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양장)

진달용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5-04-30
  |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책 정보

· 제목 :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57876
· 쪽수 : 256쪽

책 소개

과학 저널리즘은 과학과 관련된 주제들을 미디어 보도를 통해 국민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전통적 의미의 과학 저널리즘은 주로 과학면을 통해 접하는 자연과학, 의학 및 첨단 과학 분야를 뜻한다.

목차

제1부 현대사회에서 과학 저널리즘
제1장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 논의의 출발점
2.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3. 과학 저널리스트는 누구인가
4. 과학 저널리즘의 목표
5. 뉴스원으로서 과학
6. 과학 저널리즘에서 뉴스의 가치 기준
7. 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제2장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1. 서론
2. 저널리즘의 역사
3.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4. 한국의 과학 저널리즘 역사
5. 결론

제3장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와 전망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구조적 요인
3.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내부 요인
4. NASA 우주 프로그램과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5.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과제
6. 결론


제2부 과학 저널리즘 실행
제4장 과학 저널리즘 이론
1. 서론
2. 저널리즘 이론 일반
3. 최대 효과 이론
4. 최소 효과 이론
5. 현대 미디어 효과 이론
6. 공론장(Public Sphere) 이론
7. 결론

제5장 전문가로서 과학자의 역할
1. 서론
2. 과학자,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3.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전문성
4. 과학자와 저널리스트의 관계
5. 과학적 전문성의 설득적·합법적 이용
6. 결론

제6장 과학 저널리즘 윤리
1. 서론
2. 현대 저널리즘의 주요 윤리 이슈들
3. 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 황우석 사태와 과학 저널리즘 윤리
5. 결론


제3부 뉴미디어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제7장 빅데이터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빅데이터의 기원과 정의
3. 빅데이터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규범
4.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5.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교육
6. 빅데이터 시대의 윤리 문제
7. 결론

제8장 위험보도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위험 주관성의 소통
3. 미디어 담론과 프레임
4. 위험보도에서 바람직한 방송 미디어의 역할은 무엇인가
5. 경주 방폐장 선정 시 위험보도 형태
6. 결론

제9장 소셜 미디어 시대의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 재교육의 인식
3. 과학 저널리즘 대학원 커리큘럼 국제 비교
4.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의 유사성과 차이점
5. 저널리즘 재교육에 대한 과학 저널리스트의 관점
6. 결론

제10장 과학 저널리즘의 미래

저자소개

진달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의 특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Global Professor)이다. ≪문화일보≫에서 기자(사회부·경제부) 생활을 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시카고 캠퍼스에서 방문 조교수, 카이스트(KAIST)에서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2014~2015년과 2021~2022년에는 연세대학교 방문교수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플랫폼과 게임 연구,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초국가적 문화 흐름, 미디어 문화 정치경제학, 과학 저널리즘 등이다. 주요 저서로 Artificial Intelligence in Cultural P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Platforms (Routledge, 2021), Transnational Korean Cinema: Cultural Politics, Film Genres, and Digital Technologies (Rutgers University Press, 2019), Globalization and Media in the Digital Platform Age (Routledge, 2019),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 (Routledge, 2015), Korea’s Online Gaming Empire (MIT Press,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 과학 보도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과학 저널리스트의 전문성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누구보다 깨어 있어야 하는 저널리스트는 과학 분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으면 이를 취재해서 보도하기 어렵다. 과학 분야는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으나, 과학 저널리스트는 크게 양산되지 않고 있다. 일부 언론사의 과학부, 생활과학부, 문화부 등에서 과학 분야를 취재·보도하고 있지만 전체 부서와 인원 면에서 기타 정치·경제·사회부 등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특히 다른 부서보다 오랜 기간 전문지식을 쌓아야 하는 과학 저널리스트가 언론사의 단기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보면, 과학계에 견줄 만한 과학 저널리스트를 키워내기 어렵다.


과학 저널리즘은 과학의 발전과 점차 그 정도가 심해지는 자연재해와 맞물려 그 위상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실제로는 언론사 내의 과학 부서가 해체되고 과학 저널리스트들이 해고되거나 축소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21세기 들어 지속되는 경제 위기와 소셜 미디어 등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과학 저널리즘의 위상이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과학 저널리즘의 향후 위상은 과학 저널리스트들이 과학기술 시대를 맞아 어떤 방식으로 과학 저널리즘을 발전시키는가, 그리고 과학 저널리즘 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과학 저널리즘은 최근 들어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과학, 특히 의료 분야의 관심 증대로 과학 저널리즘이 중요시되는 반면, 경제 위기와 신문 독자 및 방송 시청자가 감소하면서 전통 미디어 매체의 과학부와 과학 저널리스트들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뉴미디어의 등장은 특히 과학 저널리즘을 위기로 내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는 과학부가 해체되고 과학 저널리스트들이 해고되는 등의 푸대접을 받는 데에 있지 않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학 저널리즘의 가치가 존중받지 못한다는 데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