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의 맞수 2

역사의 맞수 2

(고구려 고국원왕과 백제 근초고왕)

노중국 (지은이)
지식산업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의 맞수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의 맞수 2 (고구려 고국원왕과 백제 근초고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8894239136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5-02-15

책 소개

고구려의 고국원왕과 백제의 근초고왕. 이들은 6년이라는 짧지 않은 기간을 함께 하며 고구려와 백제에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시작점을 만들었다. 맞수의 시작과, 대결, 그리고 그 결과를 다룬 이 책은 4세기 전·후반의 고구려사와 백제사를 이해하는데 조그마한 디딤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부 맞수의 앞 시대 13
Ⅰ. 고구려 미천왕 15
1. 즉위 과정 15
2. 왕권 중심의 정치 운영 22
3. 정복 활동: 서안평 점령과 낙랑군대방군 병합 25
4. 대외관계 28
Ⅱ. 백제 비류왕 35
1. 출계와 나이 문제 35
2. 즉위 과정 37
3. 정치적 기반의 확대와 부체제의 해체 40
4. 군사권 장악과 영역 확대 45
5. 벽골지 축조와 경제 기반의 확대 47
6. 백제국이라는 이름으로 중국과 교섭 49

제2부 맞수의 등장 53
Ⅰ. 고구려 고국원왕 55
1. 국가 운영의 기본 방향 55
2. 체제 정비 60
3. ‘태왕호’와 ‘연수’ 연호의 사용과 독자적 천하관 69
4. 의관제의 정비 78
5. 인재 등용: 동수 등 중국계 인물의 등용 81
6. 정치 운영과 귀족합좌제 84
Ⅱ. 백제 근초고왕 87
1. 부여씨의 왕위 계승권 확립 87
2. 중앙과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 92
3. 유교 정치이념의 확산과 역사서 편찬 102
4. 율령의 반포와 시행 104
5. 의관제의 정비: 금동관과 관 장식 108
6. 인재 등용: 박사 고흥과 박사 왕인 111
7. 정치운영과 대신회의 114

제3부 맞수의 대결 117
Ⅰ. 고국원왕의 서진 좌절과 남진 정책 119
1. 고구려의 전연에 대한 대비 119
2. 전연의 공격과 고구려의 승리 126
3. 서진의 좌절과 남진 추구 138
Ⅱ. 근초고왕의 남방 경략과 북진 추구 150
1. 남방 경략의 주체와 시기 150
2. 신라와의 관계: 약위형제 관계 152
3. 가야제국과의 관계: 부형-자제 관계 153
4. 영산강 유역 신미국 세력의 병합과 북진 추구 155
Ⅲ. 평양성 전투 162
1. 치양 전투: 1차 전초전 162
2. 패하 전투: 2차 전초전 170
3. 평양성 전투와 고국원왕의 전사 173
Ⅳ. 맞수의 능묘 179
1. 고국원왕릉: 천추총 179
2. 근초고왕릉: 석촌동 3호분 185

제4부 맞수의 대결 이후 191
Ⅰ. 다시 체제를 정비한 고구려 소수림왕 193
1. 즉위와 별칭 소해주류왕 193
2. 체제 정비 196
3. 대외 교섭과 교류 204
4. 소수림에 묻힌 소수림왕 208
Ⅱ. 전성기를 구가한 백제 근초고왕 209
1. 고구려에 대한 대비 209
2. 국제적 위상의 고양 213
3. 독자적 천하관 표방 219
Ⅲ. 수성의 군주, 백제 근구수왕 222
1. 진씨왕비 222
2. 국정운영의 기본 방향 224
3. 삼교포함 사상 225
4. 동진 및 16국과의 관계 228
5. 아름답지 못한 최후 230
Ⅳ. 다시 불붙은 공방전 232
1. 수곡성을 둘러싼 공방전 232
2. 백제 북쪽 경계에서의 전투 233
3. 제2차 평양성 공방 234
4. 소강상태 236

맺는 글: 평양성과 평양성 전투의 역사적 의미 239
1. 평양성에 대한 인식 239
2. 고구려의 부도 평양성 240
3. 평양성 전투의 역사적 의미 245
4. ‘일통삼한’ 의식과 평양 248

후주 254
찾아보기 296

저자소개

노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부임하여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를 거쳐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2014년 8월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고대사학회 1~4대 회장, 백제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 전시기획실무위원회 위원장,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 백제문화사대계(25권) 편집위원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30권) 편집위원장, 경상북도 목판사업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정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백제정치사연구》(1988), 《백제부흥운동사》(2003), 《백제사회사상사》(2010),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2012), 《백제정치사》(2018), 《역사의 맞수: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2020),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2022), 《한국고대의 수전 농업과 수리시설》(공저, 2010),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1~5》(공역주, 2012),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14),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공저, 2016),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400여 년간 존속하여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한반도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낙랑군의 소멸은 동아시아의 정치 지형과 경제 지형 그리고 문화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고구려와 백제는 낙랑군이 관장하였던 교역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국경을 접하게 됨으로써 양국 사이의 군사적 긴장도도 높아졌다. 따라서 낙랑군과 대방군의 멸망은 고대동아시아의 국제질서에 변화를 가져 온 큰 사건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해씨 중심의 정치 운영 상황에 변화를 가져온 큰 사건이 일어났다. 비류왕 18년(321) 내신좌평에 임명된 서제 우복優福이 24년(327)에 북한산성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이 반란은 백제에서 왕족이 일으킨 최초의 반란이었다. 반란의 과정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비류왕은 군대를 출동시켜 진압하였다.88 믿었던 동생의 반란은 비류왕에게 큰 충격이었다. 이에 반란을 평정한 비류왕은 반란에 가담한 세력들은 물론 왕권에 걸림돌이 되는 세력마저도 제
거하였다. 부의 장들이 독자적으로 두었던 지배조직을 해체하고, 그들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던 반공지半公地와 반공민半公民들은 모두 국왕의 직접 지배를 받는 공지公地와 공민公民으로 전환시켰다. 이리하여 왕실의 위엄과 권위는 부部의 장들을 압도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배자 집단으로서의 부가 독자적인 운동력을 상실함으로써 부체제는 해체되었다.


태왕을 일컬은 고구려는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화이론華夷論을 변용해서 고구려 중심의 차등적 조공관계와 자존적 천하관을 만들었다. 즉 태왕호를 매개로 자신들의 천하가 당시 동아시아 세계를 구성하던 여러 천하와 병존한 것으로 보았다.54 그래서 <충주고구려비>에서 보듯이 고구려왕은 태왕을 일컬으면서 신라를 조공국으로 보고그 왕과 신하들에게 의복을 하사하였다. 그 사상적 배경은 전통적 ‘천天’ 개념에 유교적 ‘천天’ 개념을 수용한 고구려적 ‘천天’ 관념이었다.56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는 태왕의 절대성을 나타냈다. 그 시작이 바로 고국원왕대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