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생교과서 아리스토텔레스

인생교과서 아리스토텔레스

(최선의 삶이 곧 행복이다)

유원기, 이창우 (지은이)
21세기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인생교과서 아리스토텔레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생교과서 아리스토텔레스 (최선의 삶이 곧 행복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0965280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6-05-27

책 소개

삶에 대한 궁극의 질문과 답 인생교과서 시리즈 9권.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묻고 싶은 32개의 질문을 통해 그의 삶과 철학을 살펴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신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발간사

1부 삶과 죽음

1. 참된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중용의 삶, 그 탁월성을 발휘하라_유원기
각자의 삶의 목적은 각자의 최고선일 뿐_이창우

2.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은 순간이 아닌 ‘일생을 통한 행위’에서 오는 것_유원기
‘덕’이야말로 삶 전체를 ‘좋은’ 것으로 만들어주는 것_이창우

3. 불행의 의미는 무엇인가?
악덕한 인격으로 악덕한 행위를 하는 것이 곧 불행_이창우

4. 쾌락이란 무엇인가?
쾌락은 살아 있음을 알려주는 동물적 욕구_이창우

5. 죽음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죽음보다 삶이, 이성적인 삶이 더욱 좋다_유원기
죽음은 인간적 삶 안에서 유일무이하게 특별한 것_이창우

6. 결혼적령기는 언제인가?
건강한 아이를 잉태하는 것이 행복의 최소요건_유원기

7. 실천적 지혜는 무엇인가?
행복한 삶으로 이끄는 올바른 행동의 기술_이창우

8. 영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신체 이전에 영혼 없고 신체 옆에 영혼 없다_이창우

2부 나와 우리

9. 인간의 본성, 나는 무엇인가?
인간이 인간으로서 실현해야 하는 모든 능력_유원기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이 곧 가장 나다운 ‘나’_이창우

10.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는 무엇인가?
개개인의 ‘최선’이 모두의 ‘행복’을 가져온다_유원기
공동체 안에서만 개인은 자연적 본성을 완성한다_이창우

11. 친구는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그저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힘이 되는 ‘친구’_유원기
훌륭한 사람일수록 친구와의 우정이 필요하다_이창우

12.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왜 가르쳐야 하는가?
인간다운 삶, 살아 있는 삶을 가르치는 교육_유원기

13. 고대 그리스에서 여성은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손상’된 남성에서 엄연한 인간이 되기까지_유원기

14. 이상국가의 조건은 무엇인가?
국민 개개인이 탁월해야만 국가가 탁월해진다_유원기

15. 국민은 어떤 자격을 필요로 하는가?
국가의 행복에 기여하는 훌륭한 사람이 되라_유원기

16. 정치적 무질서의 원인과 방지책은 무엇인가?
개인의 욕구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_유원기

3부 생각과 행동

17. 일과 활동에 목적이 있는가?
모든 사물은 존재의 이유를 갖는다_유원기
좋은 삶은 소유하는 삶이 아닌 ‘활동하는 삶’_이창우

18. 분노는 항상 억제되어야 하는가?
적절한 대상에게 적절한 때 적절한 정도로 분노하라_유원기

19. 용서할 수 있는 잘못, 용서할 수 없는 잘못은 무엇인가?
행위에 수반되는 그 사람의 즐거움과 고통을 보라_이창우

20. 우리는 의도적으로 나쁜 행동을 하는가?
이성이 아닌 욕구의 승리로 나타나는 ‘아크라시아’_유원기

21. 정의로운 행동이란 무엇인가?
행복해지기 위해 우리가 수행해야 할 올바름_유원기

22. 의사전달과 설득의 기술은 무엇인가?
훌륭한 화자는 청중의 감정을 다스린다_이창우

23. 지식이란 무엇인가?
완전히 새로운 삶을 채우는 완전히 새로운 지식_유원기

24. 학문은 어떻게 탐구해야 하는가?
학문의 경건함은 무엇보다 진리를 추종한다_유원기

4부 철학과 사상

25. 신은 무엇인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요구하는 신_유원기
세상의 모든 것들은 신을 욕구한다_이창우

26. 변화란 무엇인가?
변화란 알 수 없는 기체로부터의 생성과 소멸_유원기

27. 왜 철학을 하는가?
철학에 전념하는 삶이 가장 행복하다_이창우

28. 물질만으로 세계가 성립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으로 되어 있느냐’보다 ‘무엇인가’가 중요하다_이창우

29. 원인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변화는 가능성의 현실화다_이창우

30. 목적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유기체의 좋음은 그 유기체가 행하는 것_이창우

31. 존재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형이상학은 존재를 존재로서 다룬다_이창우

32. 지식, 체계인가 아니면 물음인가?
과학이 추구하는 지식과 철학이 추구하는 지식_이창우

주석

저자소개

유원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청남도 천안에서 출생했다. 서강대학교(BA,1990)를 졸업하고, 영국의 글래스고대학교(MPhil, 1994)와 브리스톨대학교(PhD,1999)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전공했으며,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한국 철학의 비교 연구를 위해 성균관대학교(PhD,2011)에서 성리학 (퇴계와 율곡)을 전공했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구성과 본성을 밝히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행복의 조건을 묻다》(2009), 《조선 성리학 논쟁의 분석적 탐구-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2018),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철학》(2023)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관하여》(2001), 플라톤의 《필레보스(또는 즐거움에 관하여)》(2013)와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향연》(2018) 등의 그리스어 원전 번역서를 비롯하여 우드필드의 《목적론》(2005), 암스트롱의 《어느 물질론자의 마음 이야기》(2015), 로위의 《플라톤의 철학》(2019), 콜링우드의 《자연이라는 개념》(2024) 등이 있으며, 동서양 철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펼치기
이창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을 거쳐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6~7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 교환교수를 지냈으며, 1999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Oikeiosis: Stoische Ethik in naturphilosophischer Perspektive(2002, KarlAlber: Munich),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1: 인문·자연 편』(공저, 2006), 『동서양 철학콘서트: 서양철학 편』(공저, 2011), 『인생교과서 아리스토텔레스』(공저, 2016)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니코마코스 윤리학』(공역, 2012 개정판), 『플라톤 법률 1, 2』(공역, 2018)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대 그리스인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볼 때, 한 사람이 삶을 살아가는 이유와 동기가 무엇보다도 그 사람 자신을 향해 정향되어 있지 않다면 그 사람의 삶은 이해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한 사람의 삶의 최고선이 그 사람 자신과 관계가 없다면, 더 정확히 말해서 그 사람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면 그 최고선은 허망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우리는 순간순간 행복하다고 생각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마리의 제비가 날아왔다고 해서 봄이 오는 것 은 아니다”라는 말을 통해 행복이 한평생 지속되는 것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처럼 한평생 지속되는 행복은 한평생 지속되는 노력을 통해서만 구할 수 있으며, 노력 없는 무기력한 삶으로는 아무것도 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도 죽음보다 삶이 더 좋다고 생각하며, 더 나아가 이성적인 삶이 그렇지 않은 삶보다 더 좋다고 생각한다. 즉 영혼을 갖지 않는 무생물보다 영혼을 갖는 생물이 더 좋고, 식물이나 비이성적인 다른 어떤 동물의 삶보다도 이성적인 인간의 삶이 더 좋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는 삶이 가장 좋고 바람직한 삶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믿음에 기초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0965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