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암집 - 중

연암집 - 중

(개정판)

박지원 (지은이), 신호열, 김명호 (옮긴이)
돌베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9,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암집 - 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암집 - 중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71992685
· 쪽수 : 593쪽
· 출판일 : 2007-02-26

책 소개

조선 후기의 저명한 실학자이자 문장가인 연암 박지원의 문집. 연암의 한시, 서간문, 비문, 서문, 발문, 소품문, 한문소설 등 총 237편의 산문과 한시 42수가 수록되었다.

목차

[ 연암집 - 상 ]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연암집 제1권 - 연상각선본
이자후의 득남을 축하한 시축의 서문
회우록서
초정집서
기린협으로 들어가는 백영숙에게 증정한 서문
족형 도위공의 환갑에 축수하는 서문
홍범우익서
해인사에서 창수한 시의 서문
담연정기
합천 화양동 병사기
영사암기
이존당기
안의현 사직단 신우기
안의현 여단 신우기
백척오동각기
공작관기
하풍죽로당기
독락재기
안의현 현사에서 곽후를 제사한 기
충신 증 대사헌 이공 술원 정려음기
거창현 오신사기
함양군 학사루기
함양군 홍학재기
발승암기
소단적치인
옥새론
김 유인 사장
열녀 함양 박씨전 병서

연암집 제2권 - 연상각선본
삼종질 종악 이 정승에 제수됨을 축하하고 이어 시노 문제를 논한 편지
김우상 이소에게 축하하는 편지
현풍현 살옥의 원범을 잘못 기록한 데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밀양 김귀삼의 의옥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함양 장수원의 의옥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밀양의 의옥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진정에 대해 단성 현감 이후에게 답함
진정에 대해 대구 판관 이후 단형에게 답함
남 직각 공철에게 답함
- 부 원서
족형 윤원씨에게 답함
- 부 원서
원도에 대해 임형오에게 답함
함양 군수 윤광석에게 보냄
족제 이원에게 보냄
공주 판관 김응지에게 답함
응지에게 답함 1
응지에게 답함 2
응지에게 답함 3
응지에게 답함 4
응지에게 보냄
이중존에게 답함 1
이중존에게 답함 2
이중존에게 답함 3
진정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1
진정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2
순찰사에게 올림
- 부 병영에 올린 보첩의 초본
순찰사에게 답함 1
순찰사에게 답함 2
- 부 감사의 자핵소 초본
족손 증 홍문관 정자 박군 묘지명
맏누님 증 정부인 박씨 묘지명
맏형수 공인 이씨 묘지명
홍덕보 묘지명
치암 최옹 묘갈명
이 처사 묘갈명
증 사헌부 지평 예군 묘갈명
참봉 왕군 묘갈명
가의대부 행 삼도통제사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시 충강 이공 신도비명 병서
주공탑명

[ 연암집 - 중 ]

일러두기

연암집 제3권 - 공작관문고
자서
계우에게 증정한 서문
낭천 수령으로 나가는 삼백수를 송별하는 서문
은산 수령으로 나가는 서원덕을 송별하는 서문
대은암에서 창수한 시의 서문
자소집서
유구에게 증정한 서문
여름날 밤잔치의 기록
초구에 대한 기록
조부께서 손수 쓰신 한림 추천서에 대한 기록
소완정의 하야방우기에 화답하다
불이당기
소완정기
금학동 별장에 조촐하게 모인 기록
만휴당기
명론
백이론 상
백이론 하
형암 행장
<위학지방도> 발문
<회성원집> 발문
필세설
서얼 소통을 청하는 의소
주금책
유사경에게 답함
황윤지에게 감사함
어떤 이에게 보냄
홍덕보에게 답함 1
홍덕보에게 답함 2
홍덕보에게 답함 3
홍덕보에게 답함 4
유수가 대궐에서 하사받은 귤 두개를 보내 준 데 감사한 편지
족손 홍수에게 답함
함양 군수에게 답함
순찰사에게 답함
어떤 이에게 보냄
순찰사에게 올림
김우상에게 올림
김계근에게 답함
전라 감사에게 답함
이 감사 서구가 귀양 중에 보낸 편지에 답함
순찰사에게 답함
순찰사에게 올림
- 부 보첩의 초본
순찰사에게 답함
순찰사에게 올림 1
순찰사에게 올림 2
영목당 이공에 대한 제문
장인 처사 유안재 이공에 대한 제문
오천 처사 이장에 대한 제문
이몽직에 대한 애사
유경집에 대한 애사
재종숙부 예조 참판 증 영의정공 묘갈명
삼종형 수록대부 금성위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 증시 충희공 묘지명

