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울 이해의 관점들과 로마서 설교

바울 이해의 관점들과 로마서 설교

김디모데, 김명윤, 김상윤, 김선종, 김필균, 김혜자, 박형국, 안유경, 안윤기, 윤철호, 전경보, 전근호, 정재상, 천세종, 하경택 (지은이), 윤철호 (엮은이)
대한기독교서회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울 이해의 관점들과 로마서 설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울 이해의 관점들과 로마서 설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112159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미래신학연구소(대표 윤철호 교수)에서 주관하는 목회자를 위한 성서연구 모임인 BTS(Bible Theology Sermon: 성서-신학-설교)에서 1년 4개월 동안 진행한 로마서 공부를 마무리하며 맺은 결실을 엮은 것으로, BTS는 목회현장에서 매주 설교해야 하는 목회자들, 특히 젊은 세대 목회자들의 설교 준비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모임이다.

목차

머리말

1부

제1장 바울에 관한 오늘날의 새 관점들 _윤철호
1. 서론
2. 바울에 관한 루터교의 전통적 관점: 스티븐 웨스터홀름
3. E. P. 샌더스
4. 제임스 D. G. 던
5. N. T. 라이트
6. 존 바클레이
7. 묵시적 종말론의 관점
8. 평가 및 결론

제2장 로마서를 읽는 세 가지 관점 _천세종
1. 간략한 로마서 서론
2. 로마서를 읽는 세 가지 관점

2부

제1장 의인과 믿음 _하경택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16-17)

제2장 자연신학의 가능성 _김선종
본문 해설: 옛 관점과 새 관점
설교 본문: 하나님을 알 만한 것(롬 1:18-23)

제3장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 이유 _정재상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1-7, 16-17, 28-32)

제4장 은밀한 것을 심판하는 그날 _김디모데
본문 해설: 새 관점
설교 본문(롬 2:12-16)

제5장 최후 심판의 정죄냐, 이신칭의의 축복이냐 _전근호
본문 해설: 전통적 관점, 새 관점, 종말론적 관점에 따른 통전적 이해
설교 본문(롬 3:9-31)

제6장 복음의 세 초점 _윤철호
본문 해설: 새 관점 설교 본문(롬 4:17-25)

제7장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았으니 _박형국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5:1-21)

제8장 누구의 종으로 사시렵니까 _안윤기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6:20-22)

제9장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_안유경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7:1-13)

제10장 생명의 성령 _김상윤
본문 해설: 노모스에 대한 세 관점의 해석을 중심으로
설교 본문(롬 8:1-11)

제11장 고난 중의 탄식과 소망 _김상윤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8:18-27)

제12장 동족 유대인의 구원 _김선종
본문 해설: 옛 관점과 새 관점
설교 본문: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롬 9:19-29)

제13장 우리가 전파하는 믿음의 말씀_ 김혜자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0:1-17)

제14장 하나님의 윈윈 게임 _김명윤
본문 해설: 더글라스 무의 관점을 기본으로
설교 본문(롬 11:11-36)

제15장 은혜와 응답 _윤철호
본문 해설: 옛 관점과 새 관점
설교 본문(롬 12:1-2)

제16장 예수로 물들다 _김필균
본문 해설: 새 관점
설교 본문(롬 13:11-14)

제17장 우리가 소망해야 할 하나님의 나라 _하경택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4:17-18)

제18장 복음의 삼자 관계 _정재상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5:5-7, 14-16, 22-29)

제19장 문안하라 _전경보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6:1-27)

