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261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11-10
책 소개
목차
서론 _ 전범수
제1장 사회적 공공 이슈와 방송 _ 정현주
1. 사회적 공공 이슈 | 2. 방송 속에서의 사회적 공공 이슈
제2장 방송 저널리즘 _ 홍성철
1. 한국 방송 보도의 시작과 발전 | 2. 방송 뉴스의 가치와 방송 뉴스 작법 | 3. 방송 뉴스의 취재 및 보도 과정과 게이트키핑 | 4. PD 저널리즘
제3장 방송 조직 _ 조재희
1. 조직의 기본 개념 | 2. 방송 조직의 기본적인 구조 및 직무 | 3. 방송 조직의 운영 | 4. 방송 조직의 통제와 조직 문화
제4장 주요 방송법과 정책 _ 박성순
1.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그리고 알 권리 | 2. 저작권 | 3. 퍼블리시티권, 전속계약 문제 등
제5장 방송의 영향력 _ 최믿음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인식 변화 | 2. 시기별 주요 미디어 효과 이론과 사례 | 3. 정리하며
제6장 텔레비전 체제의 변동과 새로운 방송 시청 관습의 이해 _ 이소은
1. 서론: 방송을 본다는 것 | 2. 텔레비전 체제와 일상생활의 구조화 | 3. 텔레비전 체제의 변동 | 4. 새로운 방송을 이해하기 위한 물음들 | 5. 결론: 방송 시청의 이해, 일상생활의 이해
제7장 방송 시장 경쟁 지형 변화 _ 김정환
1. 전통 방송사업자의 지위 하락 | 2. OTT 서비스의 성장 | 3. 구독 기반 모델의 성장과 의미
제8장 1인 미디어의 확산과 영상 시장의 변화 _ 유수정
1.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와 1인 미디어 등장 | 2. 1인 미디어의 특성 | 3. 1인 미디어 생태계의 주요 플레이어 및 관계 | 4. 1인 미디어 성장과 고민
제9장 유튜브 시대의 저널리즘과 방송 뉴스 _ 유용민
1. 뉴스 플랫폼으로서 유튜브의 등장 | 2. 유튜브 시사·정치 채널의 부상 | 3. 유튜브와 저널리즘의 관계 | 4.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의 성격과 효과 | 5. 유튜브 플랫폼과 방송 저널리즘 | 6. 결론: 유튜브 시대 방송 저널리즘의 과제와 역할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개 대중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사람들이 중요한 인물로 부각되는 과정을 대중매체에 의한 지위부여 기능(status-conferral function)이라고 한다. 이와 유사하게, 사람들은 방송이 특정 이슈를 중요하게 부각시킬수록 그 이슈를 매우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게 되고, 방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이슈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방송의 의제설정 기능(agenda-setting function)이라고 한다. 방송의 의제설정 기능이란 사람들이 어떠한 이슈를 주요 의제로 생각하고, 그 의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방송이 설정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특정 이슈를 둘러싼 공중의제 결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뉴우스데스크는 시작, 2개월 만에 시청률이 50%를 넘기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면서 방송 시간도 10분에서 20분으로 늘렸다. 이 같은 변화에는 기술적 측면도 기여했다. 즉, 방송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의 보급으로 카메라 기자가 기동성 있게 현장을 취재하기 수월해졌기 때문이다. 1978년에 도입된 ENG 카메라와 VTR 편집 및 더빙 설비가 그것이다. 마이크를 잡은 취재기자와 카메라를 잡은 카메라 기자가 2인 1조가 되어 취재하는 형식이 시작되었다. …… 또한 이 시기 뉴스 프롬프터의 도입은, 뉴스 진행자들이 준비된 원고를 들고 읽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화면을 응시하면서 뉴스 진행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SBS의 장수 프로그램 <런닝맨>의 제작 과정만 살펴보아도, 기획팀(방송 작가 포함)을 중심으로 콘텐츠에 대한 스토리라인을 잡고, 촬영에 들어가면 수십 대가 넘는 카메라가 동원되어 각 출연자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고 음향 감독을 비롯한 많은 보조 인력은 녹음을 담당한다. 동시에 각 출연자마다 담당 카메라맨을 투입함으로써 출연자의 이동 장면을 다이내믹하게 촬영한다. 여기서 전체적인 과정은 하나의 콘텐츠를 창조하기 위한 수평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조금 더 내부적인 노동 구조를 살펴보면, ‘노동의 분업화·표준화’와 ‘위계적 질서’가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