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운 방송학 개론

새로운 방송학 개론 (양장)

전범수, 정현주, 홍성철, 조재희, 박성순, 최믿음, 이소은, 김정환, 유수정, 유용민 (지은이), 한국방송학회 (기획)
한울(한울아카데미)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로운 방송학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운 방송학 개론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261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11-10

책 소개

미디어 및 방송 전반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시점에 비교적 새로운 시각으로 이 변화들을 읽어낼 수 있는 저자들이 참여한 집합적 지적 산물이다. 새롭게 방송이 확장되는 특성들을 역동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목차

서론 _ 전범수

제1장 사회적 공공 이슈와 방송 _ 정현주
1. 사회적 공공 이슈 | 2. 방송 속에서의 사회적 공공 이슈

제2장 방송 저널리즘 _ 홍성철
1. 한국 방송 보도의 시작과 발전 | 2. 방송 뉴스의 가치와 방송 뉴스 작법 | 3. 방송 뉴스의 취재 및 보도 과정과 게이트키핑 | 4. PD 저널리즘

제3장 방송 조직 _ 조재희
1. 조직의 기본 개념 | 2. 방송 조직의 기본적인 구조 및 직무 | 3. 방송 조직의 운영 | 4. 방송 조직의 통제와 조직 문화

제4장 주요 방송법과 정책 _ 박성순
1.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그리고 알 권리 | 2. 저작권 | 3. 퍼블리시티권, 전속계약 문제 등

제5장 방송의 영향력 _ 최믿음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인식 변화 | 2. 시기별 주요 미디어 효과 이론과 사례 | 3. 정리하며

제6장 텔레비전 체제의 변동과 새로운 방송 시청 관습의 이해 _ 이소은
1. 서론: 방송을 본다는 것 | 2. 텔레비전 체제와 일상생활의 구조화 | 3. 텔레비전 체제의 변동 | 4. 새로운 방송을 이해하기 위한 물음들 | 5. 결론: 방송 시청의 이해, 일상생활의 이해

제7장 방송 시장 경쟁 지형 변화 _ 김정환
1. 전통 방송사업자의 지위 하락 | 2. OTT 서비스의 성장 | 3. 구독 기반 모델의 성장과 의미

제8장 1인 미디어의 확산과 영상 시장의 변화 _ 유수정
1.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와 1인 미디어 등장 | 2. 1인 미디어의 특성 | 3. 1인 미디어 생태계의 주요 플레이어 및 관계 | 4. 1인 미디어 성장과 고민

제9장 유튜브 시대의 저널리즘과 방송 뉴스 _ 유용민
1. 뉴스 플랫폼으로서 유튜브의 등장 | 2. 유튜브 시사·정치 채널의 부상 | 3. 유튜브와 저널리즘의 관계 | 4.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의 성격과 효과 | 5. 유튜브 플랫폼과 방송 저널리즘 | 6. 결론: 유튜브 시대 방송 저널리즘의 과제와 역할

저자소개

홍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언론미디어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에서는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을 전공으로, 언론법을 부전공으로 공부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문화일보≫에서 10년간 기자 생활을 하면서 경제부, 국제부, 사회부, 산업부 등을 거쳤다. 저서로는 <유곽의 역사>(2007), 논문으로는 “Do cultural values matter?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third-person effect and support for the regulation of violent video games”(2015), “Copyright protection v. public morality: The copyright protection dilemma of pornography in a global context”(2013)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성철의 다른 책 >
유용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다. 디지털 저널리즘과 매체철학 그리고 미디어-정치학이 주요 연구 분야다. 주요 논문으로 <컴퓨테이션 프로파간다에 대한 탐색적 시론>, <포스트 진실과 그 인식론 대응하기>, <유튜브 저널리즘 논쟁하기>, <포퓰리즘, 민주 주의 그리고 미디어>, <경합적 민주주의의 비판적 수용> 등이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저널리즘 모포시스》(2020, 공저), 《데이터 테크놀로지 시대 커뮤니케이션 연구》(2019, 공저), 《디지털 저널리즘》(2019, 공역), 《미디어 다원주의 이해와 비판》(2016), 《경합적 민주주의》(2015) 등이 있다. 유당신진언론법상(한국언론법학회), 한국방송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소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지냈다. 논문으로 “They pay for a reason! The determinants of fan's instant sponsorship for content creators”(2019), “딥페이크의 이미지 조작: 심층적 자동화에 따른 사실의 위기와 푼크툼의 생성”(2019), “가족의 화로에서 사적 스크린으로?: 가내 TV 시청 양상에 대한 분석”(2018), “기계와 인간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가?: 기계학습을 통해 본 쟁점과 대안”(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유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연구위원
펼치기
한국방송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88년 창립된 사단법인 한국방송학회는 방송에 관한 학문적 연구 및 교육, 국내외 관련기관과 협력 및 교류를 통하여 한국 방송의 올바른 위상을 정립하고, 방송인의 자질과 전문성을 함양함으로써 바람직한 방송문화의 정립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방송통신 분야의 국내 최대 학술단체로서, 1,000여 명의 연구자와 교육자, 현업 종사자들이 참여해 활동하고 있다. 학술지 《한국방송학보》와 《방송통신연구》를 통해 학회원들의 연구 성과를 사회적으로 공유하며, 다양한 연구분과를 중심으로 각종 학술세미나, 산학협력 연구, 대학원생 교육과 지원 프로그램 등을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개 대중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사람들이 중요한 인물로 부각되는 과정을 대중매체에 의한 지위부여 기능(status-conferral function)이라고 한다. 이와 유사하게, 사람들은 방송이 특정 이슈를 중요하게 부각시킬수록 그 이슈를 매우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게 되고, 방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이슈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방송의 의제설정 기능(agenda-setting function)이라고 한다. 방송의 의제설정 기능이란 사람들이 어떠한 이슈를 주요 의제로 생각하고, 그 의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방송이 설정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특정 이슈를 둘러싼 공중의제 결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뉴우스데스크는 시작, 2개월 만에 시청률이 50%를 넘기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면서 방송 시간도 10분에서 20분으로 늘렸다. 이 같은 변화에는 기술적 측면도 기여했다. 즉, 방송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의 보급으로 카메라 기자가 기동성 있게 현장을 취재하기 수월해졌기 때문이다. 1978년에 도입된 ENG 카메라와 VTR 편집 및 더빙 설비가 그것이다. 마이크를 잡은 취재기자와 카메라를 잡은 카메라 기자가 2인 1조가 되어 취재하는 형식이 시작되었다. …… 또한 이 시기 뉴스 프롬프터의 도입은, 뉴스 진행자들이 준비된 원고를 들고 읽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화면을 응시하면서 뉴스 진행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SBS의 장수 프로그램 <런닝맨>의 제작 과정만 살펴보아도, 기획팀(방송 작가 포함)을 중심으로 콘텐츠에 대한 스토리라인을 잡고, 촬영에 들어가면 수십 대가 넘는 카메라가 동원되어 각 출연자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고 음향 감독을 비롯한 많은 보조 인력은 녹음을 담당한다. 동시에 각 출연자마다 담당 카메라맨을 투입함으로써 출연자의 이동 장면을 다이내믹하게 촬영한다. 여기서 전체적인 과정은 하나의 콘텐츠를 창조하기 위한 수평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조금 더 내부적인 노동 구조를 살펴보면, ‘노동의 분업화·표준화’와 ‘위계적 질서’가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