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신화 이야기
· ISBN : 9788937425882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07-07-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제1절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제2절 기존의 연구들
제2장 역사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신들
제1절 중국의 모계 사회
제2절 모계 사회에 대한 문헌 자료
제3절 은나라의 모계적 유풍
제4절 고고학적 유물들: 여신 사당과 여신상
제3장 중국 여신의 다양한 신격
제1절 대모신
제2절 자연신
제3절 문화 영웅
제4장 중국 여신의 이미지 읽기
제1절 미분화된 카오스
제2절 남신의 보조자 그리고 배우자
제3절 신성한 여신에서 욕망의 여성으로
제4절 자연과 공존하는 여신
제5장 중국 여신의 특징과 여성 신화의 기능
제1절 중국 여신의 특징
제2절 중국 여성 신화의 기능
제6장 중국 문학 속에 나타난 여신들
제1절 중국 소설과 여신들
제2절 중국 시와 여신들
제7장 나오는 말
부록: 소수민족 여신 개관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땅이 여성적인 성격을 지녔다는 것은 여러 민족들의 천부지모형 신화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천부지모형 신화란 최초에 하늘과 땅은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로서 남녀의 성별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런 예는 소수민족인 납서족의 동파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p92 중에서
고통과 희생을 무릅쓰고 자신의 몸으로 생명을 창조해내는 여와의 모습은 숭고함마저 느끼게 한다. 그리고 공공과 전욱의 두 남신 때문에 무너진 하늘 기둥을 재건하고 천지의 평화를 가져온 여와는 바로 중국인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여신의 전형이었다. 즉 그녀는 개인보다 공공의 이익을 우선함으로써 인간의 평범한 욕망을 초월할 수 있었던 경지의 존재였다.-p20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