아’로서, 이성의 작용의 주체로서 인격•346
61. 정신적 자아와 그 토대•368
제3절 자연주의 세계에 대한 정신적 세계의 존재론적 우위
62. 인격주의 태도와 자연주의 태도가 서로 맞물려 있음•375
63. 심리물리적 평행론과 상호작용•384
64. 자연의 상대성과 정신의 절대성•394
부록
1. 구성에 대한 단계적 기술•403
2. 극(極)으로서의 자아와 습득성의 자아•412
3. 귓속 이명(耳鳴)의 장소화•414
4. ‘정신적 세계의 구성’으로 입문하기 위한 구상•416
5. 정신 삶 속에 정신이 미리 주어져 있음•423
6. 자기 관찰(‘나는 실행한다’와 ‘나는 소유한다’)•425
7. 자아와 그 대응물•427
8. ‘신체’와 ‘정신’의 통일체•432
9. 정신적 산출물•433
10. 인격적 자아와 환경세계. 객관적 실제성이 구성되는 단계. 순수 자아와
인격적 자아•434
11. 귀납적-자연적으로 파악된 인간—경험적 실재, 이 인간, 인격—은
능력의 자아도, 인격 자체, 특히 자유로운 인격성도 아니다•445
12. 인격과 주관성의 문제•452
13. 이론적 주제인 ‘인격적 주관성’•515
14. 정신과학 태도. 다른 종류의 직관적 인과성. 추상적-학문적 탐구.
정신과학 안에서 자연과학. 객체성의 개념•523
찾아보기•549
책속에서
정신은 곧 나타남의 통일체가 아니라 절대적 의식의 연관의 통일체, 더 정확하게 말하면, 자아의 통일체다. 또한 나타남은 자신의 절대적 존재를 지닌 의식의 연관의 상관자다. 그리고 나타남이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된다면, 곧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다수의 인격으로 소급된다. 상관자 그 자체는 인격과 그 체험에서 발판을 마련하며, 이들의 절대적 존재는 나타남의 상대적 존재에 선행한다. 후자의 모든 개체화는 전자의 절대적 개체화에 의존하고, 모든 자연의 현존은 절대적 정신의 현존에 의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