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828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해제
1. ≪신서新序≫
2. 유향劉向
039신서1권 목차
卷一 雜事(一)
001(1-1) 昔者舜自耕稼陶漁 순임금의 교화
002(1-2) 孔子在州里 공자의 교화
003(1-3) 孫叔敖爲?兒之時 음덕양보
004(1-4) 禹之興也 여자 때문에 망한 나라
005(1-5) 樊姬楚國之夫人也 여자 때문에 흥한 나라
006(1-6) 衛靈公之時 시신으로 충간한 사추
007(1-7) 晉大夫祁奚老 원수와 아들을 추천한 기해
008(1-8) 楚共王有疾 새는 죽음에 그 울음이 슬프고
009(1-9) 昔者魏武侯謀事 자신이 훌륭하다고 여기는 임금
010(1-10) 衛國逐獻公 임금을 내쫓다니
011(1-11) 趙簡子上羊腸之坂 임금이 신하를 모멸하면
012(1-12) 昔者周舍事趙簡子 양털과 여우겨드랑이 털
013(1-13) 魏文侯與士大夫坐 임금이 어질면 그 신하가 곧다
014(1-14) 中行寅將亡 백성의 저주
015(1-15) 秦欲伐楚 나라의 진정한 보물
016(1-16) 晉平公欲伐齊 동등한 외교를 위하여
017(1-17) 晉平公浮西河 발도 날개도 없는 구슬
018(1-18) 楚威王問於宋玉曰 따라 부르기 어려운 노래
019(1-19) 晉平公閒居 다섯 가지 맹인
020(1-20) 趙文子問於叔向曰 가죽을 한없이 당기면
021(1-21) 楚莊王旣討陳靈公之賊 천한 여인
卷二 雜事(二)
022(2-1) 昔者唐虞崇擧九賢 어진 이를 임용하라
023(2-2) 齊桓公得管仲 인재를 등용하지 않아 망한 나라
024(2-3) 秦不用叔孫通 남이 버린 인재
025(2-4) 魏龐恭與太子質於邯鄲 삼인성호
026(2-5) 甘茂下蔡人也 증삼살인
027(2-6) 楚王問群臣曰 호가호위
028(2-7) 魯君使宓子賤爲單父宰 마음대로 정치를 펴도록
029(2-8) 楚人有獻魚楚王者 다 먹을 수 없는 물고기
030(2-9) 昔者鄒忌以鼓琴見齊宣王 거문고 연주는 정치와 같다
031(2-10) 昔者燕相得罪於君 선비는 길러보았자
032(2-11) 晉文公出獵 화났을 때는 형벌을 내리지 않는다
033(2-12) 梁君出獵 놓친 사냥감
034(2-13) 武王勝殷 나라를 망친 요망
035(2-14) 晉文公出田逐獸 늪에 빠진 임금
036(2-15) 晉文公逐?而失之 사슴이 어디로 갔소
037(2-16) 扁鵲見齊桓侯 편작의 정치관
038(2-17) 莊辛諫楚襄王曰 토끼를 보고 사냥개를 찾으면
039(2-18) 魏文侯出遊 뒤집어 입은 털옷
040(2-19) 楚莊王問於孫叔敖曰 국시
041(2-20) 楚莊王?政三年 일명경인
042(2-21) 靖郭君欲城薛 바다의 큰 물고기
043(2-22) 齊有婦人極醜無雙 왕후가 된 추녀
卷三 雜事(三)
044(3-1) 梁惠王謂孟子曰 색을 좋아하는 임금
045(3-2) 孫卿與臨武君 진정한 병법
046(3-3) 昔者秦魏爲與國 뛰어난 언변
047(3-4) 燕易王時 죽은 말의 뼈
048(3-5) 樂毅爲昭王謀 군자는 절교에 악담을 하지 않는다
049(3-6) 齊人鄒陽客游於梁 여자란 미추에 관계없이
第四 雜事(四)
050(4-1) 管仲言於齊桓公曰 훌륭한 보좌들
051(4-2) 有司請吏於齊桓公 임금 노릇하기 쉽군요
052(4-3) 公季成謂魏文侯曰 입방아를 찧지 말라
053(4-4) 魏文侯弟曰季成 추천한 자가 상을 받아야
054(4-5) 孟嘗君問於白圭曰 어찌 패업에 그쳤겠습니까
055(4-6) 晉平公問於叔向曰 오미를 맞추어야 하듯이
056(4-7) 昔者齊桓公與魯莊公爲柯之盟 신하의 위치를 지키겠습니다
057(4-8) 晉文公伐原 닷새만에 함락시키리라
058(4-9) 昔者趙之中牟叛 저절로 무너지는 성
059(4-10) 楚莊王伐鄭 강한 자라고 해서 피하기만 한다면
061(4-12) 晉文公將伐? 실천하기는 어려운 법
