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설원 1

설원 1

유향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0원
1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8,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설원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설원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76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위정자를 위한, 고대 제후 선현들의 행적과 일화·우화,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덕과 용인술用人術, 심지어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남을 받들어 모실 때의 태도와 임무, 근본과 절도를 세워 살아가는 방법, 능력 있고 어진이를 찾아 천하를 이롭게 해야 할 이유, 사물을 바로 보고 그에 대처할 줄 아는 지혜를 알려준다.

목차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해제
(1) ≪설원說苑≫
(2) 유향劉向

034설원1권

卷一 군도편君道篇
001(1-1) 晉平公問於師曠 임금이 갖추어야 할 도리
002(1-2) 齊宣王謂尹文 군주로서의 권위
003(1-3) 成王封伯禽爲魯公 백금의 봉지 노나라
004(1-4) 陳靈公行僻而言失 행동이 치우치고 실언이 많은 진 영공
005(1-5) 魯哀公問於孔子 군자의 도박
006(1-6) 河間獻王曰堯存心於天下 하간 헌왕의 제왕에 대한 의견
007(1-7) 周公踐天子之位 주공이 천자의 정치를 대신할 때
008(1-8) 河間獻王曰禹稱民無食 우 임금의 치적
009(1-9) 禹出見罪人 요순의 마음으로
010(1-10) 虞人與芮人 밭두둑 송사
011(1-11) 成王與唐叔虞燕居 성왕의 소꿉놀이
012(1-12) 當堯之時 요임금의 신하들
013(1-13) 湯問伊尹 임금이 실책을 없애려면
014(1-14) 王者何以選賢 어진 이를 등용하는 법
015(1-15) 武王問太公曰擧賢而以危亡者 작은 선을 즐겨 쓰다가는
016(1-16) 武王問太公得賢敬士 버릴 것은 버릴 줄 알아야
017(1-17) 齊桓公問於寗戚 언로를 활짝 여시오
018(1-18) 齊景公問於晏子 관직이 구비되지 않았습니다
019(1-19) 吾聞高?與夫子游 임금의 잘못을 고쳐줄 신하
020(1-20) 燕昭王問於郭? 스승이 없는 임금
021(1-21) 楚莊王旣服鄭伯 왕자와 패자의 차이
022(1-22) 明主者有三懼 군주가 두려워해야 할 세 가지
023(1-23) 齊景公出獵 호랑이와 뱀
024(1-24) 楚莊王好獵 세 가지 유형의 용사
025(1-25) 湯之時大旱七年 칠 년 동안의 가뭄
026(1-26) 殷太戊時 궁중에 들풀이 나면
027(1-27) 高宗者武丁也 나라가 망할 징조
028(1-28) 宋大水 송나라의 홍수
029(1-29) 楚昭王有疾 제사의 종류와 제한
030(1-30) 楚昭王之時 옆구리의 병
031(1-31) ?文公卜徙於繹 백성에게 이로우면 된다
032(1-32) 楚莊王見天不見妖而地不出? 하늘이 나를 잊었나
033(1-33) 湯曰藥食先嘗於卑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라
034(1-34) 楚文王有疾 의와 예로 나를 괴롭혔다
035(1-35) 趙簡子與欒激遊 과실만 늘어나게 한 신하
036(1-36) 或謂趙簡子 과실을 고치리라
037(1-37) 韓武子田獸已聚矣 사냥을 끝내고 조문을 가겠다
038(1-38) 師經鼓琴 신하가 임금을 치다
039(1-39) 齊景公游於蔞 안자의 시신에 통곡한 경공
040(1-40) 晏子沒十有七年 안자가 죽은 뒤
041(1-41) 夫天之生人也 사람은 임금을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다
042(1-42) 齊人弑其君 신하가 감히 임금을 죽이다니
043(1-43) 孔子曰文王似元年 지극히 성스러운 임금들
044(1-44) 尊君卑臣者 임금이 높은 이유
045(1-45) 孔子曰夏道不亡 권세는 두 가지가 양립할 수 없다
046(1-46) 司城子罕相宋 제가 악역을 담당하지요

