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6984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11-14
책 소개
목차
1단원 매체 일반_ 김형일
1. 매체란 무엇인가
2. 매체에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3. 매체에는 어떤 유형이 있나
1) 인쇄 매체
2) 방송 매체
3) 인터넷 매체
4. 매체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매체와 정치
2) 매체와 경제
3) 매체와 문화
5. 오늘날의 매체 환경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
2단원 뉴스 매체_ 이창호
1. 뉴스의 정의 및 생산 과정
2. 뉴스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3. 어떤 것이 뉴스 가치가 있는가
4. 뉴스의 기능
5. 뉴스 프레임 이해하기
6. 뉴스 보도 원칙
7. 어떻게 뉴스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8. 가짜 뉴스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는가
9. 취재 및 보도 준칙
3단원 SNS 매체_ 최진호
1. SNS란 무엇인가
2. SNS를 통한 관계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1) 관계와 도움 주고받기…
2) 네트워크에서의 힘
3. SNS에서의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4. SNS상의 나의 정보는 왜 조심히 관리해야 할까
5. SNS 이용은 우리 사회와 어떻게 맞닿아 있을까
6. SNS에서 가짜 뉴스는 왜 위험한가
4단원 유튜브 매체_ 봉미선
1. 유튜브는 어떠한 공간일까
2. 유튜브, 왜 많이 이용할까
3. 유튜브 영상 올리기와 시청의 의미
4. 유튜브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5. 유튜브 운영과 수익 구조
6.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은 무엇일까
7. 유튜브 영상 홍수 속에서 무엇을 봐야 할까
8. 유튜브 리터러시
5단원 게임 매체_ 장근영
1. 우리 삶 속의 게임
2. 게임이란 무엇인가
3. 게임의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
1) 메커니즘
2) 이야기
3) 미적 요소
4) 기술
4. 게임의 재미는 어디에서 오나
1) 경쟁
2) 의외성
3) 모방
4) 짜릿함
5. 게임의 기능은 무엇인가
6. 게임의 함정
1) 디지털 게임은 안전하다
2) 디지털 게임은 시간 대비 효율성이 높다
3) 디지털 게임은 체력적 부담이 적다
4) 디지털 게임은 현실과 가상이 뒤섞여 있다
7.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한 게임 이용의 원칙
6단원 영화 매체_ 노광우
1. 영화를 보고 즐기는 두 가지 방식: 개인적 관람과 공적 관람
2.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
3. 영화의 시각적 요소: 색채, 화면, 조명, 각도0
4, 영화의 청각적 요소: 대화, 주변음, 음악
5. 영화의 편집: 장면의 연결
6. 영화의 이야기 진행: 스토리와 플롯
7. 영화 장르: 소속과 구분
8. 작가와 예술: 의도와 개성
9. 배우와 스타
10. 영화와 글쓰기
7장 매체 윤리_ 김봉섭
1. 언론 매체 윤리 알아보기
2. 매체의 윤리성 판단하기
3. 디지털 매체 윤리 살펴보기
4. 디지털 매체 윤리 적용하기
1) 뉴스와 가짜 뉴스
2) SNS와 사이버 폭력
3) 유튜브와 저작권
4) 컴퓨터 게임과 게임 중독
5. 인공 지능 윤리 이해하기
6. 올바른 매체 이용자 역량 쌓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렇다면 국민은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이때 신문과 방송, 인터넷과 같은 대중 매체가 바로 정치인과 국민을 연결해 주는 소통의 도구로 이용된다. 대중 매체는 국민을 대신하여 정치인들을 만나 그들의 정책이나 식견을 듣고 이를 국민에게 전달한다. 또한 매체는 국민의 다양한 생각과 의견으로 이루어진 여론을 전달함으로써 정치인들이 국민이 원하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한다. 대중 매체는 정치인과 국민이 서로 의사소통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공론장이다. _ “1단원 매체 일반”
뉴스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 줄까? 아니면 현실의 일부분을 부각시키면서 현실을 재구성할까? 뉴스가 현실의 단순한 반영이 아니라 재구성된 현실의 모습임을 보여 주는 것이 뉴스 프레임이다. 뉴스 프레임은 쉽게 이야기하면 세상을 바라보는 틀이나 창이다. 언론은 어떤 이슈나 사안의 모든 측면을 보도하지는 않는다. 사회의 이슈를 보도할 때 어떤 측면은 강조하고 어떤 측면은 배제한다. 따라서 뉴스에서 어떤 프레임을 사용하느냐가 매우 중요해진다. 가령, 집회나 시위를 보도할 때, 언론이 집회 참가자들이 경찰과 맞서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을 부각한다면 이들의 요구나 주장은 잘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대중은 집회 참가자들이 폭력적이고 과격하다고 인식하기 쉽다. _ “2단원 뉴스 매체”
인터넷 공간은 기본적으로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SNS도 마찬가지이다. SNS 계정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도 있고 모를 수도 있지만 피드에 올라오는 콘텐츠를 보고 그 사람의 일상이나 취향 등을 판단하게 된다. SNS의 프로필에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기도 한다. 익명성이 있기 때문에 실제 자신의 프로필과 다른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익명과 실명의 영역이 묘하게 교차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SNS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과정은 일종의 평판을 쌓는 과정이기도 하다. 내가 알던 친구가 SNS에 매일 밤마다 감상에 젖어 자신이 쓴 시를 게시한다고 할 때, 내가 평소 모르던 모습이더라도 SNS를 통해 그 친구가 감수성이 풍부하고 문학적 소질이 뛰어난 친구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친구를 달리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_ “3단원 SNS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