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白石詩全集

白石詩全集

백석 (지은이), 이동순 (엮은이)
창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4,8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7개 2,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白石詩全集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白石詩全集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36460112
· 쪽수 : 216쪽
· 출판일 : 1987-11-11

책 소개

1930년대 우리 시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분단 이후의 문학사에서 부당하게 매몰당한 백석 시인의 전집. 「주막」 「외가집」 「모닥불」 「여우난골족」 등 명품으로 빛나는 그의 시편들은 1936년 200부 한정판으로 첫 시집 『사슴』이 간행된 이후 그동안 한번도 책으로 묶여진 바 없었고, 그의 순정한 시정 ...

목차

1. 사슴
정주성 | 산지 | 주막 | 비 | 나와 지렝이 | 여우난골족 | 통영 | 흰 밤 | 고야 | 가즈랑집
고방 | 모닥불 | 오리 망아지 토끼 | 초동일 | 하답(夏沓) | 적경(寂境) | 미명계 | 성외(城外)
추일산조(秋日山朝) | 광원(曠原) | 청시(靑枾) | 산 비 | 쓸쓸한 길 | 자유( 榴) | 머루밤

여승 | 수라(修羅) | 노루 | 절간의 소 이야기 | 오금덩이라는 곳 | 시기(枾崎)의 바다
창의문외 | 정문촌 | 여우난골 | 삼방

2. 함주시초
통영 | 오리 | 연자간 | 황일 | 탕약 | 이두국주가도(伊豆國湊街道) | 창원도 남행시초 1
통영 남행시초 2 | 고성가도 남행시초 3 | 삼천포 남행시초 4 | 함주시초
북관 | 노루 | 고사 | 선우사 | 산곡 | 바다 | 추야일경 | 산중음(山中吟)

산숙(山宿) | 향악(響樂) | 야반(夜半) | 백화(白樺)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석양 | 고향 | 절망 | 외가집 | 개 |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 물닭의 소리 | 삼호(三湖) | 물계리
대산하 | 남향 | 야우소회(夜雨小懷) | 꼴두기 | 가무래기의 약 | 멧새 소리

넘언집 범 같은 노큰마니 | 동요부(童尿賦) | 안동 | 함남 도안 | 구장로 서행시초 1
북신 서행시초 2 | 팔원 서행시초 3 | 월림장 서행시초 4 | 목구(木具)

3. 북방에서
수박씨, 호박씨 | 북방에서 정현웅에게 | 허준 | 귀농 | 국수 | 흰 바람벽이 있어
촌에서 온 아이 | 조당( 塘)에서 | 두포나 이백같이 | 산 | 적막강산 |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칠월 백중 |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 부 산문 | 마을의 귀화 | 닭을 채인 이야기 | 마포

편지 | 가재미·나귀 | 동해 | 입춘

- 해설 | 민족시인 백석의 주체적 시정신 (이동순)
- 백석 연보
- 백석 작품 연보
- 참고문헌
- 낱말풀이

저자소개

백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白石, 1912~1996)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가장 토속적인 언어를 구사하는 모더니스트로 평가받는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오산학교와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 학원 영어사범과를 졸업했다. 1934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했고, 1935년 『조광』 창간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8월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定州城」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함흥 영생고보 영어교사, 『여성』지 편집 주간, 만주국 국무원 경제부 직원, 만주 안둥 세관 직원 등으로 일하면서 시를 썼다. 1945년 해방을 맞아 고향 정주로 돌아왔고, 1947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외국문학분과 위원이 되어 이때부터 러시아 문학 번역에 매진했다. 이 외에 조선작가동맹 기관지 『문학신문』 편집위원, 『아동문학』과 『조쏘문화』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1957년 발표한 일련의 동시로 격렬한 비판을 받게 되면서 이후 창작과 번역 등 대부분의 문학적 활동을 중단했다. 1959년 양강도 삼수군 관평리의 국영협동조합 축산반에서 양을 치는 일을 맡으면서 청소년들에게 시 창작을 지도하고 농촌 체험을 담은 시들을 발표했으나, 1962년 북한 문화계에 복고주의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어나면서 창작 활동을 접었다. 1996년 삼수군 관평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시집으로 『사슴』(1936)이 있으며, 대표 작품으로 「여우난골족」,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국수」, 「흰 바람벽이 있어」 등이 있다. 북한에서 나즘 히크메트의 시 외에도 푸슈킨, 레르몬토프, 이사콥스키, 니콜라이 티호노프, 드미트리 굴리아 등의 시를 옮겼다.
펼치기
백석의 다른 책 >
이동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0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났다. 경북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고,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198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었다. 시집 『개밥풀』 『물의 노래』 『지금 그리운 사람은』 『철조망 조국』 『그 바보들은 더욱 바보가 되어간다』 『꿈에 오신 그대』 『봄의 설법』 『가시연꽃』 『기차는 달린다』 『아름다운 순간』 『마음의 사막』 『미스 사이공』 『발견의 기쁨』 『묵호』 『멍게 먹는 법』 『마을 올레』 『좀비에 관한 연구』 『강제이주열차』 『독도의 푸른 밤』 『신종족』 『고요의 이유』 『내가 홍범도다』 『홍범도』 등이 있으며, 2003년 민족서사시 『홍범도』(전 5부작 10권)를 펴냈다. 평론집으로 『민족시의 정신사』 『시정신을 찾아서』 『잃어버린 문학사의 복원과 현장』 『우리 시의 얼굴 찾기』 『달고 맛있는 비평』, 산문집으로 『시가 있는 미국 기행』 『실크로드에서의 600시간』 『번지 없는 주막: 한국가요사의 잃어버린 번지를 찾아서』 『마음의 자유천지: 가수 방운아와 한국가요사』 『노래 따라 동해 기행』 『노래 따라 영남을 걷다』 『한국 근대가수 열전』 『나에게 보내는 격려』 『민족의 장군 홍범도』 『나직이 불러보는 이름들』 등이 있다. 1987년 매몰 시인 백석의 시 작품을 수집, 정리하여 분단 이후 최초로 백석의 시 전집을 발간함으로써 시인을 민족문학사에 복원시키고 백석 연구의 길을 열었다. 『백석시전집』 『권환시전집』 『조명암시전집』 『이찬시전집』 『조벽암시전집』 『박세영시전집』 등을 엮었다. 신동엽문학상, 김삿갓문학상, 시와시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산(山)턱 원두막은 비었나 불빛이 외롭다
헝겊 심지에 아주까리 기름의 쪼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잠자려 조을던 무너진 성(城)터
반딧불이 난다 파란 혼(魂)들 같다
어데서 말 있는 듯이 크다란 산새 한 마리 어두운 골짜기로 난다

헐리다 남은 성문(城門)이
한울빛같이 훤하다
날이 밝으면 또 메기수염의 늙은이가 청배를 팔러 올 것이다 ('정주성(定州城)', 본문 p.59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