卷二 신술편臣術篇
047(2-1) 人臣之術 신하된 자의 처신술
048(2-2) 湯問伊尹三公九卿 각 직분의 차이점
049(2-3) 湯問伊尹曰古者所以立三公九卿 각 직분을 세운 이유
050(2-4) 子貢問孔子今之人臣孰爲賢 역대 가장 어질었던 신하
051(2-5) 魏文侯且置相 재상 결정의 요건
052(2-6) 楚令尹死 누가 재상이 될까
053(2-7) 田子方渡西河 난 그대가 임금인 줄 알았소
054(2-8) 齊威王遊於瑤臺 사치스러운 신하의 차림새
055(2-9) 秦穆公使賈人載鹽 소금 운반
056(2-10) 趙簡子從晉陽之邯鄲 삼군의 행렬을 멈추고
057(2-11) 晏子侍於景公 재상은 임금 잔심부름꾼이 아니오
058(2-12) 齊侯問於晏子 임금을 따라 죽지 않아야 충신
059(2-13) 晏子朝乘弊車駕駑馬 낡은 수레에 만족한 안자
060(2-14) 景公飮酒 벌주를 내리시오
061(2-15) 晏子方食 안자의 거친 밥상
062(2-16) 陳成子謂?夷子皮 임금이 망해도 나몰라라
063(2-17) 從命利君爲之順 충고를 듣지 않으면
064(2-18) 簡子有臣尹綽赦厥 내 잘못을 지적하지 않는 자
065(2-19) 高?仕於晏子 부하를 축출하는 이유
066(2-20) 子貢問孔子 아랫사람으로서 도리
067(2-21) 孫卿曰少事長賤事貴 천하의 통의
068(2-22) 公叔文子問於史? 총애를 받지 못해도
069(2-23) 泰誓曰附下而罔上者死 남을 해치는 자
070(2-24) 王制曰假於鬼神時日卜筮 백성을 미혹하게 하는 자
071(2-25) 子路爲蒲令 수로를 정비하다

卷三 건본편建本篇
072(3-1) 孔子曰君子務本 본을 힘쓰면 도가 생긴다
073(3-2) 魏武侯問元年於吳子 원년의 의미
074(3-3) 孔子曰行身有六本 행동의 여섯 가지 근본
075(3-4) 天之所生 하늘이 내린 생명
076(3-5) 子路曰負重道遠者 짐은 무겁고 갈 길이 먼 사람
077(3-6) 伯禽與康叔封朝於成王 세 번씩의 질책과 태장
078(3-7) 曾子芸瓜而誤斬其根 아버지의 매를 맞고 혼절한 증자
079(3-8) 伯兪有過 팔의 힘이 없어진 어머니의 매
080(3-9) 成人有德 어른이 되어 갖추어야 할 덕
081(3-10) 周召公年十九 관례를 치를 때
082(3-11) 今夫?地殖穀 농사를 지어 삶을 이어가듯이
083(3-12) 孟子曰人知糞其田 마음에 거름을 주어라
084(3-13) 子思曰學所以益才也 숫돌이 칼을 갈듯이
085(3-14) 孔子曰可以與人終日而不倦者 종일 해도 피곤하지 않은 것
086(3-15) 孔子曰鯉 물가의 수초와 창포
087(3-16) 公扈子曰有國者不可以不學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088(3-17) 晉平公問於師曠 나이와 배움
089(3-18) 河間獻王曰湯稱學聖王之道者 배움과 명상의 차이
090(3-19) 梁丘據謂晏子 포기하지 않고 배운 것뿐
091(3-20) 寗越中牟鄙人也 고통을 면하는 길
092(3-21) 孔子謂子路曰汝何好 화살 끝에 깃을 달고
093(3-22) 子路問於孔子曰請釋古之學 시작이 어긋나면
094(3-23) ?墻?下未必崩也 담장이 무너지는 이유
095(3-24) 虞君問盆成子 미모는 늙으면 쇠하는 것
096(3-25) 齊桓公問管仲曰王者何貴 백성이 임금에게 등을 돌리면
097(3-26) 河間獻王曰管子稱 창고가 가득해야 예절을 안다
098(3-27) 文公見咎季 농사일을 하루만 쉬어도 백날을 굶는다
099(3-28) 楚恭王多寵子 토끼 한 마리가 거리에 나타나
100(3-29) 晉襄公薨 너무 어린 임금
101(3-30) 趙簡子以襄子爲後 참는 것을 가르치기 위하여

卷四 입절편立節篇
102(4-1) 士君子之有勇而果於行者 용기도 있고 행동에 과감한 자
103(4-2) 子路曰不能勤苦 가난을 편안함으로 여길 줄 알아야
104(4-3) 王子比干殺身以成其忠 왕자 비간
105(4-4) 楚伐陳陳西門燔 나라가 망했는데도
106(4-5) 孔子見齊景公 공자의 생활비
107(4-6) 曾子衣弊衣以耕 옷이나 꿰매 입으시오
108(4-7) 子思居於衛 호백구 한 벌
109(4-8) 宋襄公玆父爲桓公太子 아우가 태자가 되면
110(4-9) 晉驪姬?太子申生於獻公 진나라 여희라는 여인
111(4-10) 晉獻公之時 난세에 오래 사느니
112(4-11) 楚平王使奮揚殺太子建 도망가도 갈 곳이 없기에
113(4-12) 晉靈公暴 포악한 임금 진 영공
114(4-13) 齊人有子蘭子者 백공 승의 반란
115(4-14) 楚有士申鳴者 충과 효는 동시에 완수할 수 없다
116(4-15) 齊莊公且伐? 기량과 화주
117(4-16) 趙甲至齊 아직 전투가 시작된 것도 아닌데
118(4-17) 楚人將與吳人戰 초나라와 오나라의 전투
119(4-18) 宋康公攻阿 나쁜 일은 선례를 남길 수 없다
120(4-19) 佛?用中牟之縣畔 솥에 넣어 삶으리라
121(4-20) 齊崔?弑莊公 무도한 임금을 위해서 죽다
122(4-21) 燕昭王使樂毅伐齊 포위만 하라
123(4-22) 左儒友於杜伯 우정과 충성
124(4-23) ?穆公有臣曰朱?附 대접을 받지 못했지만
125(4-24) 楚莊王獵於雲夢 임금이 잡은 꿩을 빼앗은 신하