062(4-13) 梁大夫有宋就者 변방 두 마을의 참외밭
063(4-14) 梁嘗有疑獄 보기에 따라 다른 죄의 유무
064(4-15) 楚惠王食寒?而得蛭 거머리를 삼킨 임금
065(4-16) 鄭人游於鄕校 향교는 언론이 조성되는 곳
066(4-17) 桓公與管仲 무망재거
067(4-18) 桓公田 맥구의 노인
068(4-19) 哀公問孔子曰 호랑이 꼬리를 밟은 듯이
069(4-20) 昔者齊桓公出遊於野 곽씨의 폐허
070(4-21) 晉文公田於? 괵나라가 망한 이유
071(4-22) 晉平公過九原而歎曰 무덤에 묻힌 인재
072(4-23) 葉公諸梁問樂王?曰 근원은 미미하지만
073(4-24) 鍾子期夜聞擊磬聲者 지극한 정성
074(4-25) 勇士一呼 바위를 뚫고 들어간 화살
075(4-26) 齊有彗星 제사를 지낸들
076(4-27) 宋景公時 백성이 없다면
077(4-28) 宋康王時 참새가 송골매를 낳다
卷五 雜事(五)
078(5-1) 魯哀公問子夏曰 임금도 배워야 합니다
079(5-2) 呂子曰 성인들의 스승
080(5-3) 湯見祝網者 새 잡는 그물
081(5-4) 周文王作靈臺 죽은 사람의 뼈
082(5-5) 管仲傅齊公子糾 제환공과 관중
083(5-6) 里鳧須 보물을 훔쳐간 신하
084(5-7) 寗戚欲干齊桓公 제환공을 찾아온 영척
085(5-8) 齊桓公見小臣稷 포의를 세 번이나 찾아가다
086(5-9) 魏文侯過段干木之閭 단간목이 사는 동네
087(5-10) 秦昭王問孫卿曰 선비의 역할
088(5-11) 田贊衣儒衣而見荊王 갑옷이야 말로 천한 옷
089(5-12) 哀公問於孔子曰 잘못된 금기
090(5-13) 顔淵侍魯定公于臺 동야필의 말 모는 솜씨
091(5-14) 孔子北之山戎氏 가혹한 정치는 범보다 무섭다
092(5-15) 魏文侯問李克曰 오나라가 망한 까닭
093(5-16) 趙襄子問於王子維曰 인색함의 결과
094(5-17) 孔子侍坐於季孫 빌리는 것과 취하는 것
095(5-18) 君子曰 혼자서 보는 것은
096(5-19) 晉平公問於叔向曰 의견의 통로
097(5-20) 楚人有善相人 관상보는 법
098(5-21) 齊閔王亡居衛 영원히 깨닫지 못하는 임금
099(5-22) 先是靖郭君殘賊其百姓 이럴 줄 알았습니다
100(5-23) 宋昭公出亡 망한 이유를 안다
101(5-24) 秦二世胡亥之爲公子也 신발을 흩어놓은 이세
102(5-25) 齊侯問於晏子曰 충신과 양신
103(5-26) 宋玉因其友以見於楚襄王 동곽준이라는 사냥개
104(5-27) 宋玉事楚襄王 가시나무에 갇힌 원숭이
105(5-28) 田饒事魯哀公 닭의 다섯 가지 미덕
106(5-29) 子張見魯哀公 진짜 용이 나타나자
107(5-30) 昔者楚丘先生行年七十 언행은 나이와 함께 간다
108(5-31) 齊有閭丘?年十八 항탁은 일곱 살에 스승이 되었습니다
109(5-32) 荊人卞和得玉璞 화씨지벽
040신서2권 목차
卷六 刺奢
110(6-1) 桀作瑤臺 주지육림
111(6-2) 紂爲鹿臺 포락지형
112(6-3) 魏王將起中天臺 누각을 지을 땅의 넓이
113(6-4) 衛靈公以天寒鑿池 남의 훌륭함
114(6-5) 齊宣王爲大室 올바른 충고
115(6-6) 趙襄子飮酒五日五夜 망하지 않습니다
116(6-7) 齊景公飮酒而樂 취하는 즐거움
117(6-8) 魏文侯見箕季其墻壞而不築 임금에게 거친 식사를
118(6-9) 士尹池爲荊使於宋 백성의 생업은 보호해야
119(6-10) 魯孟獻子聘於晉 부유함의 기준
120(6-11) 鄒穆公有令食鳧? 자루는 새는데 자꾸 퍼담네
卷七 節士
121(7-1) 堯治天下 상형만 베풀어도
122(7-2) 桀爲酒池 걸왕의 주지육림
123(7-3) 紂作?烙之刑 포락지형을 만든 주왕
124(7-4) 曹公子喜時 절의는 지켜야 합니다
125(7-5) 延陵季子者 오나라 연릉계자
126(7-6) 延陵季子將西聘晉 무덤에 보검을 걸어놓고
127(7-7) 許悼公疾? 아버지의 약
128(7-8) 衛宣公之子 불쌍한 형제
129(7-9) 魯宣公者 형의 녹을 먹을 수 없습니다