연암집 제4권 - 영대정잡영
총석정에서 해돋이를 구경하다
좌소산인에게 주다
해오라비 한 마리
농삿집
산해도를 열람한 노래
해인사
갓을 노래한 연구
담원 팔영
설날 아침에 거울을 마주보며
새벽길
극한
산중에서 동짓날 이생에게 써 보이다
산행
이거
노군교
필운대의 꽃구경
강가에 살며
압록강을 건너 용만성을 돌아보다
구련성에서 노숙하며
통원보에서 비에 막히다
요동 벌판을 새벽에 지나며
동관에서 유숙하다
[원문 빠짐] 절구 한 수를 ?윱?
[원문 빠짐] 말 위에서 구호하다
필운대에서 살구꽃 구경하며
절구 네 수
강가에 살며 멋대로 ?윱?
연암에서 선형을 생각하다
홍태화의 비성아집 시에 차운하다
재실에서
술을 조금 마시다
구일날 맹원에 올라 두목의 시에 차운하다

연암집 제5권 - 영대정잉묵
자서
경지에게 답함 1
경지에게 답함 2
경지에게 답함 3
중일에게 보냄 1
중일에게 보냄 2
중일에게 보냄 3
창애에게 답함 1
창애에게 답함 2
창애에게 답함 3
창애에게 답함 4
창애에게 답함 5
창애에게 답함 6
창애에게 답함 7
창애에게 답함 8
창애에게 답함 9
설초에게 보냄
치규에게 보냄
중관에게 보냄
어떤 이에게 보냄
중옥에게 답함 1
중옥에게 답함 2
중옥에게 답함 3
중옥에게 답함 4
북쪽 이웃의 과거 급제를 축하함
사강에게 답함
영재에게 답함 1
영재에게 답함 2
아무게에게 답함
성지에게 보냄
석치에게 보냄 1
석치에게 보냄 2
석치에게 보냄 3
석치에게 보냄 4
어떤 이에게 보냄
아무개에게 보냄 1
아무개에게 보냄 2
군수에게 답함
중존에게 보냄
경보에게 보냄 1
경보에게 보냄 2
원심재에게 보냄
초책에게 보냄
성백에게 보냄 1
성백에게 보냄 2
종형에게 올림 1
종형에게 올림 2
대호에게 답함 1
대호에게 답함 2
대호에게 답함 3
담헌에게 사과함

[ 연암집 - 하 ]

일러두기
찾아보기

연암집 제6권 별집 - 서사
이방익의 사건을 기록함

연암집 제7권 별집 - 종북소선
자서
낭환집서
녹앵무경서
우부초서
능야시집서
북학의서
풍악당집서
유씨도서보서
영처고서
형언도필첩서
녹천관집서
영재집서
순패서
염재기
관재기
선귤당기
애오려기
환성당기
취미루기
이당의 그림에 제하다
천산엽기도 발문
청명상하도 발문
관재가 소장한 청명상하도 발문
일수재가 소장한 청명상하도 발문
담헌이 소장한 청명상하도 발문
우인의 국화시 시축에 제하다
효자 중 사헌부 지평 윤군 묘갈명
양 호군 묘갈명
취묵과 김군 묘갈명
운봉 현감 최군 묘갈명

연암집 제8권 별집 - 방경각외전
자서
마장전
예덕선생전
민옹전
광문자전
- 광문전 뒤에 쓰다
양반전
김신선전
우상전
역학대도전 유실됨
봉산학자전 유실됨

