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47541114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6-07-1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
서문 2
감사의 글
소개의 글
1부 학습사회 창조
: 성장, 발전, 사회진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
1장 학습혁명
2장 학습의 중요성
3장 학습 경제
4장 학습 기업과 학습 환경 만들기
5장 시장구조, 후생, 그리고 학습
6장 슘페터식 경쟁의 후생경제학
7장 폐쇄경제에서의 학습
8장 유치경제 보호정책:학습 환경에서의 무역정책
2부 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정책
9장 창조적 학습사회의 구축과 산업 및 무역정책의 역할
10장 금융정책과 창조적 학습사회
11장 창조적 학습사회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과 투자정책
12장 지식재산권
13장 창조적 학습사회와 사회체제의 전환
14장 결론
역자 후기
각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의 질 향상의 열쇠는 생산성 향상의 결과, 또는 더 잘하는 법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생산성이 학습의 결과이며 생산성(학습)의 향상이 내생적이라면, 정책의 초점은 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경제정책은 학습 능력과 학습에 대한 인센티브를 증가시키고, 학습하는 법을 배우며, 가장 생산적인 기업과 나머지 기업들을 갈라놓는 지식의 차이를 줄이는 데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사회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경제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여야 한다.
정작 중요한 것은 정태적 비교우위가 아니라 동태적 비교우위임은 널리 알려진 통념이 되었다. 한국은 산업화를 시작했을 당시 반도체에 비교우위가 있던 게 아니었다. 한국의 정태적 비교우위는 쌀을 생산하는 데 있었다. 한국이 많은 고전주의 경제학자의 제언처럼 정태적 비교우위 이론을 받아들였다면 쌀은 아직도 한국의 비교우위였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세계 최고의 쌀 생산국이 될 수 있었겠지만 여전히 가난했을 것이다. 한 국가의 동태적 비교우위는 내생적이고 그 국가의 정책과 활동의 결과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동태적 비교우위를 창출하기 위해 오늘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역동적인 학습사회를 구축하는 데는 많은 측면이 있는데, 우선 개인은 학습 의지와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또한 학습을 위한 동기 부여도 필요하다. 보통, 지식은 조직에서 일하는 개인에 의해 만들어지며 그런 지식은 조직의 다른 개인에게 전수된다. 그리고 한 조직에서 다른 조직으로 전파되기도 한다. 지식이 전수되는 범위와 용이함, 그리고 속도는 학습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특징이다. 새로운 지식은 새로운 사고를 자극하기 때문에 지식은 새로운 생각과 창의성의 촉매제이자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