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5211892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7-05-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장: 근대성, 아시아, 그리고 의료인류학
1. 질문으로서의 근대성과 세 가지 역설
2. 질문으로서의 아시아와 재현의 문제
3. 방법으로서의 의료인류학
4. 아시아의 근대성을 바라보는 여섯 개의 창: 각 장의 개요
제2장 동아시아의학, 동아시아 근대성을 읽는 창
1. 들어가며: 광저우중의약대학으로 가는 길
2. 현지에서 걷기
3. 인류학, 미시적 현상에 체화된 것들에 대한 현지에서의 독해
4. 근대성과 동아시아의학의 존재 방식
5. 중국의 중의학과 한국의 한의학: 진료 차트, 표준화, 그리고 다양성
6. 일본의 캄포의학과 한국의 한의학: 처방 매뉴얼과 작방
7. 나오며: 동아시아 근대성에 대한 고찰
제3장 중국 근대화와 사회적 고통: 개혁시기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사례
1. 들어가며: 근대화와 사회적 고통
2. 중국 농촌의 여성 자살과 정신 보건 정책: 국제화, 의료화, 타자화
3. 봉건사상과 가정폭력의 희생자인 농촌 여성: 근대화와 전통의 발명
4. 정신 문명 건설 운동과 새로운 여성 주체의 형성: 소질 교육과 심리 건강 담론
5. 나오며: 중국 사회주의 근대화의 성격 변화와 사회적 고통의 문제
제4장 경계에서 낳다: 태국 샨 이주 여성의 출산 경험과 출생등록의 정치학
1. 들어가며: 근대성의 발현으로서 ‘국가/없음’과 관료제적 문서화
2. 합법과 불법 사이에서: 초국적 이주 노동과 샨 이주민의 복수적 정체성
3. 산전 검사와 샨 이주 여성의 행위 주체성
4. 공공 의료 체계와 국가의 대리자로서의 간호사
5. 출생등록증의 힘과 슬픔
6. 문턱에 놓인 삶
7. 나오며: 생명권력과 (비)시민권의 정치
제5장 유령 고령자 사건과 한여름 밤의 시취(屍臭): 일본의 근대화와 노인 복지 체제의 모순
1. 들어가며: 사라진 고령자들
2. 일본식 근대화의 전개 과정을 통해 본 노인 복지 체제의 성립 과정
3. ‘문제 가족’을 색출하려는 정부, 그리고 새로운 소문들
4. 나오며: 현대 일본 사회에서 ‘노인 문제’
제6장 공순이에서 콜순이로: 여성 노동자의 몸을 통해 본 한국의 근대
1. 들어가며: 근대의 기억, 그리고 여성 노동자
2. 구로 공단 노동자 생활 체험관: 수출되는 한국의 산업 근대화
3. 각성된 여공의 몸, ‘타이밍 중독’
4. 여공과 산업 재해: “너는 병들지 말고 건강히 일해”
5. 구로에서 G밸리까지: 그 변화의 숨은 의미
6. 고객과의 전쟁: ‘탈진’되고 ‘오염’된 여성 상담사의 몸
7. 관리자와의 전쟁: 통제된 디지털 여공의 몸
8. 동료 간의 전쟁: 짐승 탈을 쓴 ‘사람’에서 사람 탈을 쓴 ‘짐승’으로
9. 나오며: 여전히 절실한 디지털 여공의 삶
제7장 국제 보건의 시간: 에티오피아에서 상상된 아시아의 근대화
1. 들어가며: 국제 보건과 ‘시간’
2. 제국의 시간(1890년대-1974년): 일본과 한국전쟁
3. 혁명의 시간(1974-1991년): 중국과 강제마을화
4. 개발의 시간(1991년-현재): 한국의 가족계획과 새마을운동
5. 나오며: 국제 보건의 시간 정치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책속에서
중국의 중의학의 표준화에 대한 지향은 한국의 개별 한의원에서 관찰되는 다양성에 대비된다. 중국에서 표준화가 추진된다고 해서 다양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은 물론 아니다. 중의사들마다 선호하는 치료법이 있을 것이며, 많이 처방하는 약재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회주의 정부 주도의 강력한 표준화의 힘은 중국 중의학의 다양성을 옅게 만드는 데 충분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소질’ 교육은 농촌 여성의 심리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었지만, 동시에 농촌 여성들에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여성의 역할 및 여성성이 무엇인가를 가르치고 각자가 자발적으로 그것을 양성하기를 독려하는 효과를 생성하였다. 또한 자살에 관한 정신의학적 접근법의 유포는 궁극적으로 자살이 국가나 공동체가 책임져야 할 사회적이거나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며, 자살 위험에 처한 농촌 여성들의 개인적인 문제로서 의료적 치료를 통해 해결해야 하는 것이라는 개념적 전환을 이끌었다.
매오가 이야기한 것처럼 샨 이주 여성에게 산전 검사가 중요한 것은 이 과정의 끝에 출산증명서가 있기 때문이다. 매오의 길고 피곤한 여정들은 산모 수첩의 방문 기록표에 빠짐없이 적혀 있다. 구체적인 몸의 변화들, 체중의 변화, 혈액 검사 및 소변 검사의 결과, 초음파 기록들이 산모 수첩에 빼곡히 모아질 때,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의료적 처지에 대한 연속적 기록들이 더 큰 문서적 관료제 체계와의 연관 속에서 존재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