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존재와 시간

존재와 시간

마르틴 하이데거 (지은이), 전양범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8,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존재와 시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존재와 시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 ISBN : 9788949704920
· 쪽수 : 686쪽
· 출판일 : 2008-10-01

책 소개

기존 전통서양철학의 잘못된 이해를 비판하며 ‘존재’의 의미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이 거작은 서론 〈존재 의미에 대한 물음의 설명〉에 이어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인 기초분석〉과 〈현존재와 시간성〉이라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목차

서론 존재 의미에 대한 물음의 설명

제1장 존재문제의 필연성, 구조 그리고 우위(優位)
1 존재에 대한 물음을 명료하게 되풀이하는 필연성…11
2 존재에 대한 물음의 형식적 구조…14
3 존재문제의 존재론적 우위…18
4 존재문제의 존재적 우위…22

제2장 존재문제를 검토할 경우의 이중과제, 그 근본적 탐구방법과 구도
5 존재 일반의 의미 해석을 실시할 지평을 개척하기 위한 현존재의 존재론적 분석론…27
6 존재론 역사의 해체 그 과제…32
7 근본적 탐구의 현상학적 방법…41
8 논술의 짜임…55

제1부 시간성을 지향하는 현존재의 학문적 해석과 존재에 대한 물음의 초월적 지평으로서 시간을 밝힌다

제1편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인 기초분석

제1장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 분석과제의 제시
9 현존재의 분석론의 주제…60
10 인간학 심리학 생물학에 대한 현존재 분석론의 경계설정…64
11 실존론적 분석론과 원시적 현존재의 해석, ‘자연적 세계개념’을 얻는 어려움들…70

제2장 현존재의 근본틀로서의 세계―내―존재 일반
12 내―존재(안에―있음) 그 자체를 길잡이 삼아 세계―내―존재를 소묘함…73
13 기초잡힌 하나의 상태로 이루어지는 내―존재의 예시 세계인식…81

제3장 세계의 세계성
14 세계 일반의 세계성 이념…86
A. 환경세계성과 세계성 일반분석
15 환경세계 안에서 만나는 존재자의 존재…90
16 세계내부적인 존재자에게 알려지는 환경세계의 세계적합성…97
17 지시와 기호…102
18 취향성과 유의의성, 세계의 세계성…110
B. 세계성 분석을 데카르트의 세계 해석과 대조하는 것
19 연장으로서의 ‘세계’ 규정…118
20 ‘세계’에 대한 존재론적 규정의 모든 기초…120
21 데카르트의 ‘세계’ 존재론에 대한 해석학적 논의…123
C. 환경세계의 환경성과 현존재의 공간성
22 세계내부적인 도구적 존재자의 공간성…132
23 세계―내―존재의 공간성…135
24 현존재의 공간성과 공간…142

제4장 공존재와 자기존재로서의 세계―내―존재 ‘세상사람’
25 현존재는 누구인가? 실존론적인 물음의 실마리…148
26 타인의 공동현존재와 일상적 공존재…151
27 일상적 자기존재와 세상사람…162

제5장 내―존재 그 자체
28 내―존재의 주제적 분석 과제…169
A. 현(現)의 실존론적 구성
29 심경(心境)으로서의 현(거기에)―존재…173
30 심경(心境)의 한 상태로서의 공포…180
31 이해로서의 현존재…183
32 이해와 해석…191
33 해석의 파생적 상태로서의 진술…197
34 현―존재와 논술, 언어…205
B. 현의 일상적 존재와 현존재의 퇴락
35 빈말 또는 잡담…214
36 호기심…218
37 애매함…221
38 퇴락과 피투성(被投性)…224

제6장 현존재의 존재로서의 관심
39 현존재 구조 전체의 근원적인 전체성에 대한 문제…231
40 현존재의 두드러진 개시성으로서의 불안이라는 근본심경…235
41 관심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244
42 현존재의 전(前) 존재론적 자기해석에 의거하여 관심으로서의 현존재의 실존론적인 철학적 해석을 확증하는 일…251
43 현존재, 세계성 실재성…255
44 현존재, 열어밝힘 및 진리…270

