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편 백호전집 상

신편 백호전집 상

임제 (지은이), 임형택, 신호열, 장유승, 이현일, 서한석 (엮은이)
창비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5% 0원
2,00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31,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편 백호전집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편 백호전집 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고전漢詩
· ISBN : 9788936472511
· 쪽수 : 630쪽
· 출판일 : 2014-11-25

책 소개

우리 문학사의 가장 낭만적이고 매력적인 문인의 한 사람인 백호 임제(林悌, 1549~1587)의 문학세계를 집대성한 바 있던 <역주 백호전집>(창작과비평사 1997)을 바탕으로 기존 번역과 주석을 다듬어 현대적으로 만듦새를 꾸민 <신편 백호전집>이 출간되었다.

목차

상권

책머리에

시詩

제1부 편년시編年詩
무진년戊辰年 1568
무진년 가을에 호남으로 향하면서

임신년壬申年 1572
동고東皐 만사輓詞 ┃금오산 아래로 떠나는 길사가吉士可를 전송하며 ┃밤에 앉아서 ┃철법사에게 ┃지호에게 ┃사선思禪 노스님에게 주다


계유년癸酉年 1573
장난삼아 쓰다 ┃서여윤을 보내며 ┃동암 벽상의 미인을 노래함 ┃웅점사에서 우연히 읊다 ┃느낌이 있어(2수) ┃최성을 송별하며 ┃금성에서 산사로 돌아가며 ┃야좌연구(2수) ┃정사정을 애도하는 만사 ┃스님에게 지어준 게송 ┃몽선요 ┃웅점사에서 우연히 짓다 ┃신군형에게 부치다(3수)

갑술년甲戌年 1574
금사에게 주다 ┃견흥遺興(2수) ┃출새행 ┃임고의 학 그림에 쓴 시 ┃영중營中에서 우연히 쓰다 ┃잠령의 민정閔亭 ┃상산 길에서 싸락눈을 만나
정악창수鼎岳唱酬 - 중흥동으로 들어가며 〔붙임〕원운原韻-양대박〔붙임〕차운하여-정지승 ┃운암 〔붙임〕원운-양대박 ┃차운하여-정지승 ┃실제失題 〔붙임〕원운-정지승 〔붙임〕차운하여-양대박 ┃비 끝에 읊다 〔붙임〕원운-양대박 ┃차운하여-정지승 ┃현옥玄玉의 시축에 차운하다 〔붙임〕차운하여-양대박 〔붙임〕차운하여-정지승 ┃정악연구鼎岳聯句(2수) ┃무릉계에서 〔붙임〕원운-양대박 〔붙임〕차운하여-정지승 ┃스님의 시축에 쓰다 〔붙임〕원운-정지승 〔붙임〕차운하여-양대박 ┃규대선에게 차운하여 줌 〔붙임〕원운-정지승 〔붙임〕차운하여-양대박 ┃중흥사에 묵으며 〔붙임〕차운하여-양대박 〔붙임〕차운하여-정지승 ┃연구聯句 ┃석령에서 산으로 돌아가는 스님을 보내며 지은 연구 ┃석령 제일봉에 올라 ┃〔붙임〕차운하여-양대박〔붙임〕차운하여-정지승 ┃사한동 〔붙임〕차운하여-정지승 〔붙임〕차운하여-양대박 ┃가을 재실에서 ┃휘상인에게 주다 ┃봉래의 ┃눈 쌓인 매화 ┃피풍아避風兒

을해년乙亥年 1575
낭주 가는 길에 ┃도갑사 동문 ┃월출산 노래 ┃취중에 금성을 지나니 ┃한식에 금성을 지나 풍포로 가면서 ┃남도에서 서울 가는 도중에 짓다 ┃금강루에 올라 ┃문상인文上人에게 주다 ┃도잠 스님에게 ┃능운 스님에게 ┃회포를 읊다 ┃부르는 운에 맞춰 벼루를 읊다 ┃박사상에게 취흥으로 드리다 ┃고열苦熱 〔붙임〕관원灌園의 시 ┃화병의 연꽃을 노래하다 〔붙임〕차운하여-관원 〔붙임〕차운하여-김명원 ┃당막에 드리는 시 〔붙임〕차운하여-관원 〔붙임〕차운하여-김명원 ┃박사상께 〔붙임〕차운하여-관원 ┃박사상께(1) 〔붙임〕차운하여-관원 ┃박사상께(2) 〔붙임〕차운하여 관원 ┃박사상께(3) 〔붙임〕차운하여-관원 ┃대행대비大行大妃 만사挽詞

