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37442520
· 쪽수 : 784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 출생과 성장기
출생과 가풍 23
아호의 변화와 의미 36
관원이 되기 위하여 성균관으로 41
「항일성토문」, 최초의 민족운동 50
2 일본 유학, 민족운동가로서의 수학기
도쿄부립제일중학교에 첫발을 내딛다 61
동맹휴교, 두 번째 민족운동 70
메이지대학에 진학하다 79
민족운동을 예비한 학회 활동 89
학회 활동의 대안으로 기독교회에 입회하다 99
3 중국으로 망명, 민족운동가로서의 성장기
동제사, 직업혁명가로서 출발지 112
상하이 시절, ‘국사적 자랑’을 잃지 않고 121
구국종교의 뜻을 품고 일신교를 창도하다 1 26
「대동단결선언」, 민족운동이론가로서의 첫 선언 135
국제사회주의자대회에 참가를 요청하다 145
4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건립, 삼균주의의 배태기
대한독립의군부, 3․1민족운동을 준비하다 153
「대한독립선언서」를 작성하다 160
임시정부 수립의 예비 회의, 분열에서 단결로 172
대한민국임시정부, 민주공화제 정부의 탄생 181
「대한민국임시헌장」을 기초하다 187
5 유럽에서 독립외교, 사회주의자로 활동
상하이에서 파리로, 파리한국대표부에 합류하다 199
루체른 대회, 한민족의 독립 열망을 인정받다 206
노동사회개진당의 대표로 독립외교 활동을 이어 가다 211
코민테른에 가입을 신청하다 222
6 상하이로 돌아와 임시정부에 복귀하다
베이징을 거쳐 상하이로 234
한살임당을 재창당, 아나키즘을 표방하다 241
독립당의 이념을 제시하다 253
무정부상태의 임시정부에 복귀하다 261
7 이승만의 임시정부를 옹호, 범한독립당을 추구
국민대표회의와 임시대통령 탄핵, 이승만을 옹호하다 267
이승만의 통신원으로 활동하다 274
이승만의 복권을 시도하다 283
민족유일당운동이 촉발되다 290
민족유일당운동에 동참하며 범한독립당 설립을 추진하다 299
8 당정 일체의 독립운동, 삼균주의의 정립·주창기
민족유일당운동 결렬을 계기로 이승만의 당인에서 이탈하다 307
당치주의를 수용하다 316
한국독립당 결성, 삼균주의를 정립하다 322
한국독립당과 임시정부에서 활약하다 331
윤봉길 의거 후의 분규 속에서 연합을 모색하다 341
민족혁명당에 참여, 분열을 재생산하다 349
9 한국독립당 재건에서 통합한국독립당 결성까지
한국독립당 재건, 신민주주의를 주창하다 361
분열과 갈등의 지속 369
재건한국독립당이 임시정부에서 소외되다 376
민족주의정당의 통합운동, 임시정부 절대 옹호를 주장하다 387
임시정부의 외무장으로 복귀, 통합한국독립당을 결성하다 398
10 충칭임시정부의 외무부장, 삼균주의의 실천기
충칭시기의 개막, 당․정․군 체제의 출발 409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기초하여 작성하다 418
전시외교의 선봉에서 임시정부 승인에 진력을 다하다 431
「광복군행동9개준승」의 폐기에 힘쓰다 443
미국의 신탁통치 구상에 적극 반대하다 452
한국독립당의 집행위원장에 선출되다 463
임시정부의 최종 개헌안을 주도하다 473
11 8․15해방 전후, 복국운동이 복국기의 연장으로
「카이로선언」, 보장된 독립과 굴절된 해방의 서곡 480
득보다 실이 컸던 샌프란시스코회의 참가 노력 488
8․15해방, 건국운동으로 이행을 천명하다 498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여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주장하다 511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 반탁노선을 천명하다 523
불합작의 복국운동, 임정법통론을 고수하다 536
비상국민회의에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까지 545
12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대한민국정부수립
제2차 반탁운동과 국민의회 출범 557
통합의 결렬, 이승만의 국민의회 참가 거부 571
한국문제의 UN이관, 남북요인회담을 구상하다 581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마지막 노력, 남북협상에 참여하다 591
정치노선을 전환하여 대한민국정부를 인정하다 600
김구와 결별, 사회당을 창당하다 608
대한민국육성강화운동, 민족진영의 강화를 꾀하다 616
5․30총선거에 당선되나 납북되다 623
맺는말: 삼균주의의 현재성 634
주 643
해적이 709
참고 문헌 751
찾아보기 774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삼균주의와 임시정부라는 두 축을 설정하여 조소앙의 사상이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성을 계승한 현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에 방점을 두었다. 임시정부에서 대한민국을 잇는 법통은 무엇인가. 그것은 임시정부의 국시로 표현된 「대한민국건국강령」과 임시헌법에 반영하였던 균등주의의 이상이었으며, 이를 뒷받침한 삼균주의 이념이었다. 조소앙은 균등주의 이념을 기반으로 남한의 민주화를 실현한 뒤 북한과 통일하는 민족통합을 완성하고, 이로써 세계문화에 기여하려는 보편주의와 이상주의를 함께 표출하였다. 그는 식민지와 민족분단의 현실이 연속하였던 한민족의 구성원으로서, 민족사를 기반으로 세계의 사상과 조류를 흡수하여 한국민족운동의 이념을 체계화한 민족지성의 전형이었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