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노중국, 정재윤, 양기석, 박재용, 신유진, 박윤우, 강유나, 소현숙, 김영심, 김은정, 김근영, 박초롱 (지은이)
주류성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8896246445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9-01

책 소개

백제는 중국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자신의 문화 수준을 높이고 자신만의 독특한 문화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이 문화를 주변 나라에 전파해 주는 ‘문화외교’를 펼쳤다. 아스카 문화의 형성에는 백제의 영향이 컸다.

목차

프롤로그
일본속의 백제문화를 찾아서 (아스카지역을 중심으로)
- 노중국(계명대학교 명예교수)

<제1부>
고대 야마토 지역에서 백제의 자취를 따라가다


1. 일본 고대 문화재의 보고, 이코마군
2. 칠지도를 간직하고 있는 도시, 텐리시
3. 오랜 역사의 장소, 사쿠라이시
4. 백제사가 있는 키타카츠라기군
5. 천황가를 연 신화창조의 땅, 가시하라시
6. 아스카 문화의 중심, 다카이치군
7. 남쪽의 수도, 나라시

<제2부>
아스카에서 피어난 백제문화

1. 천황 중심의 율령국가 ‘일본’이 탄생하다

- 양기석(충북대학교 명예교수)

2. 고대 일본의 도읍지 아스카에 건설된 왕궁
- 김은정(충남대학교 교수)

3. 소가씨, 백제계 도왜인인가?
- 정재윤(공주대학교 교수)

4. 고대 일본의 발전을 이끈 백제계 씨족
- 박재용(충남역사문화연구원 연구실장)

5. 아스카에서 만나는 ‘백제의 미소’
- 소현숙(덕성여자대학교 교수)

6. 고대 일본의 도교문화와 아스카・나라
- 김영심(한성백제박물관 전시기획과장)

에필로그
아스카 지역 답사를 마치고
- 정재윤(공주대학교 교수)

저자소개

노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부임하여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를 거쳐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2014년 8월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고대사학회 1~4대 회장, 백제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 전시기획실무위원회 위원장,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 백제문화사대계(25권) 편집위원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30권) 편집위원장, 경상북도 목판사업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정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백제정치사연구》(1988), 《백제부흥운동사》(2003), 《백제사회사상사》(2010),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2012), 《백제정치사》(2018), 《역사의 맞수: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2020),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2022), 《한국고대의 수전 농업과 수리시설》(공저, 2010),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1~5》(공역주, 2012),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14),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공저, 2016),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영광 출신으로 서강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산박물관 관장과 독립기념관 전시·자료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공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백제학회 회장, 공주대학교 도서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공주 백제문화제 집행위원장이다. 지은 책으로는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공저로는 《백제와 섬진강》, 《한국사 속의 백제와 왜》,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河內》, 《초기 백제사의 제문제》,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고창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가톨릭대학교, 공주대학교, 가천대학교, 한성백제박물관에서 근무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백제 관등제의 성립과 운영〉,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칠지도의 성격과 제작 배경〉, 〈일본 속 백제유물의 범위와 의미〉 등이 있다. 저서로는 《백제의 지방통치》(공저),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공저),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공저),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문자와 고대한국 1·2》(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역주 한국고대금석문》(공역), 《동사》(공역), 《역주 중국정사 동이전 진서~신당서 백제》(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양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졸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박사 충북대학교 교수(1981~2013) 한국고대사학회 회장(1993~1995) 백제학회 회장(2008~2009) 충북사학회 회장(2009~2010) 충북대박물관장(2011~2013)
펼치기
박재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시 아스카(飛鳥)』(공저, 주류성, 2021), 「백제의 對倭교섭과 航路」(『백제 학보』 19, 백제학회, 2017), 「일본 사료로 본 백제 熊津시기 왕계」(『한일관계사연구』 61, 2018), 「백제의 史書 편찬」(『한국고대사탐구』 40,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웅진기 백제와 왜국의 교류」(『한국고대사연구』 115, 한국고대사학회,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소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동아시아 고대 불교문화사 연구하고 있으며 「唐 高宗의 阿育王像複製와 流布 -道宣의 역할 및 諸州官寺制의 기능을 중심으로-」가 ‘2022년 교육부 선정 우수학술성과 50선’에 꼽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교수
펼치기
김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사학과
펼치기
박초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사학과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