병자년丙子年 1576
중부 풍암 선생 만사 ┃한강 배 안에서(2수) ┃관성여사管城旅史 ┃갈원에서 인편에 금琴을 타는 혜원 스님에게 부치다 ┃한명회의 무덤을 지나며 ┃새벽에 닭 울음을 듣고 ┃아침에 거문고를 타며 ┃서원객헌에 있는 시를 차운하다(2수) ┃지동년의 집에 묵으며 ┃효자 이몽경의 문을 지나며 ┃법주사에서 얻은 시 ┃북호北胡 부락 ┃느낌이 있어 ┃주운암에 당도하여 ┃기사記事 ┃술회 ┃김원기가 술을 들고 찾아와서 ┃남교(2수) ┃속리산 문답 ┃선대仙臺에서 동주를 추억하여 ┃불사의암 ┃불사의암에서 거처로 돌아와서 조금 앓는 중에 회포를 읊다 ┃한밤에 ┃꿈속에서 ┃법주사에서 채수재를 송별하여 ┃종곡에서 상운 도자道者에게 줌 ┃춘천으로 어버이를 뵈러 가는 허경신을 보내며 ┃김수재에게 주다 ┃복천사 회고 ┃법주사잡영 이십수 20수 ┃차운하여 성초에게 주다 ┃사인 스님에게 주다 ┃선방에서 함께 지낸 혜능에게 주다 ┃지재 스님에게 주다 ┃도정에게 ┃원오에게 〔붙임〕 유촌의 시 ┃명해 스님에게 주다 ┃

정축년丁丑年 1577
영회詠懷 ┃박운거의 집에 도착하여 며칠간 묵으면서 칠언장구七言長句 1수를 지어주다 ┃김수재와 작별하며 지어주다 ┃박운거 초정 8수 ┃고암을 지나며 ┃고당 길에서 ┃고당강 추억 ┃선대봉 폭포를 다시 구경하고 ┃무주 가는 길에 ┃강선대를 지나 ┃장필무 장군 ┃장필 장군을 추억하며 ┃무주 한풍루 ┃박이항 형제에게 ┃고향 생각 ┃기행紀行 ┃행로난行路難 ┃눈을 무릅쓰고 임실현 당도하니 ┃고석정에서 ┃제석除夕 닷새 전에 취중에 쓰다

무인년戊寅年 1578
경은의 시에 차운하다 ┃깊은 산골짝 시냇물 ┃호선사浩禪師에게 부치다 ┃북방으로 부임하는 외숙 윤만호를 송별하며 ┃벗을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하고 시를 지어 보내다 ┃이경숙의 정우당에 붙여 ┃당귀초를 심고 〔붙임〕차운하여-관원 ┃금강산을 가려다 못 가고 ┃계용에게 주다 ┃계용에게 답함(2수) ┃다시 계용에게 답함 ┃성절사로 중국 가는 양송천 선생을 송별하며 ┃세심대에서 석천 시에 차운하며 ┃절구絶句 ┃영담에서 ┃산을 나오면서 스님에게 준 시 ┃소회를 읊어 관원에게 드림 〔붙임〕차운하여-관원 ┃산수를 그린 부채에 쓰다 ┃강상곡 ┃물가의 기러기 ┃강가의 절 ┃낙엽 ┃밝은 달 ┃금객琴客 ┃압구정
용성창수龍城唱酬 -용성에서 손사군에게 줌 〔붙임〕원운-이달 ┃손곡의 시에 차운하여 〔붙임〕원운-이달 ┃송암의 시에 차운하여
〔붙임〕 원운-양대박 〔붙임〕차운하여 동리-이달 〔붙임〕차운하여-백광훈 ┃동리의 시에 차운하여 〔붙임〕원운-이달 ┃또 동리의 시에 차운하여 〔붙임〕원운-이달 ┃연구聯句 ┃김장원 사수士秀와 작별하며

