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조적 학습사회

창조적 학습사회

(성장.발전.사회진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

브루스 그린왈드, 조지프 스티글리츠 (지은이), 김민주, 이엽 (옮긴이)
한국경제신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6,000원 >
G마켓 직접배송 1개 6,7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600원 -10% 880원 14,960원 >

책 이미지

창조적 학습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조적 학습사회 (성장.발전.사회진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47541114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6-07-10

책 소개

시장경제에서의 경쟁이 효율적이며 탐욕의 추구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인해 사회 후생으로 이어진다는 전통경제학적 관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시장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사회 후생을 증대시키는 방향에 대해 올바른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이야기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
서문 2
감사의 글
소개의 글

1부 학습사회 창조
: 성장, 발전, 사회진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

1장 학습혁명
2장 학습의 중요성
3장 학습 경제
4장 학습 기업과 학습 환경 만들기
5장 시장구조, 후생, 그리고 학습
6장 슘페터식 경쟁의 후생경제학
7장 폐쇄경제에서의 학습
8장 유치경제 보호정책:학습 환경에서의 무역정책

2부 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정책
9장 창조적 학습사회의 구축과 산업 및 무역정책의 역할
10장 금융정책과 창조적 학습사회
11장 창조적 학습사회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과 투자정책
12장 지식재산권
13장 창조적 학습사회와 사회체제의 전환
14장 결론

역자 후기
각주

저자소개

브루스 그린왈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컬럼비아 대학 경영 대학원에서 금융 및 자산관리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디어 분야에서의 가치투자, 전략 행위의 경제학, 시장의 세계화 및 전략 관리를 가르친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 가‘ 월스트리트 전문가의 전문가’라고 설명했듯이 생산성 및 정보 경제학에 전문성을 보유한 가치 투자의 권위자이다. MIT에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고 프린스턴 대학에서 행정학 석사 및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인 아바 시브(Ava Seave)와 함께 뉴욕에서 살고 있다. 다수의 학술 논문과 대중적인 몇 권의 책을 저술했다. 국내에서 소개된 책으로는『창조적 학습사회(Creating a Learning Society : A New Approach to Growth, Development, and Social Progress)』,『 가치 투자(Value Investing)』가 있다.
펼치기
조지프 스티글리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컬럼비아대학교 석좌교수이자 200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경제학자.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예일대학교 정교수로 부임했다. 듀크대학교, 스탠퍼드대학교, 옥스퍼드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빌 클린턴 행정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세계은행 수석 부총재 겸 수석 경제학자를 역임하며 학계와 정계를 넘나드는 실천적 경제학자로 자리매김했다. 1979년에 40세 이하 학자 중 경제학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존베이츠클라크메달(John Bates Clark Award)을 수상했으며 2001년에는 정보의 비대칭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공로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인용되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세계화, 자유무역, 규제 완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빈곤과 불평등 해결을 위한 경제적 대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왔다. 정책대화이니셔티브(IPD)의 공동창립자이자 공동회장이며 루스벨트연구소(Roosevelt Institute) 수석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전 세계적으로 100만 부 이상 판매된 『세계화와 그 불만(Globalization and Its Discontents)』을 비롯해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Making Globalization Work)』 『불평등의 대가(The Price Of Inequality)』 『거대한 불평등(The Great Divide)』 『끝나지 않은 추락(Freefall)』 『불만 시대의 자본주의(People, Power, and Profits)』 등이 있다. ⓒ Gabriela Sciolino Plump
펼치기
조지프 스티글리츠의 다른 책 >
김민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원래 전공이었던 경제학과 금융, 기업, 비즈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역사, 문화, 경제 분야를 아우르는 폴리매스(Polymath, 박식가)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와 미국 시카고대학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한국은행과 SK그룹을 거쳐 리드앤리더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각종 언론매체에 칼럼 기고, TV 강의를 비롯하여 유튜브나 줌 강의, 오프라인 강의가 활발하다. 최근에 경제사상, 미국 대통령 리더십, 미국사 어드벤처, 영화로 보는 각 국의 역사를 주제로 시리즈 강의를 진행했다. 세계문학 독서토론 모임인 만권당과 역사문화 여행 모임인 컬쳐클럽도 운영하면서 신체와 정신을 충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 《김민주의 트렌드로 읽는 세계사》, 《한 권으로 읽는 비즈니스 명저100》, 《자본주의 이야기》, 《다크 투어》, 《북유럽 이야기》,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 《경제법칙 101》, 《하인리히 법칙》, 《시티노믹스》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커넥트; 스탠퍼드 인간관계 수업》,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빌 캠벨 실리콘밸리의 위대한 코치》, 《성장의 문화》, 《노벨경제학 강의》,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The Next)》, 《깨진 유리창 법칙》, 《지식경제학 미스터리》가 있다.
펼치기
이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에서 경제학과 국제관계학, 아시아학을 전공했다. 졸업 후 공군통역장교로 입대해 군복무를 마쳤고, 한국금융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한 뒤 현재 딜로이트 커뮤니케이션전략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창조적 학습사회》 《마켓 4.0 시대 이기는 마케팅》 《성장의 문화》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THE NEXT》 《빌 캠벨, 실리콘밸리의 위대한 코치》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삶의 질 향상의 열쇠는 생산성 향상의 결과, 또는 더 잘하는 법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생산성이 학습의 결과이며 생산성(학습)의 향상이 내생적이라면, 정책의 초점은 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경제정책은 학습 능력과 학습에 대한 인센티브를 증가시키고, 학습하는 법을 배우며, 가장 생산적인 기업과 나머지 기업들을 갈라놓는 지식의 차이를 줄이는 데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사회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경제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여야 한다.


정작 중요한 것은 정태적 비교우위가 아니라 동태적 비교우위임은 널리 알려진 통념이 되었다. 한국은 산업화를 시작했을 당시 반도체에 비교우위가 있던 게 아니었다. 한국의 정태적 비교우위는 쌀을 생산하는 데 있었다. 한국이 많은 고전주의 경제학자의 제언처럼 정태적 비교우위 이론을 받아들였다면 쌀은 아직도 한국의 비교우위였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세계 최고의 쌀 생산국이 될 수 있었겠지만 여전히 가난했을 것이다. 한 국가의 동태적 비교우위는 내생적이고 그 국가의 정책과 활동의 결과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동태적 비교우위를 창출하기 위해 오늘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역동적인 학습사회를 구축하는 데는 많은 측면이 있는데, 우선 개인은 학습 의지와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또한 학습을 위한 동기 부여도 필요하다. 보통, 지식은 조직에서 일하는 개인에 의해 만들어지며 그런 지식은 조직의 다른 개인에게 전수된다. 그리고 한 조직에서 다른 조직으로 전파되기도 한다. 지식이 전수되는 범위와 용이함, 그리고 속도는 학습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특징이다. 새로운 지식은 새로운 사고를 자극하기 때문에 지식은 새로운 생각과 창의성의 촉매제이자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