저자소개

윤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노스웨스턴대학교(Ph.D.)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30년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봉직했으며,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미래신학연구소 대표이다. A Compendium of Christian Theology 등 15권의 저서와 7권의 번역서, 그리고 7권의 책임편집 및 공저를 저술했으며,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전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한 후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보스턴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Th.D.), 현재 예본교회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강사로서 “복음주의 신학 연구”를 강의해왔으며, 저서로 『내게 오직 하나 사랑이 있다면』(홍성사)이 있다.
펼치기
하경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Th.M.)에서 수학한 후 독일 보훔대학교에서 구약학 전공으로 신학박사학위을 받았다.(Dr. theol.) 그 후 서울장신대학교 교수로 지내다가(2004 10)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욥기』가 있고, 번역서로 『구약성서 연구방법론』, 『구약정경개론』이 있으며, 국내 전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박형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과 대학원(M.Div., Th.M.), 에모리대학교(Th.M.), 그리고 드루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종교학과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고(M.Phil., Ph.D.), 현재 한일장신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바르트와 해체 시대』(키아츠)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김명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M.Div.),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종교학을 공부했다.(Ph.D.) 현재 현대교회 담임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저서로 『잊혀진 우리 이야기, 아시아 기독교 역사』(공저, 대장간), 번역서로 『광장에 선 기독교』(IVP), 『사람의 권력 하나님의 권력』(IVP)이 있다.
펼치기
천세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유니온신학교(교환학생), 듀크대학교(Th.M.), 그리고 밴더빌트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M.A., Ph.D.), 장로회신학대학교 조교수와 삼덕교회 담임목사를 거쳐 현재 새창조교회의 담임목사, 연세대학교 객원교수로 섬기고 있다. Paul’s New Creation: Vision for a New World and Community(Lexington Books)를 비롯해서 4권의 저서와 5권의 공저가 있고, 11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했다.
펼치기
김필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목회자로 훈련받았으며(Th.B., Th.M., 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데이비드 그리핀의 신정론 비교를 통한 관계적 신정론의 모색”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Ph.D.) 원주제일교회, 덕산교회를 섬겼고, 현재 주안교회 교육국 총괄목사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김선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Dr. en theol.)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로 봉직했으며, 현재 정읍중앙교회 담임목사이다. Se reposer pour la terre, se reposer pour Dieu(BZAW) 등 4권의 저서와 1권의 번역서가 있으며, Foi et Vie, NT, RB, VT, ZAW 등의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상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B.A.),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듀크대학교(Th.M.),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에서 종교개혁사(성서주석사)를 공부하였고(Ph.D.), 현재 뉴라이프교회 담임목사로 있다.
펼치기
안윤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양학/철학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B.A., M.A.)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MA(M.div.), 독일 튀빙엔대학교에서 칸트의 이론철학에 관한 논문을 쓰고 철학박사(서양근대철학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Ph. D). 박사논문: Ph DTranszendentale und empirische Subjektivitat im Verhaltnis - Das reziproke Seinsverhaltnis der beiden Subjektivitaten in Kants Transzendentalphilosophie (Wurzburg: Konigshausen & Neumann, 2012). 서양근대사상사에서 펼쳐진 이성과 반(反)이성의 대결, 특히 1800년 어간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철학적 주제가 종교와 문학, 예술, 더 나아가 국가와 교육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확산되는 모습을 예의주시하며 추적하기를 좋아한다. 또한 로이힐린, 바움가르텐, 멘델스존, 하만, 야코비 등 국내에 덜 알려진 인물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데 힘쓰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근대미학과 경건주의」, 「자기의식 문제와 지성적 직관」, 「초월철학과 무신론 문제」, 「칸트의 Cogito, ergo sum」, 「칸트에게서 악의 문제와 기독교의 원죄론」, 「자연주의 문제: 플랜팅가의 비판과 이에 대한 데닛의 반박」, 「칸트 철학은 반(反)종교적인가?」, 「18세기 범신론 논쟁」, 「하만의 ‘이성 순수주의에 대한 메타비판’(1784)」, 「철학사 읽기」 등이 있다.
펼치기
전경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사학과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대원 과정과 일반대학원 조직신학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학위논문은 “과학 시대의 새로운 자연 이해를 통한 기독교 자연신학 모색”이고, 번역서 『자연의 역사성』(종문화사)이 있다. 현재 문화교회를 섬기고 있다.
펼치기
김디모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기독교학과에서 신학을 시작하였고(B.A.),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목회자로 훈련받았으며(M.Div.), Luther Seminary에서 칼 바르트와 하나님의 선교를 공부하였다.(M.Th.)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윤철호 교수의 지도로 “관계적 삼위일체론에 기초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Ph.D.) 길가에교회, 부천동광교회, 잠실교회를 섬겼고, 현재 과테말라한인교회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김혜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일반대학원에서 윤철호 교수의 지도로 “한반도의 평화통일에 관한 연구: 기독교 현실주의를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Th.M., Ph.D.) 시흥교회, 드림교회, 영주교회를 섬겼고, 현재 여전도회전국연합회 교육국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안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였고(B.A.),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장로회신학대학교(Th.M.), 뮌헨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였다.(Dr. theol.) 현재 정릉교회에서 부목사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정재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높은뜻정의교회 담임목사이자 장로회신학대학 영성학 겸임교수이며, 총회 기도학교 교무 위원으로도 섬기고 있다. 영성학을 전공한 목회자답게 꾸준히 기도학교를 열어 성도들이 기도하는 삶을 살도록 돕고 있다. 신학의 길을 걷기 위해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한 후,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를 마쳤다. 설교 사역의 깊이를 더하고자 조직신학 석사를 먼저 이수했고, 오랫 동안 갈망해 온 영성학 석사과정까지 마쳤다. 교리를 영성으로, 영성을 교리적으로 풀어내는 통합적 시각은 그의 목회적 강점이다. 종교 개혁 이전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영적 자원을 캐내어 오늘날의 교회 목회를 풍요롭게 하는데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서강대학교에서 중세 신비신학 박사 과정을 마치며 더욱 구체화되었다. 공저로는 『영혼의 친구』(KIAT), 『바울 이해의 관점들과 로마서 설교』(대한기독교서회), 『2025 예배와 강단』(대한기독교서회)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상의 다른 책 >
윤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노스웨스턴대학교(Ph.D.)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30년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봉직했으며,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미래신학연구소 대표이다. A Compendium of Christian Theology 등 15권의 저서와 7권의 번역서, 그리고 7권의 책임편집 및 공저를 저술했으며,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세기 후반기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신학 논쟁의 뜨거운 주제로 다루어지는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이란 용어는 제임스 던이 1983년의 강연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새 관점’은 샌더스의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1977)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톰 라이트가 새 관점을 보여주는 많은 저서를 내놓고 있다. 이들의 새 관점은 칭의론을 중심으로 유대적 관점에서 바울의 사상을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이들이 하나의 통일된 새 관점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에는 이들의 관점 외에도 묵시적 관점, 참여적 관점 등 다른 여러 새로운 관점이 있다. 이 여러 관점은 모두 전통적인 관점과 구별된다는 점에서 새 관점이라는 범주 안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샌더스, 제임스 던, 톰 라이트, 존 바클레이, 그리고 묵시적 종말론의 관점을 차례대로 살펴보고, 결론으로 이들 각각의 공헌과 문제점에 대해 정당하게 평가하고자 한다.


