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

(나뭇조각에 담겨 있는 백제인의 생활상)

백제학회 한성백제연구모임, 김기섭, 김영관, 김영심, 노중국, 문동석, 박윤선, 박중환, 박찬규, 박현숙, 신희권, 오택현, 윤수희, 장미애, 정동준, 조경철 (지은이)
  |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06-29
  |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

책 정보

· 제목 :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 (나뭇조각에 담겨 있는 백제인의 생활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91189946616
· 쪽수 : 360쪽

책 소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역사 사료인 목간(木簡)을 통해 백제의 생활상을 자세히 풀어 쓴 역사 교양서이다. 한국 고대사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는 목간의 기록을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백제사 복원의 단서, 목간
1. 목간이란 무엇인가
2. 백제 목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2부 백제의 정치와 경제
3. 중앙행정기구를 움직이다 — 외경부 목간
4. 백제의 마지막 수도 사비도성을 엿보다 — 서부 후항 목간
5. 지방의 행정과 관리들 — 나주 복암리 목간
6. 인구를 조사하고 세금을 걷다 — 호적 목간
7. 삼국 시대 농사 일지 — 대사촌 목간

3부 백제의 사회와 문화
8. 약재를 채취하여 병을 고치다 — 지약아식미기 목간
9. 나라가 먹을 것을 빌려주고 받은 기록 — 좌관대식기 목간
10. 백제인의 이름 — 하부 대덕 소가로 목간
11. 문자문화의 상징 — 시가 목간과 서간 목간
12. 곱하기와 나누기를 배운 흔적 — 구구단 목간

4부 백제의 종교와 신앙
13. 백제인의 토착신앙 — 남근형 목간
14. 아들을 위한 절 — 자기사 목간
15. 절에서 절로 소금을 보내다 — 송염 목간
16. 백제 도교의 표상 — 오석 목간과 삼귀 목간