기묘년己卯年 1579~경진년庚辰年 1580
철령에서 ┃꿈을 꾸고 느껴서 ┃역루 ┃역에서 회포를 쓰다 ┃새하곡 ┃백우전 ┃무제 ┃이달의 시에 차운하여 ┃도사都事의 시에 차운하여 ┃도사에게 드림 ┃거듭 차운하여 ┃서울로 돌아가는 도사 선배를 전송하며 ┃돌아가는 조판관을 송별하며 ┃저물녘에 길을 가며 ┃대곡선생 만사 ┃안상사 효원에게 ┃의주의 작별 ┃쌍백정 ┃순무의 시에 차운하여 ┃시중대 ┃마운령 ┃원수대 ┃원수대 일출 ┃영동 차운 ┃임명역에서 차운하여 ┃길주를 지나며 ┃오촌보吾村堡를 지키는 김자유를 송별하여 ┃경성에서 ┃수성의 촌에서 ┃경흥부 ┃경흥 망적대 ┃관원에게 ┃순무사의 무양당 시에 차운하여 ┃조정으로 돌아가는 정암선생에게 ┃허어사許御史가 나를 별해別害로 송별한 시에 차운하여 ┃서울로 가는 순무어사 허봉에게 ┃수찬 김수가 중국 가는데 멀리서 지어주다 ┃간운看雲 생각 ┃고한苦寒 ┃황초령을 밤에 넘다 ┃기행 ┃별해 길 도중의 시에 다시 차운하여 ┃홍원에서 ┃석룡굴 ┃정융강 ┃보현사 동구 ┃일선一禪 강당 ┃성준에게 ┃경륜 대선에게 ┃지웅에게 ┃국진굴 ┃성불암에서 휴정을 맞아 이야기하다 ┃상원암 ┃안심사 ┃목련협 ┃침허루 차운 ┃관원선생을 애도함(6수) ┃장가행長歌行 ┃상산협에서 입에서 나오는 대로 부르다 ┃도사의 시에 차운하여 ┃역중에서 소회를 쓰다 ┃자술

신사년辛巳年 1581~임오년壬午年 1582
반금당 ┃창도역 차운 ┃회양부에서 원옹元翁에게 주다 ┃회양의 윤사문을 작별하며 ┃최종성을 전별하는 시 ┃백호白湖에서 자고 용성으로 가면서 ┃ 남례역에서 묵으며 ┃즉사卽事 ┃현재縣齋의 일을 적어 허미숙에게 부치다 ┃9월 9일에 두 아우와 용두천에서 노닐어 ┃대둔산으로 놀러가면서 ┃대둔사 동구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장춘동 잡언 ┃대둔사 ┃즉사 ┃정상인正上人에게 ┃스님에게 ┃아우 자중子中의 시에 차운하여 ┃북미륵 ┃석굴 속의 곡기 끊은 스님 ┃두륜봉에 올라 탐라를 바라보며 ┃호남을 떠나는 구감사具監司에게 드리는 글 ┃무위사로 가는 길 ┃무위사에서 묵으며 ┃월남사 절터를 지나며 ┃백옥봉 만사