연암집 제9권 별집 - 고반당비장
조부 자헌대부 지돈녕부사 증시 장간공 부군 가장
승지 증 이조 판서 나은 이공 시장
예조 참판 중 영의정 부군 모표음기
문효세자 진향문
정종대왕 진향문
양 경리 호 치제문
형 상서 개 치제문
연분 가청 장계 무오년
연분 가청 장계 정사년
둔암집서
공손앙이 진나라에 들어가다

연암집 제10권 별집 - 엄화계수일
열부 이씨 정려음기
말 머리에 무지개 선 것을 보고 기록하다
취하여 운종교를 거닌 기록
주영렴 수재기
죽오기
도화동 시축발
사장 애사
정석치 제문
남수이게 답함
어떤 이에게 보냄
족제 준원에게 보냄
영규비
박 열부 사장
이 열부 사장
원사

저자소개

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후기의 탁월한 문장가이자 실학자다. 박사유(朴師愈)와 함평(咸平) 이씨(李氏) 사이에서 2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6세에 처사 이보천(李輔天)의 딸과 결혼했다. 장인에게는 《맹자》를, 처삼촌 이양천(李亮天)에게는 《사기(史記)》를 배워 본격적인 학문을 시작했다. 처남인 이재성(李在誠)과는 평생의 문우(文友) 관계를 이어 갔다. 청년 시절엔 세상의 염량세태에 실망해 불면증과 우울증으로 고생했으며 이러한 성장 배경을 바탕으로 진실한 인간형에 대해 모색한 전(傳) 아홉 편을 지어 《방경각외전(放?閣外傳)》이라는 이름으로 편찬했다. 영조 47년(1771) 마침내 과거를 보지 않기로 결심하고 서울 전의감동(典醫監洞)에 은거하면서 홍대용,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을 비롯한 많은 젊은 지식인들과 더불어 학문과 우정의 세계를 펼쳐 갔다. 정조 2년(1778) 홍국영이 세도를 잡고 벽파를 박해하자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황해도 금천군(金川郡)에 있는 연암협(燕巖峽)으로 피신해 은둔 생활을 했다. 연암이라는 호는 이 골짝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정조 4년(1780)에 삼종형(三從兄)인 박명원(朴明源)의 연행(燕行) 권유를 받고 정사의 반당 자격으로 북경에 가게 되었다. 이때 건륭 황제가 열하에서 고희연을 치르는 바람에 조선 사신 역사상 처음으로 열하에 가는 행운을 얻게 되었다. 연행을 통해 깨달음을 확대한 연암은 여행의 경험을 수년간 정리해 《열하일기》를 저술했다. 정조 10년(1786) 유언호의 천거로 음사(蔭仕)인 선공감(繕工監) 감역(監役)에 임명되었다. 정조 13년(1789)에는 평시서주부(平市署主簿)와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역임했고, 정조 15년(1791)에는 한성부 판관을 지냈다. 그해 12월 안의현감에 임명되어 다음 해부터 임지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정조 임금이 문체를 타락시킨 장본인으로 《열하일기》를 쓴 연암을 지목하고는 남공철을 통해 순정한 글을 지어 바치라 명령했으나 실제로 응하지는 않았다. 정조 21년(1797) 61세에 면천군수로 임명되었다. 이 시절에 정조 임금에게 《과농소초(課農小抄)》를 지어 바쳐 칭송을 들었다. 1800년 양양부사로 승진했으며 이듬해 벼슬에서 물러났다. 순조 5년(1805) 10월 20일 서울 가회방(嘉會坊)의 재동(齋洞) 자택에서 깨끗하게 목욕시켜 달라는 유언만 남긴 채 세상을 떠났다. 선영이 있는 장단(長湍)의 대세현(大世峴)에 장사 지냈다. 박지원의 문학 정신은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옛것을 본받되 변화를 알고 새롭게 지어내되 법도를 지키라”는 의미다. 그는 문학의 참된 정신은 변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글을 쓰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비슷하게 되려는 것은 참이 아니며, ‘닮았다’고 하는 말 속엔 이미 가짜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연암은 억지로 점잖은 척 고상한 글을 써서는 안 되며 오직 진실한 마음으로 대상을 참되게 그려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그는 틀에 박힌 표현이나 관습적인 문체를 거부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를 지향했다. 나아가 옛날 저곳이 아닌 지금 여기를 이야기하고자 했다. 중국이 아닌 조선을, 과거가 아닌 현재를 이야기할 때 진정한 문학 정신을 구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연암의 학문적 성취와 사상은 《열하일기》에 집대성되어 있다. 《열하일기》에서 연암은 이용후생의 정신을 기반으로 청나라의 선진적 문물을 받아들여 낙후된 조선의 현실을 타개하자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북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우뚝 서게 되었다. 연암은 《열하일기》 외에도 《방경각외전》, 《과농소초》, 《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 등을 직접 편찬했다. 연암의 유고는 그의 아들 박종채에 의해서 정리되었는데 아들이 쓴 〈과정록추기〉에 의하면 연암의 유고는 문고 16권, 《열하일기》 24권, 《과농소초》 15권 등 총 55권으로 정리되었다. 《열하일기》는 오늘날 완질은 2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암의 작품은 대부분이 문(文)이며 시(詩)는 50여 편이 전한다.
펼치기
신호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자는 주백(周伯)이고 호는 우전(雨田). 1914년 전남 함평에서 출생하고 1993년 별세했다. 일찍이 겸산(謙山) 이병수(李炳壽) 선생으로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한학을 수학했으며 특히 유가 경전과 한시에 조예가 깊었다. 동국대·서울대·고려대·성균관대 대학원 등에서 강의했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교수를 역임했고, 1985년 민족문화추진회 제정 제1회 고전국역상을 수상했다. 역서로 『완당전집』 『하서전집』 『퇴계시』 등 수십 종이 있다.
펼치기
김명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3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성여대 국문과와 성균관대 한문학과의 교수를 거쳐 서울대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정년퇴임 후 필생의 과제인 연암 박지원 평전과 환재 박규수 연구의 완성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열하일기 연구』, 『박지원 문학 연구』,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환재 박규수 연구』, 『연암 문학의 심층 탐구』, 『홍대용과 항주의 세 선비』 등이 있으며, 국역서로 『연암집』(전3권, 신호열 공역)과 『지금 조선의 시를 쓰라』(편역)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광명정대하게 통어하되 환희 드러나지 않는 것이 아마 하늘의 덕이 아니겠는가? 만물을 낳고 자라게 하되 아집대로 하지 않는 것이 아마 하늘의 도가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하늘의 도란 다른 것이 아니라 '나타내 보일' 뿐이요, 땅의 도란 다른 것이 아니라 '드러내 보일' 뿐이요, 사람의 도란 다른 것이 아니라 '밝히 나타낼' 따름이지.