제2편 현존재와 시간성

45 현존재의 예비기초분석 성과 및 이 존재자에 대한 근원적 실존론적인 철학적 해석의 과제…295

제1장 현존재의 가능한 전체존재와 죽음을 맞는 존재
46 현존재적 전체존재를 존재론적으로 파악 규정하는 행위의 표면적 불가능성…302
47 타인의 죽음의 경험 가능성과 전체적인 현존재의 포착 가능성…304
48 미완성 종말 전체성…309
49 죽음의 실존론적 분석과, 그 현상에 대한 다른 철학적 해석의 대조적 구별…316
50 죽음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구조의 소묘…319
51 죽음을 맞는 존재와 현존재의 일상성…323
52 죽음을 맞는 일상적 존재와 죽음의 완전한 실존론적 개념…327
53 본디적인 ‘죽음을 맞는 존재’의 실존론적 기투…333

제2장 본디적 존재가능의 현존재적 증명과 결의성
54 본디적인 실존적 가능성을 증명하는 문제…345
55 양심의 실존론적?존재론적 기초…348
56 양심의 호소하는 성격…350
57 관심에 호소하는 양심…353
58 호소의 이해와 책임…361
59 양심의 실존론적 해석과 통속적 양심 해석…374
60 양심을 통해 증명되는 본디적 존재가능의 실존론적 구조…382

제3장 현존재의 본디적 전체존재가능성과, 관심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
61 현존재의 본디적 전체존재에 대한 한정설정으로부터 시간성의 현상적 방해물 제거에 이르는 방법적 과정에 대한 소묘…392
62 선험적 결의성으로서의 현존재의 실존적?본디적 전체존재가능성…395
63 관심의 존재의미의 철학적 해석을 위해 획득된 해석학적 상황과, 실존론적 분석론 일반의 방법적 성격…402
64 관심과 자기성(自己性)…409
65 관심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416
66 현존재의 시간성과 거기서 발현하는 실존론적 분석의 더 근원적인 되풀이 과제들…425

제4장 시간성과 일상성
67 현존재의 실존론적 구성틀의 근본 구성과, 그 구성의 시간적 해석에 대한 소묘…431
68 열어밝힘 일반의 시간성…432
69 세계―내―존재의 시간성과 세계 초월 문제…450
70 현존재적 공간성의 시간성…469
71 현존재 일상성의 시간적 의미…473

제5장 시간성과 역사성
72 역사 문제의 실존론적?존재론적 전망…478
73 역사의 통속적 이해와 현존재의 발생…485
74 역사성의 근본 구성…490
75 현존재의 역사성과 세계역사…497
76 현존재의 역사성에 의거한, 역사학의 실존론적 근원…502
77 역사성 문제에 대한 위의 논술과, W. 딜타이의 연구 및 요르크 백작의 이념과의 연관성…509

제6장 시간성과 통속적 시간개념 근원으로서의 시간내부성
78 이제까지 논술한 현존재 시간적 분석의 불완전성…518
79 현존재 시간성과 시간의 배려…521
80 배려적으로 걱정되는 시간과 시간내부성…527
81 시간내부성과, 통속적 시간개념의 발생기원…537
82 시간성과 현존재 및 세계시간 실존론적 존재론적 연관과, 시간과 정신의 관계에 대한 헤겔의 견해와의 대조…546
83 현존재의 실존론적―시간적 분석론과 존재전반 의미에 대한 기초 존재론적인 물음…553

하이데거 생애와 사상
Ⅰ 하이데거가 걸어온 길…563
Ⅱ 「존재와 시간」에 대하여…595
Ⅲ 하이데거의 사상…610
하이데거 연보…683

저자소개

마르틴 하이데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철학자. 1889년 독일 슈바르츠발트 지역의 작은 마을 메스키르히에서 태어났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전공했으며, 에드문트 후설에게 현상학을 배웠다. 1923년부터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1928년부터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1933-1934년에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총장을 지냈다. 대표작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에서 현존재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존재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에 접근했고, 이 책으로 독일 철학의 최전선에 섰다. 현상학, 실존주의, 해석학, 구조주의, 포스트 모더니즘 등 현대의 철학과 문학, 예술, 언어 등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76년에 영면했다. 주요 저서로는 『존재와 시간』 외에도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현상학의 근본문제들(Die Grundprobleme der Phanomenologie)』, 『철학에의 기여(Beitrage zur Philosophie)』, 『숲길(Holzwege)』, 『강연과 논문(Vortrage und Aufsatze)』, 『이정표(Wegmarken)』 등이 있으며, 1975년부터 전집 간행이 시작되어 100여 권이 출간되었다.
펼치기
전양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및 동대학원 졸업. 독일 보훔대학 독문과 수료. 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및 한양대학교에서 강의. 성결대학교 교수 역임. 지은책 연구논문집 다수. 옮긴책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그리스철학자열전》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