로마서는 바울 서신 가운데서도 가장 특별한 서신으로 평가받는다. 왜냐하면 바울의 신학이 이 편지 안에 가장 구체적이며 체계적으로 소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마르틴 루터와 같은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적 사고가 로마서에 깊은 영향을 받았음이 알려지면서 로마서는 개신교회 신학의 뼈대를 형성하는 책으로 평가받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로마서 1:17에 대한 루터의 해석이다. 루터는 1545년 출판한 자신의 라틴어 작품 서문에서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롬 1:17)라는 말씀의 의미를 깨닫게 된 것을 “…성서 전체가 내게 새로운 빛 아래 조명되었다.”라고 표현한다.


톰 라이트는 바울이 전하는 로마서 전체 논의에서 9-11장은 핵심 부분이며, 9-11장에서 암시하는 주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 관계라고 보고 있다. 로마서 10:1-21 본문의 주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언약 갱신과 언약의 재정의이다. 라이트는 이 세상의 진정한 주이신 예수 안에서 일어난 언약 갱신이 바로 신명기 30장이 말하는 갱신이라고 주장한다. 그 언약 갱신의 핵심에 ‘믿음’이 자리 잡고 있다. 즉 예수를 믿는 믿음,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믿음, 이를 통해서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게 될 그 ‘믿음’이다. 메시아 안에서 일어난 언약 갱신을 통해서 얻게 된 것이 바로 ‘구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