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7309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7-19
책 소개
목차
서문
권두언: 평화 상태의 개념에 대하여 _최상용
제1부 동아시아 평화론의 전개와 현대적 함의
제1장 평화로서의 발전, 혹은 발전적 평화: 중국 평화론의 전개와 현대적 함의 _팡중잉(龐中英)
제2장 일본의 평화정책과 평화 논쟁: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새로운 시각과 평화연구가들의 책임과 도전 _요코야마 마사키(橫山正樹)
제3장 한국 평화 담론의 전개와 대외 정책론 _박영준
제2부 국제평화체제의 흥망과 평화의 조건
제4장 ‘근세 초’ 유럽 국제정치사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의 사례를 중심으로 _김준석
제5장 근대 유럽의 전쟁과 평화: ‘부드러운 상업’의 등장과 평화의 구축 _홍태영
제3부 21세기 동아시아 질서의 쟁점과 전망
제6장 동아시아 국가들의 군비경쟁 _이동선·백선우
제7장 동아시아 각국 간 해양 영유권 분쟁과 전망 _고봉준
제8장 동아시아 평화 질서와 한일 관계 재구축: 민주화-역사 화해-평화 구축의 트릴레마 _남기정
제9장 경제통합과 이중 전이, 그리고 전략적 선택: 동아시아 지역주의 변화의 동학 _이승주
제10장 동아시아 역내 문제 해결 방식의 특수성 _조동준
제4부 한반도 및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국가 전략
제11장 정부 수립 60년의 한국 외교 담론 _이혜정
제12장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국의 안보·국방 전략 _한용섭
제13장 한반도 평화와 통일: 통일의 개념과 통일 전략 _김영호
제14장 문재인 정부의 평화정책 평가와 과제 _서보혁
저자소개
책속에서
롤스가 공정정의로 평화를 설명했다면 저는 중용정의로 평화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 중용은 극단을 배제한 중간 영역에서의 최적 판단으로,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도덕적·정치적 규범입니다. 중용이 인간관계에서나 정치 관계에서 갈등의 최소화를 통한 균형의 유지를 기본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평화 사상의 기본 내용과 유사합니다. 그리고 중용과 평화는 둘 다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성격을 규정짓는 기본적인 가치입니다. _ “권두언”
냉전기 이래 한국의 평화연구는 ‘소극적 평화’ 및 ‘전통적 안보’ 개념을 중시하는 현실주의적 평화연구에서 점차 ‘적극적 평화’ 및 ‘공동 안보’ 개념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적 평화연구의 방향을 수용하며 변화해 왔다. 현실주의적 평화 담론과 자유주의적 평화 담론이 상호 수렴해 온 것이다. _ “제3장 한국 평화 담론의 전개와 대외 정책론”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은 단순한 ‘재산 싸움’이 아니었다. 근세 초 유럽 군주들이 왕위 계승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한 것은 이 싸움에서 패배할 경우 국제정치 체제 내에서 다른 국가에 대해 열세에 처할 것이고, 이는 궁극적으로 자신이 통치하는 국가의 안전을 위협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_ “제4장 ‘근세 초’ 유럽 국제정치사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