130(7-10) 晉獻公太子之至靈臺 수레바퀴를 휘감은 뱀
131(7-11) 申包胥者 피눈물로 얻어낸 구원병
132(7-12) 齊崔?者 올곧은 사관
133(7-13) 齊攻魯 가짜 보물
134(7-14) 宋人有得玉者 불탐이 곧 보물
135(7-15) 昔者有?魚於鄭相者 물고기 뇌물
136(7-16) 原憲居魯 원헌의 기개
137(7-17) 晏子之晉 안자와 월석보
138(7-18) 子列子窮 가난에 찌든 열자
139(7-19) 屈原者 멱라수에 몸을 던진 굴원
140(7-20) 楚昭王有士曰石奢 훌륭한 법관
141(7-21) 晉文公反國李離爲大理 대법관 이리
142(7-22) 晉文公反國酌士大夫酒 불에 타 죽은 개자추
143(7-23) 申徒狄非其世 죽음을 택한 신도적
144(7-24) 齊大饑 이리 와서 먹어라
145(7-25) 東方有士曰袁族目 도적이 주는 밥
146(7-26) 鮑焦衣弊膚見 세상이 그르다 하여
147(7-27) 公孫杵臼 사나이들의 의리
148(7-28) 吳有士曰張胥鄙 절교했던 친구
149(7-29) 蘇武者 흉노에게 불복한 소무
卷八 義勇
150(8-1) 陳恒弑簡公而盟 배신할 수 없는 군신의 예
151(8-2) 陳恒弑君 아무리 협박해도
152(8-3) 宋閔公臣長萬以勇力聞 임금의 뺨을 후려갈겨
153(8-4) 崔?弑莊公 칼이 목에 들어와도
154(8-5) 佛?以中牟叛 동조하면 벼슬을 주리라
155(8-6) 楚太子建 비굴해지지 않겠다
156(8-7) 白公勝將弑楚惠王 나를 지지하지 않으면
157(8-8) 白公勝旣殺令尹司馬 나라를 가질 욕심으로
158(8-9) 白公之難 백공의 난
159(8-10) 齊崔?弑莊公也 인자로서의 용기
160(8-11) 知伯?之時 절교한 옛 군주
161(8-12) 衛懿公有臣曰弘演 홍연의 충성
162(8-13) ?尹文者 깃폭을 잘라버린 천윤문
163(8-14) 卞莊子好勇 어머니 때문에 못다한 용맹
卷九 善謀(上)
164(9-1) 齊桓公時 관중의 혜안
165(9-2) 晉文公時 진문공의 모신
166(9-3) 虞?皆小國也 순망치한
167(9-4) 晉文公秦穆公共圍鄭 늦게나마 알아차린 모책
168(9-5) 楚靈王卽位 무기 하나 쓰지 않고
169(9-6) 楚平王殺伍子胥之父 오자서
170(9-7) 秦孝公欲用衛?之言 거열형에 처해진 상앙
171(9-8) 秦惠王時 명예를 다투는 자는 조정으로
172(9-9) 楚使黃歇於秦 춘신군 황헐
173(9-10) 秦趙戰於長平 아들이 죽었는데 울지 않는 어머니
174(9-11) 魏請爲從 칼자루를 쥔 쪽
卷十 善謀(下)
175(10-1) 沛公與項籍 죽는 일은 급하지 않다
176(10-2) 漢王旣用?公蕭何之言 내가 그만 못하오
177(10-3) 趙地亂 왕을 꿈꾸는 자
178(10-4) ?食其號?生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
179(10-5) ?生說漢王曰 천하 민심이 어디로 기울고 있는가
180(10-6) 漢三年 더벅머리 그 녀석 때문에
181(10-7) 漢五年 천하를 나누어주리라
182(10-8) 漢六年 가장 미운 놈 옹치
183(10-9) 高皇帝五年 도읍을 세울 곳
184(10-10) 留侯張子房 상산사호
185(10-11) 漢十一年 경포의 난
186(10-12) 齊悼惠王者 탕목읍을 바치시오
187(10-13) 孝武皇帝時大行王恢數言 흉노 토벌에 대한 논쟁
188(10-14) 孝武皇帝時中大夫主父偃 제후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방법
○ 부록
Ⅰ. ≪신서≫ 일문佚文
Ⅱ. ≪신서≫ 서발序跋 등 참고자료參考資料
1. <新序目錄序>-曾鞏
2. <新序序>-何良俊
3. <新序跋>-王謨
4. <四庫全書總目提要>
5. <四庫全書簡明目錄>
6. <四庫提要辯證摘要>-余嘉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