卷五 귀덕편貴德篇
126(5-1) 聖人之於天下百姓也 천하 백성을 갓난아이 보살피듯
127(5-2) 仁人之德敎也 물에 빠진 이를 구하듯이
128(5-3) 聖王布德施惠 오륜이 제정된 뜻
129(5-4) 周頌曰?年多黍多? 방 안에 모인 선비들처럼
130(5-5) 魏武侯浮西河而下 배 안의 사람들 모두가 적
131(5-6) 武王克殷 예전대로 살 수 있도록
132(5-7) 孔子曰里仁爲美 처자조차 보전하기 어렵다
133(5-8) 晏子飮景公酒 낡은 술잔과 그릇
134(5-9) 齊桓公北伐山戎氏 남의 국경을 넘어섰으니
135(5-10) 景公探爵? 어린 참새를 살려준 경공
136(5-11) 景公覩?兒有乞於途者 걸식하는 어린아이
137(5-12) 景公遊於壽宮 굶주린 노인
138(5-13) 桓公之平陵 봉양을 받지 못하는 늙은이
139(5-14) 孝宣皇帝初卽位 땅에 감옥이라고 금만 그려 놓아도
140(5-15) 晉平公春築臺 다스림은 곧 양육이라는 뜻
141(5-16) 趙簡子春築臺於邯鄲 농사지을 시간을 주시오
142(5-17) 中行獻子將伐鄭 땅도 없이 부자라고 자처하다니
143(5-18) 季康子謂子游 자산이 죽자 천하가 통곡하였다
144(5-19) 中行穆子圍鼓 단 한 사람도 죽이지 않고
145(5-20) 孔子之楚有漁者獻魚 억지로 떠맡긴 물고기 한 마리
146(5-21) 鄭伐宋宋人將與戰 양고기 국물을 못 얻어먹은 마부
147(5-22) 楚王問莊辛 사방의 담장을 없애야 합니다
148(5-23) 丞相西平侯于定國者 동해 효부의 억울한 죽음
149(5-24) 孟簡子相梁幷衛 나도 틀림없이 궁해지겠구나
150(5-25) 凡人之性 사람의 성품이란
151(5-26) 孫卿曰夫鬪者忘其身者也 사람들의 싸움질
152(5-27) 子路持劍 담장 밖을 나서지 않아도
153(5-28) 樂羊爲魏將 아들을 삶아 죽여
154(5-29) 智伯還自衛 세 가지 실책
155(5-30) 智襄子爲室美 붓 하나로 귀하를 모시고

저자소개

유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향(劉向, BC 77∼BC 6)은 본명이 갱생(更生), 자(字)는 자정(子政)으로 패[沛, 지금의 장쑤 성(江蘇省) 페이 현(沛縣)] 사람이다. 서한(西漢) 말엽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이자 도서목록분류학자이며 문학가다. 그는 한(漢) 고조 유방(劉邦)의 아우인 초(楚) 원왕(元王) 유교(劉交)의 4대 손이고 유흠(劉歆)의 부친으로, 선제(宣帝) 때 산기간대부(散騎諫大夫)에 발탁되었다. 원제(元帝) 때 종정(宗正)이 되었는데, 음양오행술로 정치의 득실을 따지고 환관과 외척들을 탄핵함으로써 두 번이나 하옥되었다. 성제(成帝) 때에는 이름을 향(向)으로 바꾸고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역임했으며 관직을 중루교위(中壘校尉)로 마쳤기 때문에, 후세에는 그를 ‘유광록(劉光祿)’ 또는 ‘유중루(劉中壘)’라고 칭했다. 유향은 전적들을 교감하여 《별록(別錄)》 20권을 찬(撰)했으며, 그 밖의 저작물로는 《상서홍범오행전론(尙書洪範五行傳論)》·《신서(新序)》·《설원(說苑)》·《열녀전(列女傳)》 등이 남아 있고, 이 외에도 분실된 《오경통의(五經通義)》와, 대부분이 분실된 《구탄(九歎)》 등 사부(辭賦) 33편이 있다. 현재 보이는 《유중루집(劉中壘集)》은 명대(明代) 사람이 집록한 것이며, 그가 편찬했다고 하는 문언소설인 《열선전(列仙傳)》은 한위(漢魏) 시대의 방사(方士)가 유향의 이름을 가탁한 것이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