참고문헌
그림 목록 및 출처
저자 소개

저자소개

김기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전) 한성백제박물관장·경기도박물관장 (전) 한성백제박물관 전시기획과장 (전) 경기대·고려대·공주대·서울교대·한국외대·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사/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저서] 『21세기 한국고대사』,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백제와 근초고왕』 등
펼치기
노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부임하여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를 거쳐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2014년 8월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고대사학회 1~4대 회장, 백제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 전시기획실무위원회 위원장,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 백제문화사대계(25권) 편집위원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30권) 편집위원장, 경상북도 목판사업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문화재청 역사문화권정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백제부흥운동사』(2003), 『백제사회사상사』(2010),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2012), 『백제정치사』(2018), 『역사의 맞수: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2020), 『한국고대의 수전 농업과 수리시설』(공저, 2010),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1~5』(공역주, 2012),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14),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백제부흥운동연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공저), 『중국 출토 백제인 묘지 집성』(공저), 『문자와 고대 한국 1·2』(공저) 등이 있으며, 백제사와 중국 출토 한국 고대 유민의 묘지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문동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 논저로 「백제 시호제와 시호의 함의」, 「660년 7월 백제와 신라의 황산벌 전투」, 『서울이 품은 우리 역사』 등이 있으며, 백제의 정치체제, 서울의 역사와 문화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박찬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전임연구원. 주요 저서로 『광개토왕비문의 신연구』(공저),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 고대편』(공저) 등이 있으며, 백제와 마한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고창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가톨릭대학교, 공주대학교, 가천대학교, 한성백제박물관에서 근무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백제 관등제의 성립과 운영〉,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칠지도의 성격과 제작 배경〉, 〈일본 속 백제유물의 범위와 의미〉 등이 있다. 저서로는 《백제의 지방통치》(공저),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공저),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공저),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문자와 고대한국 1·2》(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역주 한국고대금석문》(공역), 《동사》(공역), 《역주 중국정사 동이전 진서~신당서 백제》(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조경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연세대 사학과 객원교수.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2003년부터 연세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2013년 한국연구재단에서 조사한 인용지수 한국사 분야에서 2위를 했다. 『나만의 한국사』, 『백제 불교사연구』 등을 썼으며, 5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나라이름역사연구소를 운영하며, 늘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고자 한다. 뉴스레터 '나만의 한국사 편지'에서 글을 쓰고, 유튜브 '가지가지 한국사'에 출연한다.
펼치기
신희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로 공직에 발을 들인 후 학예연구관을 거쳐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장과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 1997년부터 백제의 첫 왕성인 위례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 발굴조사를 주도하며 백제의 국가 형성과 도성에 관해 연구해 왔다. 2007년과 2008년에 경복궁 광화문과 숭례문 발굴의 책임을 맡으면서, 조선시대 궁궐과 한양도성으로 연구의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현재 문화재청과 서울시의 문화재전문위원, 이코모스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창덕궁, 왕의 마음을 훔치다》, 《문화유산학 개론》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한양도성 복원 현황과 개선 방향〉, 〈風納土城 발굴조사를 통한 河南慰禮城 고찰〉, 〈百濟 漢城時代 都城制度에 관한 一考察-兩宮城制度를 中心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정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BK21+사업단 연구교수.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속의 백제 정치제도』, 『古代東アジアにおける法制度受容の硏究』, 『문자와 고대 한국 1』(공저), 『한국고대 문자자료연구: 백제(상·하)』(공동역주) 등이 있으며, 한국 고대의 대외관계, 정치제도, 율령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제학회 한성백제연구모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결성된 백제학회는 문헌사,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복식사, 음악사 등 백제와 관련 있는 분야의 연구자가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학제 간 연구와 통섭을 실천하고 있다. 학회 내 연구모임으로 ‘일본서기강독반’, ‘기물반’, ‘한성백제연구모임’이 있으며, 이 가운데 ‘한성백제연구모임’은 서울 지역 백제사 연구자를 중심으로 매달 새로운 자료와 연구 주제를 검토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모임의 성과물로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2014)를 펴냈으며, 목간 자료에 담긴 옛 백제 사람들의 이야기를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를 집필했다.
펼치기
박윤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진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주요 논저로 「도일(渡日) 백제유민(百濟遺民)의 정체성 변화 고찰」, 「삼국시대 명문을 가진 소금동불상 분석을 통한 고대인의 불교신앙생활」, 「백제인명의 이해 시론: 막고와 해를 중심으로」, 『서울 2천년사 6: 삼국의 각축과 한강』(공저) 등이 있으며, 경계인(주변인)과 성씨에 대해 관심이 많다.
펼치기
박중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학예연구관. 주요 논문 및 저서로 「백제 금석문 자료의 분류와 형태적 분석」,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등이 있으며, 백제 금석문과 백제인들의 제의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오택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일반연구원. 주요 저서로 『한국고대 문자자료연구: 백제(상·하)』(공동역주)이 있다. 금석문 및 목간, 한국 고대 성씨 등에 대해 한국과 다른 나라를 비교하며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윤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사. 주요 논저로 「백제의 인적 교류 연구」, 「서울 백제유적의 보존 활용과 시민참여」, 『꿈마을 백제 이야기』 등이 있다. 박물관에서 백제학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시민들이 쉽고 재미있게 교육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펼치기
장미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 강사. 주요 논문으로 「백제 후기 정치 세력 연구」, 「목간을 통해 본 사비도성의 구조와 기능」, 「5세기 후반~6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 정책과 백제-신라 관계의 추이」 등이 있으며, 백제 후기 정치 및 국제 관계사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목간이란 종이가 보편화되기 이전 시기에 문서 작성을 위해 쓰인 나뭇조각으로, 대개 나무를 기다란 모양으로 깎아 만들었다. (…) 목간은 바로 그 시대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남긴 생생한 문자 자료임이 분명하다. (…) 그러나 아직도 일반인에게는 백제의 목간 자료가 낯설기만 하다. 그간의 백제사 연구에 기반하여 단편적인 목간 자료를 어떻게 쉽게 소개할 수 있을지 고민한 끝에 이 책을 꾸미게 되었다. (…) 작은 나뭇조각인 목간에 기록된 묵서 하나하나를 좇아가는 열여섯 번의 시간 여행을 거치면서 독자들 또한 백제인의 생활상을 좀 더 입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책을 펴내며> 중에서


목간은 나뭇조각에 의사 표시를 하기 위해 글씨를 쓴 것으로, 고고학적으로 그것이 출토된 유적의 연대나 성격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당대의 여러 가지 생활상을 보여 주는 내용을 담고 있어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사회상을 유추할 수 있는 사료적 성격을 띠고 있다.
― <1장 목간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목간은 당대 사람들이 직접 작성했던 기록물이다. 그러다 보니 목간을 작성했을 당시 사람들의 사상과 관념이 담기게 된다. 목간을 통해 고대 사회를 복원할 수 있다면, 백제 목간으로 백제 사회를 복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백제 목간은 작은 나뭇조각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백제 역사를 생생하게 이해하고, 백제 사회를 복원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자료이다.
― <2장 백제 목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