계미년癸未年 1583~갑신년甲申年 1584
북으로 가는 절도사 정언신을 전송하며 ┃양대박과 작별하며 ┃중길仲吉의 시에 차운하여 안거사安居士에게 ┃안거사와 작별하며 ┃안거사가 요성遼城으로 떠나며 이별시를 청하기에 ┃진위 동헌에서 ┃청석골에서 ┃송도를 지나며 ┃송도 고궁을 지나면서 차운하다 ┃송도 회고시에 차운하다(10수) ┃검수역 누각 ┃총수산?秀山 ┃안성역 누각에 올라 ┃아우의 시에 차운하다 ┃황강 길에서 ┃생양관에서 ┃안정관에서 눈을 만나 ┃숙천 원 문옥동에게 ┃안주에서 윤어사 수부에게 ┃백상루에 올라 ┃철옹성의 모란봉 약산대를 바라보며 ┃정주관 현판의 시에 차운하여 ┃정주에서 정포은의 시에 차운하여 ┃거련관에서 ┃거련관 반송蟠松 ┃쌍충묘에 들러 ┃용천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며 ┃산점山店 ┃인산에 당도하여 자침子?의 시에 차운하다 ┃인주에서 절도사 휘하에 부쳐 ┃관등날 저녁에 ┃절도節度형과 고죽·인봉에게 부쳐 화답을 청함 ┃취승정에서 읊다 ┃취승정 ┃구룡담에서 배를 띄워 취벽을 구경하고 ┃구룡담에서 남으로 내려가며 ┃아우 선?을 남쪽으로 떠나보내며 ┃안도사가 찾아와서 ┃기사記事 ┃즉사卽事 ┃삼춘체三春體 ┃아침 일찍 인산을 떠나며 ┃길에서 비를 만나 ┃선천 가는 길에 ┃정주 길에서 ┃정주 객관에서 자침과 작별하여 ┃한식날 길에서 아우의 편지를 받고 ┃청천강을 건너며 ┃병중에 김자앙에게 부치다 ┃새벽 창에 우는 새소리를 듣고 ┃지산인池山人을 보내면서 ┃아우 환?의 시에 차운하여 ┃4월 18일 술회 ┃곽산 길에 ┃임금단任金丹에게 ┃꾀꼬리 소리를 듣다 ┃늦게 일어나다 ┃박점마에게 작별하며 준 시 ┃산중 고을 ┃산가山家 ┃방백 막하에 ┃평양서 몸져누워 서윤 선생께 편지를 보내다 ┃연광정 ┃은밀대에 올라 선연동을 바라보며 ┃패강 푸른 물결에 배를 띄워 ┃배 타고 가며 ┃윤기尹妓에게 ┃옥정에게 ┃다시 향렴 절구 한 수를 지어주다 ┃기생의 죽음을 애도하며 ┃탄금곡 ┃패강가浿江歌 ┃보원상인에게 ┃서장관 장운익을 송별하며 ┃허서장관 만사 ┃영변의 수구문을 지나며 ┃노저의 시를 차운하여 스님에게 주다 ┃천참사에게 ┃진사를 송별하여 ┃황회지를 함관 군막으로 송별하며 ┃이절도 만사 ┃다시 앞의 시의 운을 사용하여 ┃빗소리 ┃기사記事 ┃비파협 ┃인풍루 ┃상토진 ┃수항정 시에 차운하다 ┃소대小臺 ┃적유령 ┃감회시 ┃해경海?에게 차운하여 주다 ┃이암의 시를 차운하여 계호에게 주다 ┃기몽紀夢 ┃지천의 시에 차운하여 ┃주청정사奏請正使 지천 정승의 송별시 ┃서상관 한응인을 작별하는 시 ┃송질정 상현을 작별하는 시 ┃태헌의 시에 차운하여 현준에게 주다 ┃답청일 즉사卽事 ┃새벽에 신안을 떠나며 ┃대곶大串 ┃섬 서쪽 돌섬 위에 단이 쌓여 있기에 ┃산골에서 비를 만나 ┃의주에 당도하여 ┃5월 17일 삭주에서 ┃삭주의 술 ┃수문탄 ┃직동보에서 김권관에게 ┃파저강 ┃창성에서 ┃배 타고 가면서 ┃성남에서 밤 이야기 ┃모란봉 ┃영명사에서 묵으며 ┃무제 ┃평양 기생을 대신하여 그의 정인情人에게 ┃김이옥과 이별하며 ┃김이옥에게 ┃원문轅門에서 잠이 깨어 짓다
부벽루상영浮碧樓觴詠 『부벽루상영록』 뒤에 붙여

을유년乙酉年 1585
고흥 현판의 시에 차운하여 ┃고흥으로 가면서

병술년丙戌年 1586
대궐의 입춘첩 ┃대궐의 영상첩자迎祥帖字 ┃입춘첩자立春帖字 ┃김이옥에게

정해년丁亥年 1587
경성판관으로 가는 황경윤을 전별하여 ┃누구를 대신해서 짓다 ┃동작대 그림에 붙여 ┃병중에 마음을 달래다 ┃스스로를 애도하다
하권 차례

