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1383
· 쪽수 : 175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민세 안재홍의 민족운동과 “조선정치철학”
: “자주적 근대화”의 시각에서 다시 봄 / 정윤재
1. 파편화된 근현대사,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
2. “자주적 근대화” 추진과정으로서의 근현대사
3. 일제치하 안재홍의 비타협적 민족운동
4. “조선학”의 개념과 방법, 그리고 “조선정치철학”
5. 새로 얻어진 생각들
이승복과 신간회운동 / 김인식
1. 머리말
2. 신간회에 참여한 사상의 배경
1) 사회주의 사상단체 활동과 反문화주의의 형성
2) 정우회의 ‘단일정치결사론’
3. 민족주의 좌익전선에 합류 : 조선일보 계열과 신간회운동의 방향성
4. 신간회 강령의 정신
1) 강령의 작성과 수정 과정
2) 강령의 정신-좌익민족주의의 명문화
5. 맺는말
일제강점기 정세권의 도시개발과 민족운동 / 김경민·이지은
1. 머리말
2. 일제강점기 정세권과 건양사의 도시개발
1) 1920년 이후, 경성의 성장과 일제의 대응
2) 한옥집단지구 등장
3) 건양사의 북촌 개발
3. 정세권의 민족운동 참여
1) 조선물산장려회 활동
2) 조선어학회 활동
3) 산학언 민족운동 : 기농 정세권과 민세 안재홍, 고루 이극로의 연계
4. 맺음말
해방 이후 이극로의 정치 활동과 통일 민족국가 인식 / 박용규
1. 머리말
2. 해방 이후 정치 노선과 활동
1) 전국정치운동자후원회 조직
2) 통일정권촉성회 조직
3) 조선건민회 조직과 좌우합작운동 전개
4) 민족자주연맹에서의 활동과 남북협상 참여
3. 통일 민족국가에 대한 인식
4. 맺음말
독립운동 시기 김원봉의 통합·연대 활동 : 중일전쟁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한상도
1. 머리말
2. 김구와의 합작 및 7당 통일회의 참여
3. 국제연대 활동과 연대 논리
1) 반파시스트 국제연대 활동과 조선의용대의 창건
2) 조선의용대의 국제연대 활동
4. 안재홍과 김원봉의 인연
5. 맺음말 : 통합과 연대의 동력으로써 김원봉의 리더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