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49948256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9-07-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남명학 혹문(或問)
1. 혹문(或問)이란
2. 남명 조식은 어떤 사람인가
3. 왜 남명학인가
4. 남명의 현실인식과 정신지향
5. 남명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6. 남명학과 퇴계학
7. 남명학의 현대적 의미
제2장 남명의 생애
1. 남명의 생애를 이해하는 몇 국면
2. 출생 및 유아기
3. 한양에서의 수학
4. 산해정 시대
5. 뇌룡정 시대
6. 산천재 시대
7. 후학들의 남명에 대한 기억
제3장 부(賦)를 통해 본 근본중시 사상
1. 머리말
2. 남명사상의 근원인 「원천부(原泉賦)」
3. 정치적 근본을 논한 「민암부(民巖賦)」
4. 예의법도를 강조한 「군법행주부(軍法行酒賦)」
5. 맺음말
제4장 기(記)를 통해 본 도(道)를 자임하는 의식
1. 머리말
2. 「행단기(杏壇記)」의 내용과 주제
3. 「누항기(陋巷記)」의 내용과 주제
4. 맺음말
제5장 「엄광론」을 통해 본 출처관
1. 머리말
2. 「엄광론(嚴光論)」의 내용
3. 엄광과 남명의 정체성
4. 남명의 출처관
제6장 상소문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사상
1. 머리말
2. 「을묘사지소」에 나타난 현실인식
3. 「정묘사직정승정원장」에 나타난 현실인식
4. 「무진봉사」에 나타난 개혁사상
5. 「사선사식물소(謝宣賜食物疏)」에 나타난 정치사상
제7장 남명의 성학과정과 학문정신
1. 성학과정(成學過程)
1) 초학과정(初學過程)
2) 학문의 대전환
3) 성리학에로의 침잠
4) 내적 함양을 통한 외적 발현
2. 학문정신(學問精神)
1) 당대 학풍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색
2) 하학상달(下學上達)의 진학(進學)
3) 반구자득(反求自得)과 반궁실천(反躬實踐)
4) 거경행의(居敬行義)의 학(學)
3. 맺음말
제8장 남명학의 연원(淵源)과 본질
1. 시작하는 말
2. 남명의 시대정신과 지향
3. 남명학의 연원(淵源)과 성격
4. 남명학의 본질과 특색
5. 결어
제9장 「신명사도」와 「신명사명」 해석
1. 머리말
2. 「신명사도」의 그림 및 용어 풀이
3. 「신명사도」의 구성 원리
1) 곽내(郭內)
2) 곽외(郭外)
3) 하면(下面)
4. 「신명사도」・「신명사명」의 내용
1) 존양(存養)・성찰(省察)
2) 심기(審幾)・극치(克治)
3) 지어지선(止於至善)
5. 맺음말
제10장 남명시의 도학적 성향
1. 남명은 성리학자인가
2. 남명은 도학자인가
3. 남명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4. 남명시에 나타난 도학적 성향
1) 천덕(天德)의 성취를 위한 구도적 수행
2) 왕도(王道)의 이상과 현실의 간극
4. 맺음말
제11장 남명의 산수유람관
1. 머리말
2. 산수유람에 대한 기본관점
3. 「유두류록」에 나타난 정신세계
1) 자아에 대한 성찰과 심성수양
2) 역사에 대한 회고와 현실인식
4. 맺음말
제12장 남명의 왜구침입에 대한 우려와 대책
1. 머리말
2. 16세기 왜변(倭變)과 조정의 대처
1) 삼포왜변과 조정의 대처
2) 을묘왜변과 조정의 대처
3. 남명의 현실인식과 어왜대책(禦倭對策)
1) 현실주의적 학문정신
2) 현실인식과 어왜대책
4. 맺음말
제13장 남명학과 퇴계학
1. 남명과 퇴계에 대한 후세의 논평
1) 조선시대 학자들의 평
2) 현대 학자들의 평
3) 진정한 도학, 진정한 도학자
2. 남명과 퇴계의 학문적 지향과 개성
1) 독서의 측면
2) 학문 성향의 측면
3) 학문 규모의 측면
4) 학문 방법의 측면
3. 남명과 퇴계의 은거공간에 투영된 정신세계
1) 퇴계의 은거 공간에 담긴 의미
2) 남명의 은거 공간에 담긴 의미
4. 영남이 추로지향(鄒魯之鄕)으로 거듭 나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