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춘추좌전 2

춘추좌전 2

좌구명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춘추좌전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춘추좌전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8164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13-04-10

책 소개

<춘추좌전>은 노나라 좌구명이 <춘추>를 해설한 책으로, 오늘 전해지는 책은 전한 끝무렵 유흠 일파가 편찬한 것이다. <춘추좌전>은 <춘추> 연구에 아주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목차

5. 僖公(총 33년)

064. 僖公 元年
065. 僖公 2年
066. 僖公 3年
067. 僖公 4年
068. 僖公 5年
069. 僖公 6年
070. 僖公 7年
071. 僖公 8年
072. 僖公 9年
073. 僖公 10年
074. 僖公 11年
075. 僖公 12年
076. 僖公 13年
077. 僖公 14年
078. 僖公 15年
079. 僖公 16年
080. 僖公 17年
081. 僖公 18年
082. 僖公 19年
083. 僖公 20年
084. 僖公 21年
085. 僖公 22年
086. 僖公 23年
087. 僖公 24年
088. 僖公 25年
089. 僖公 26年
090. 僖公 27年
091. 僖公 28年
092. 僖公 29年
093. 僖公 30年
094. 僖公 31年
095. 僖公 32年
096. 僖公 33年

6. 文公(총 18년)

097. 文公 元年
098. 文公 2年
099. 文公 3年
100. 文公 4年
101. 文公 5年
102. 文公 6年
103. 文公 7年
104. 文公 8年
105. 文公 9年
106. 文公 10年
107. 文公 11年
108. 文公 12年
109. 文公 13年
110. 文公 14年
111. 文公 15年
112. 文公 16年
113. 文公 17年
114. 文公 18年

저자소개

좌구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춘추좌전』과 『국어(國語)』를 집필했다고 알려진 춘추시대 노나라의 유학자이자 사학자. 노나라에서 태사(太史)를 지낸 적이 있으며, 공자와 동시대 사람으로 전해지나, 자세한 일생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사기·12제후 연표서>에서는 “노나라의 군자 좌구명은 제자들이 각각 오류를 범하며, 제각기 주관에 집착하여 그 진의를 잃는 것을 염려하였다. 그래서 그는 공자의 기록에 연유하여 그 구절을 상세하게 논술하여 <좌씨춘추>를 지었다”고 하였다. 공자와는 의기(意氣)와 지취(志趣)의 좋음과 싫음을 같이 하여 『논어·공야장(公冶長)』에서 공자는 "말을 잘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며 공손함이 지나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고 하였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만년에 시력을 잃은 뒤에 춘추시대 주나라와 노(魯)·제(齊)·진(晉)·정(鄭)·초(楚)·오(吳)·월(越)나라의 역사를 다룬 『국어』를 지었다고 한다. 『춘추좌전』의 지은이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고 명확하지 않다. 또한 좌구명의 좌가 성이고 구명이 이름인지, 좌구가 복성(複姓)이고 이름이 명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한 사람의 온전한 작품으로 보기 어렵고,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사관들이 채취한 사료를 누군가가 체제를 통일하고 선택, 가공, 정리한 작품이라는 견해도 있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책속에서

풀이 역주 8년 격랑의 세월
무려 19만 6,800여 자나 되는 이 방대한 저술을 풀이 역주하는데 8년에 이르는 세월, 내가 생각해도 참 애 많이 썼다. 세상에 완벽함이 어디 있으랴. 완벽을 추구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그 가치는 어느 정도 인정받을 수 있으리라는 소박한 자기 합리화에 만족한다.