그러나 하늘과 땅의 도가 나타내고 드러내 보이는 그 사이에 명이 존재하네. 비유하자면 내쉬었다가 들이쉬는 것이 숨이 되는데 맥락이 그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지. 이것은 바로 성(性)이 하늘의 도를 계승하고 땅의 도와 접한 까닭이니, 씨앗이 생기를 머금고 살아나는 것은 대개 오로지 순수하여 다른 것과 섞이지 않는 성품인 데다, 살기를 좋아하고 즐거이 천명을 따르는 생리 때문이지.

비로소 이 명을 받게 되면, 민첩하게 이를 맞이하여 이어 나가는 것이 마치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것과 같고, 잠에서 깨어나는 것과 같고, 구름이 갑자기 피어올라 비가 퍼붓는 것과 같고, 도랑이 트이자 물이 들이닥치는 것과 같네. 이것이 이른바 하늘이 명한 성이지. 그리고 맹자가 명덕과 지선이 곧 성을 따르는 도임을 변론하고, 다시 그 근원을 추구하여 말하기를, "하지 않아도 그렇게 되는 것이 하늘이요, 부르지 않아도 이르러 오는 것이 명이다" 하였지.

- 상권 본문 217~218쪽, 연상각선본 '원도에 대해 임형오에게 답합'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