시詩

제2부 미편년시未編年詩
애정愛情
수줍어 말 못하고 ┃복암사에서 우연히 향렴체로 짓다 ┃거문고 아가씨에게 ┃무제 ┃향렴체 ┃향렴체로 우연히 짓다 ┃그네타기 노래 ┃무제 ┃영사詠史 ┃고의古意 ┃장난삼아 짓다 ┃별의別意 ┃향렴체로 지어 경수에게 주다 ┃무제 ┃어느 여인을 위하여 ┃기생 만사 ┃배 젓는 노래 ┃그리움 ┃무제 ┃별의別意 ┃서곤체를 본떠 ┃안원헌의 운을 써서 서곤체로 짓다 ┃무제無題 ┃억진아憶秦娥

증답贈答
이평사를 송별하여 ┃성이현과 작별하며 ┃만월대에서 벗과 작별하며 ┃김여명과 작별하며 ┃김생이 공사貢士로 상경하기에 ┃김시극의 부채에 청계의 시를 차운하여 쓰다 ┃무진장에서 김시극에게 ┃김시극과 작별하며 ┃고인후에게 ┃금객琴客에게 ┃유우경에게 ┃떠나는 이에게 ┃김목사에게 부쳐 ┃남간에서 성칙우에게 주는 시 ┃낙매를 노래하여 칙우에게 주다 ┃유상사에게 ┃안극회와 작별하며 ┃정자신의 시에 차운하여 ┃정자신을 그리며 ┃정지승의 시에 차운하여 ┃정자신을 송별하여 ┃정자신에게 ┃회계로 부쳐 ┃서울 가는 청계를 송별하여 ┃송암에게 주다 ┃서릉에서 〔붙임〕남창의 시 ┃김남창과 전사관典祀官에 차정되어 주고받은 시 ┃김남창의 시에 차운하여 ┃서릉에서 이참봉에게 ┃창녕 냇가에서 김대중과 취중에 작별하며 ┃심발지에게 부쳐 ┃동년 박천우에게 편지를 부치다 ┃함평에서 오수보에게 주다 ┃취중에 벗의 시를 차운하다 ┃춘호와 농서두 시인에게 ┃정담에게 ┃정몽여의 부채에 써서 ┃강경필에게 ┃현무에게 ┃현무와 작별하며 ┃진경문 수재에게 ┃다시 경수 등 여러분에게 ┃흥의역에서 ┃청川 목사에게 ┃앙암 주중에서 ┃술을 보내옴에 감사하여 ┃고당강의 병든 벗을 찾아 ┃호서영에서 안중실과 작별하며 ┃송별 ┃안시은에게 ┃곽미수에게 주다 ┃읍청정 주인에게 ┃관수정 주인에게 ┃허씨의 계당에서 하서의 시에 차운하여 ┃신유선에게 작별하며 준 글 ┃전계하 선생에게 ┃김원외가 고을살이를 원해 나가는 데 부쳐 ┃김판관에게 ┃녹양역에서 남랑과 작별하며 ┃남군초에게 ┃즉사卽事 ┃백운산에서 김석여와 작별하며 ┃한심약에게 ┃상수와 작별하며 ┃자관의 시에 차운하여 임경침에게 주다 ┃백련사에서 자관의 시에 차운하여 ┃아우 자침에게 부치다 ┃아우 자중의 부채에 써주다 ┃만덕사로 가는 아우 탁에게 ┃아우 탁을 송별하며 아울러 심발지에게 부치다 ┃금리에 아우들을 두고 떠나며 ┃신춘新春에 아우들에게 부치다

제영題詠
해일루에 붙여 ┃지황문의 강정 ┃만취정 10영 ┃영사당 8영 ┃춘초정에 묵으며 ┃바람 부는 밤 고정高亭에서 ┃영벽당 ┃수월정 8영 ┃송부마의 수월정을 지나면서 ┃영귀정 시에 차운하여 ┃눈금당 ┃고송정의 서늘함 ┃청허정 ┃취하여 송송정에 쓰다 ┃청영정 ┃거야 김장의 집 ┃쌍벽당 ┃요월당 〔붙임〕원운 풍암 ┃희경루 ┃이승지 산재 ┃춘초정에 붙여 ┃소요정 ┃용호의 청영정 ┃응취정에 붙여 ┃애련당, 풍암 중부仲父의 시에 차운하여 ┃청계정사 비오는 날 ┃차운하여 육우암에 쓰다