춘추좌전 온갖 자료를 모아 선뜻 손을 대었다가 너무 힘들고 지쳐 ‘내가 왜 이 짓을 하나?’ 하고 후회해본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나에게는 단순반복 작업을 울면서라도 그냥 해내는 묘한 힘이 있다. 이는 어릴 때 깊은 산속 화전민으로 살 때 배운 철리(哲理)였다. 나뭇짐에 실어온 큰 등걸나무에 톱질을 하면서 백 번을 썰면 끊어지겠지 하던 그 의지였다. “당연한 고통은 참고 넘겨라. 그것이 이치에도 맞다”라는 자기 최면이기도 했다. 이 좌전 작업도 그런 생각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다시 컴퓨터 앞에 앉아 있기 일쑤였으며 풀리지 않던 부분이 다른 자료와 교차 검증하다가 해결되자 나도 모르게 성취감에 들떠 점심 식사도 잊은 적이 부지기수다. 공자가 말한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 無益, 不如學也”가 바로 이러한 경지리라 감히 깨닫는 자체가 송구스럽다.

올해 새해 벽두 베이징에 갔다가 유리창 책방에 들러 다시 자료를 눈에 띄는 대로 욕심내다가 그만 너무 많아졌다. 이를 굳이 들고 오다가 우편으로 부칠 것을 그랬나 끙끙대며 수속을 마치고 인천 공항을 나서면서는 그래도 얼른 볼 수 있으니 고생값이 있으렸다 안위의 기쁨에 매서운 한겨울 추위도 반가웠다. 아니 조선시대 같았으면 이러한 책을 어찌 이토록 쉽게 얻어 볼 수 있었겠는가. 마냥 비교우위 행복감에 젖어 공항 리무진 버스 창문 밖을 내다보니 밤빛 찬란한 서울의 한강변이 참으로 아름다운 곳이라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이렇게 다시 작업은 이어졌지만 지루한 재점검은 다시 해를 넘겨 또 한해가 흘렀다. 들여다보면 볼수록 미진하거나 아차 잘못된 탈자, 오자, 오류가 나를 주눅들게 하였다. 마치 비밀 번호를 숨겨놓은 것과 같은 문장, 수수께끼를 풀도록 숙제를 안겨주는 것과 같은 내용, 역사적 배경과 인물의 특징, 242년의 얽히고 설킨 수많은 제후국들의 나라 일들, 족보가 뒤얽힌 경대부들의 가계, 忠과 賊이 무시로 바뀌는 끝없는 반전의 인간군상, 봄풀 나서 봄 한 철 살고, 사람 나서 한 일생 산다는 만물의 원리를 번연히 알고 있으면서도 영원히 살 것처럼 욕심과 배신의 굴레 속에서 날뛰는 사람들의 이야기. 정말 너무 복잡하여 어떻게 손을 대고 어떻게 진행해 나아가야 할지 막막 8년 세월의 거센 강물에 시달릴 때가 얼마나 많았던가.

이러구러 유가(儒家)의 대경전이라는 엄숙한 명제 앞에 내 마음가는 대로 풀이해 나갈 수도 없었다. ‘미언대의(微言大義)’라는 대원칙을 숨겨놓았고, 포폄(褒貶)과 시비(是非)를 바로잡고자 성인이 찬집했다니 범속한 사람이 다루어도 될까 적이 두려움이 엄습하기도 하였다. 아니 두예(杜預)는 천재성을 발휘하였고 스스로 ‘좌전벽(左傳癖)’이 있다고 자처하였으니 그 내용을 훤히 깨닫고는 얼마나 좋아하였을까. 그 때문에 그의 ‘집해(集解)’는 가위 믿을 만하고 경탄스럽다. 마찬가지로 ‘정의(正義)’를 붙인 공영달(孔穎達)이나 그 수는 많은 학자들도 그 때에 공구서도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니 머릿속 전체에 모든 것이 들어 있지 않고서야 어찌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그렇게 착종(錯綜)해 낼 수 있었으리오?

그러나 나도 ‘이미 벌여놓은 춤’(已張之舞)이라 그 춤을 마치고 무대에서 내려올 수밖에 없으니 이제 8년 각고의 세월을 마무리를 짓는다. 누소(漏疏)함 있으리라 걱정하면서 강호제현(江湖諸賢)께서 해량하시어 끝없는 혹독한 질책을 내려주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