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37443879
· 쪽수 : 636쪽
· 출판일 : 2019-10-25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1장 이스터섬의 교훈
2장 역사의 기초
3장 인류 역사의 99퍼센트
채집과 수렵 / 기술과 발전 / 채집과 수렵, 환경
4장 최초의 대전환
농업: 어떻게, 그리고 왜? / 서남아시아 / 농업의 확산 / 중국 / 중앙아메리카 / 안데스와 기타 지역 / 농업의 영향 / 문명의 출현 / 메소포타미아 / 이집트 / 인더스 계곡 / 중국 / 아메리카 대륙 / 초기의 문명들
5장 파괴와 생존
수메르의 흥망 / 인더스강 유역 / 삼림 황폐 / 마야 문명의 흥망 / 나일강 계곡
6장 기나긴 투쟁
식량과 인구 / 중국 / 유럽 / 기후와 식량, 인구 / 식량과 기아 / 새로운 작물과 개선된 농경 기술 / 기나긴 투쟁에서 제한적으로 벗어나다
7장 사상의 변천
고전적 세계관 / 기독교 사상 / 세속적 사상의 대두 / 진보 개념 / 다른 전통들 / 현대 경제학의 출현 / 마르크스 경제학 / 경제학 비판 / 현대 자유주의경제학
8장 약탈되는 세계
유럽 / 유럽이 기타 세계에 미친 영향 / 여행비둘기 / 새로운 종의 도입 / ‘공유지의 문제’ / 고기잡이 / 모피 무역 / 바다표범 사냥 / 고래 사냥 / 보호와 멸종
9장 불평등의 기초
유럽 팽창의 초기 단계 / 노예제도와 계약 노동 / 전통 농업에 대한 유럽의 영향 / 아메리카 대륙의 작물들 / 동남아시아의 플랜테이션과 환금작물 / 아프리카의 플랜테이션 / 상품작물과 저개발 / 목재 / 광물 / 비료 / 저개발과 불평등
10장 질병과 죽음
농경 사회의 질병 / ‘흑사병’과 그 확산 / 유라시아 지역의 다른 질병들 / 질병의 2차 대전파 / 영원한 질병: 말라리아 / 풍토병, 인플루엔자 /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질병 / 환경 및 의학적 개선의 역할 / 신종 감염성 질병 / 풍요로 인한 병
11장 인구의 무게
농경의 확대 / 투입 집약적 농업 / 개발도상국의 농업 / 20세기 말 세계의 농업 / 20세기의 세계 식량 / 농업과 환경 / 삼림 파괴 / 토양침식 / 물 / 아랄해
12장 제2의 대전환
인력 / 축력 / 수력과 풍력 / 목재 / 석탄 / 전기 / 석유 / 천연가스 / 비화석연료 에너지 / 21세기 초의 에너지 / 에너지 효율성 / 에너지 불평등
13장 도시의 성장
초기의 도시들/ 전(前)산업 시대 도시들 / 아시아의 초기 도시들 / 유럽의 초기 도시들 / 산업도시 / 20세기의 도시 / 개발도상국의 도시들 / 메트로폴리스의 시대 / 도시의 환경
14장 풍요로운 사회의 창조
산업화 이전의 사회들 / 산업화의 비용 / 산업화의 단계 / 광물과 금속의 생산 / 대량 소비사회의 대두 / 자동차 / 레저와 관광 / 불평등한 사회
15장 오염되는 세계
물의 공급 / 위생 / 대기오염 / 산업화 초기의 오염 / 산업화 / 산성비 / 공해와 건강 / 현대의 산업공해 / 산업재해 / 독성 폐기물 / 독성 폐기물 무역 / 핵 오염 / 교통 오염
16장 지구 환경의 위협
오존층 파괴 / 지구온난화: 기초적 지식 / 지구온난화: 사실 / 지구온난화: 영향 / 지구온난화: 전망 / 지구온난화: 최근의 증거 / 지구온난화: 문제의 핵심 / 지구온난화: 책임 / 지구온난화: 행동
17장 과거의 그림자
인구와 기술, 환경 / 변화의 속도 / 전망: 인구와 식량 / 자원 / 에너지 / 지구온난화 / 문제 복합성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이스터섬은 지구상에서 가장 외진 지역 중 하나다. (……) 사람이 사는 지역으로서 이 섬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핏케언섬인데, 그 섬에서도 2000킬로미터나 떨어져 있다. 최전성기에도 이스터섬의 인구는 7000명에 지나지 않았다. 이렇게 보잘것없어 보이는 이 섬의 역사가 인류에게는 아주 음울한 경고를 해 주고 있다.
유라시아에서 분리된 남북아메리카 대륙에는 양과 염소, 소, 말 등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오래전부터 가축화된 동물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남북아메리카의 농경과 교통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아메리카에서는 가축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었을 뿐 아니라, 바퀴의 원리는 알았지만 수레를 끌 동물이 없었기 때문에 바퀴가 실용화되지 않았다.
중세 유럽의 소는 오늘날 우리가 키우는 소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우유와 4분의 1에 해당하는 고기를 생산했다. 중국에서는 열량의 98퍼센트를 식물, 주로 쌀에서 섭취했다. 유럽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채소와 곡식 죽과 빵으로 이루어진 단조로운 식단으로 생존을 유지했다. 고기와 생선은 상류층이 아니면 먹을 수 없는 매우 귀한 음식이었다. 1870년 무렵까지도 프랑스인들 식단의 70퍼센트가 빵과 감자였고, 1900년에도 열량의 20퍼센트만이 가축 생산품에서 나왔다. 유럽 전역에서 대다수의 사람이 기껏해야 하루에 2000칼로리를 섭취(지금의 인도 수준)했으며, 잉글랜드나 네덜란드같이 일부 풍요한 지역에서는 이보다 약간 많은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