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112159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제1장 바울에 관한 오늘날의 새 관점들 _윤철호
1. 서론
2. 바울에 관한 루터교의 전통적 관점: 스티븐 웨스터홀름
3. E. P. 샌더스
4. 제임스 D. G. 던
5. N. T. 라이트
6. 존 바클레이
7. 묵시적 종말론의 관점
8. 평가 및 결론
제2장 로마서를 읽는 세 가지 관점 _천세종
1. 간략한 로마서 서론
2. 로마서를 읽는 세 가지 관점
2부
제1장 의인과 믿음 _하경택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16-17)
제2장 자연신학의 가능성 _김선종
본문 해설: 옛 관점과 새 관점
설교 본문: 하나님을 알 만한 것(롬 1:18-23)
제3장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 이유 _정재상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1-7, 16-17, 28-32)
제4장 은밀한 것을 심판하는 그날 _김디모데
본문 해설: 새 관점
설교 본문(롬 2:12-16)
제5장 최후 심판의 정죄냐, 이신칭의의 축복이냐 _전근호
본문 해설: 전통적 관점, 새 관점, 종말론적 관점에 따른 통전적 이해
설교 본문(롬 3:9-31)
제6장 복음의 세 초점 _윤철호
본문 해설: 새 관점 설교 본문(롬 4:17-25)
제7장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았으니 _박형국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5:1-21)
제8장 누구의 종으로 사시렵니까 _안윤기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6:20-22)
제9장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_안유경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7:1-13)
제10장 생명의 성령 _김상윤
본문 해설: 노모스에 대한 세 관점의 해석을 중심으로
설교 본문(롬 8:1-11)
제11장 고난 중의 탄식과 소망 _김상윤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8:18-27)
제12장 동족 유대인의 구원 _김선종
본문 해설: 옛 관점과 새 관점
설교 본문: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롬 9:19-29)
제13장 우리가 전파하는 믿음의 말씀_ 김혜자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0:1-17)
제14장 하나님의 윈윈 게임 _김명윤
본문 해설: 더글라스 무의 관점을 기본으로
설교 본문(롬 11:11-36)
제15장 은혜와 응답 _윤철호
본문 해설: 옛 관점과 새 관점
설교 본문(롬 12:1-2)
제16장 예수로 물들다 _김필균
본문 해설: 새 관점
설교 본문(롬 13:11-14)
제17장 우리가 소망해야 할 하나님의 나라 _하경택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4:17-18)
제18장 복음의 삼자 관계 _정재상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5:5-7, 14-16, 22-29)
제19장 문안하라 _전경보
본문 해설
설교 본문(롬 16:1-27)
저자소개
책속에서
20세기 후반기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신학 논쟁의 뜨거운 주제로 다루어지는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이란 용어는 제임스 던이 1983년의 강연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새 관점’은 샌더스의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1977)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톰 라이트가 새 관점을 보여주는 많은 저서를 내놓고 있다. 이들의 새 관점은 칭의론을 중심으로 유대적 관점에서 바울의 사상을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이들이 하나의 통일된 새 관점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에는 이들의 관점 외에도 묵시적 관점, 참여적 관점 등 다른 여러 새로운 관점이 있다. 이 여러 관점은 모두 전통적인 관점과 구별된다는 점에서 새 관점이라는 범주 안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샌더스, 제임스 던, 톰 라이트, 존 바클레이, 그리고 묵시적 종말론의 관점을 차례대로 살펴보고, 결론으로 이들 각각의 공헌과 문제점에 대해 정당하게 평가하고자 한다.
로마서는 바울 서신 가운데서도 가장 특별한 서신으로 평가받는다. 왜냐하면 바울의 신학이 이 편지 안에 가장 구체적이며 체계적으로 소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마르틴 루터와 같은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적 사고가 로마서에 깊은 영향을 받았음이 알려지면서 로마서는 개신교회 신학의 뼈대를 형성하는 책으로 평가받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로마서 1:17에 대한 루터의 해석이다. 루터는 1545년 출판한 자신의 라틴어 작품 서문에서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롬 1:17)라는 말씀의 의미를 깨닫게 된 것을 “…성서 전체가 내게 새로운 빛 아래 조명되었다.”라고 표현한다.
톰 라이트는 바울이 전하는 로마서 전체 논의에서 9-11장은 핵심 부분이며, 9-11장에서 암시하는 주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 관계라고 보고 있다. 로마서 10:1-21 본문의 주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언약 갱신과 언약의 재정의이다. 라이트는 이 세상의 진정한 주이신 예수 안에서 일어난 언약 갱신이 바로 신명기 30장이 말하는 갱신이라고 주장한다. 그 언약 갱신의 핵심에 ‘믿음’이 자리 잡고 있다. 즉 예수를 믿는 믿음,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믿음, 이를 통해서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게 될 그 ‘믿음’이다. 메시아 안에서 일어난 언약 갱신을 통해서 얻게 된 것이 바로 ‘구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