도석道釋
진감에게 ┃원명의 시축詩軸에 쓰다 ┃안도사에게 ┃현민의 시축에 쓰다 ┃법사의 시축에 차운한 시 ┃인호 스님에게 ┃계묵에게 ┃설순의 시축에 적힌 풍암 중부의 시에 차운하다 〔붙임〕원운 풍암 ┃약사전에서 영언에게 ┃경신에게 ┃백록의 시에 차운하여 정원에게 주다 ┃스님의 시축에 쓰다 ┃일웅의 시축에 쓰다 ┃수학하는 중에게 ┃천연에게 ┃규선에게 ┃경담에게 ┃보웅에게 ┃보운스님에게 ┃차운하여 청운에게 주다 ┃인감의 시축에서 관원의 시를 보고 감회가 일어 화답하다 ┃유오에게 주다 ┃담정에게 ┃스님의 시축에 쓰다 ┃스님에게 ┃도잠 노승에게 ┃촛불 들고 홍작약을 구경하다 ┃윤참판 시에 차운하여 거문고 타는 중에게 주다 ┃고태헌 시에 차운하여 성은의 시축에 쓰다 ┃봉암의 예전 은거하던 곳을 찾아 ┃태능에게 차운하여 주다 ┃율곡 시에 차운하여 조일에게 주다 ┃해우 스님에게 ┃처영에게 ┃봉암을 찾아 유숙하며 ┃차운하여 스님에게 주다 ┃우瑀 노장에게 ┃즉사 ┃스님의 시권詩卷에 차운하여 ┃옥로 스님의 시에 차운하여 ┃고향의 중 천진에게 ┃석천 시에 차운하여 원공에게 지어주다 ┃무등산 스님의 시축에 차운하여 ┃중의 시축에 우연히 쓰다 ┃덕린의 시축에 차
운하여 ┃지정의 시축에 쓰다 ┃홍찬의 시축에 쓰다 ┃절립승 ┃광혜대선에게 차운하여 주다 ┃가지사 ┃태헌의 시에 차운하여 스님에게 주다 ┃금선요金仙謠 ┃매당자명록 ┃지상至祥의 시에 차운하여 ┃신웅의 시에 차운하여 ┃유관의 시에 차운하여 ┃언홍에게 ┃의영의 시에 차운하여 ┃충서의 시에 차운하여 ┃가언의 시에 차운하여 ┃태화의 시에 차운하여 ┃보기寶器의 시에 차운하여 ┃일정一正에게 ┃영회·우의·즉사 ┃만흥 ┃영회 ┃젊은 협객 ┃강남행 ┃백호에서 짓다 ┃송추를 지나며 소회를 읊다 ┃서호 시에 차운하여 ┃금하에서 가을 무지개를 보고 ┃병든 학을 노래하여 ┃남당 ┃무제 ┃냇가의 집에서 몸져누워 ┃이 사람 ┃청강사 ┃창랑곡 ┃봄이 저물도록 황화방에 있어 ┃생애동에서 밤에 두견의 울음을 듣고 ┃밤에 어가漁歌를 듣고 ┃고의古意 ┃봄날에 우연히 읊다 ┃배를 타고 ┃우담 ┃비 오는 날 서울 집에서 ┃중굿날 ┃새벽에

영물詠物
시냇물 ┃두견새 ┃청설晴雪 ┃개천의 고기를 바라보며 ┃해오라
기 ┃버들솜〔柳絮〕 ┃꾀꼬리 소 ┃단문端門의 만지등萬枝燈

제화題畵
가길嘉吉의 그림에 감사하여 ┃대 그림에 읊다 ┃김생의 해장도海莊圖에 붙이다 ┃소병小屛에 쓴 시

기행紀行
압촌에 묵으며 ┃양화나루 ┃길에서 ┃동파역 ┃무계진을 건너며 ┃백호로 가는 길에 ┃광산 성중에 투숙하여 ┃도중途中에서 ┃밤이 들어 여강에 배를 매고 ┃새벽에 저도楮島에 정박하여 서울을 바라보고 ┃기행 ┃무산일단운巫山一段雲 ┃신안에서 ┃주행舟行 ┃기사記事

만시挽詩
진제학 따님 만사 ┃조카 김극형 만사 ┃참봉 장수 만시 ┃통판通判 이가원 만사 ┃김절도사 만사 ┃망녀亡女 만사 ┃망녀 만사 ┃망녀전사亡女奠詞

기타
금성곡 ┃오산곡 ┃초산곡 ┃섬에서 사냥하는 것을 보고 ┃전가원田家怨 ┃장수 48인이 뽑힌 것을 보고


하권

산문散文--------

제1부
의마意馬
면앙정부?仰亭賦
동지를 경축하여 올리는 글
석림정사 중수문
대곡선생 제문
스승 김흠지 제문
게으름을 전송하는 글
청등논사靑燈論史

제2부
수성지
원생몽유록
화사花史
유여매쟁춘柳與梅爭春
봄을 전별하는 글

제3부
남명소승南溟小乘

原文
第一部
意馬
?仰亭賦
至日賀箋
石林精舍 重修文
祭大谷先生文
祭亡師金欽之文
送懶文
靑燈論史

第二部
愁城誌
元生夢遊錄
花史
柳與梅爭春
餞東君序

第三部
南溟小乘

부록 原文
白湖先生 年譜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중기 때 문신으로 자는 자순, 호는 백호, 본관은 나주이다. 16세기 시문학계의 맹주였을 뿐만 아니라. 소설 문학에서도 독보적인 대표적 소설가였다. 남인의 당수 미수 허목의 외할아버지이기도 하다.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정랑을 지냈으나, 선비들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다투는 것을 개탄하고 전국의 명산대천을 찾아 팔도강산을 주유천하하며 여생을 보냈다. 문장과 시에 뛰어난 천재였던 그는 정감어린 시어로 시속풍정을 노래했을 뿐 아니라 남다른 우국충정으로 비분강개하는 시도 많이 남겼다. 일세의 기인, 때로는 다정다감한 시인, 천군만마를 호령할 만한 기백의 지사, 헛된 명리를 멀리했던 풍류가객이었다. 선조 20년(1587) 음력 8월 21일에 39세의 나이로 짧지만 굵직했던 삶을 마쳤다. 조선이 중국의 속국 형태로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죽은 뒤 곡을 하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저서로 시모음집으로 《백호집白湖集》이 있으며 소설에는 대표작 《서옥설》 외에 《원생몽유록》, 《화사》,《수성지》 등 4편이 전한다.
펼치기
임형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유학과 실학, 당대 동아시아 고전을 연구하고 널리 소개해온 원로 한문학자이자 한국학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정년퇴임 후 같은 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문명의식과 실학』 『동아시아 서사와 한국소설사론』 등이, 공편역서로 『백호전집』 『역주 목민심서』 『역주 매천야록』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호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주백(周伯)이고 호는 우전(雨田). 1914년 전남 함평에서 출생하고 1993년 별세했다. 일찍이 겸산(謙山) 이병수(李炳壽) 선생으로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한학을 수학했으며 특히 유가 경전과 한시에 조예가 깊었다. 동국대·서울대·고려대·성균관대 대학원 등에서 강의했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교수를 역임했고, 1985년 민족문화추진회 제정 제1회 고전국역상을 수상했다. 역서로 『완당전집』 『하서전집』 『퇴계시』 등 수십 종이 있다.
펼치기
장유승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일공부》,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 《조선잡사》(공저), 《하루한시》(공저), 《동아시아의 문헌교류》(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서경시화 : 평양의 시와 인물들》, 《동국세시기》, 《한국산문선》(공역) 등이 있다.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으로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 《동아시아의 문헌교류》로 한국출판학술상 우수상을 받았다.
펼치기
이현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시인인 신위(申緯)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언젠가 ‘조선 후기 한시사(漢詩史)’를 써 보겠다는 꿈을 가지고, 꾸준히 18~19세기의 한시 작가들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명청 시대 중국 강남 지역의 문화와 학술에 관심을 두고 조선에 끼친 그들의 영향을 추적하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부교수이다.
펼치기
서한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전문위원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번역서로 《갑인연행록》,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이계집1》, 《이계집5》가 있고 공역서로 《이계집2》, 《지정연기》, 《주영편》, 《신편 백호전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