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 ISBN : 978895586838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2-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말
1장 칸트와 하이데거
1. 하이데거의 칸트 해석 배경
2. 하이데거 해석의 폭력성?
3. 『비판』의 현상학적 해석
4. 『비판』과 ‘칸트책’의 구성
5. 이 책의 구성 및 진행
2장 칸트책 읽기
제1편 형이상학 정초의 단초
제2편 형이상학 정초의 실행
A. 형이상학 정초 실행을 위한 소급 차원의 규명
B. 존재론의 내적 가능성 구상을 실행하는 다섯 단계
정초 1단계 순수인식의 본질요소들
정초 2단계 순수인식의 본질 통일성
정초 3단계 존재론적 종합의 본질 통일성의 내적 가능성
정초 4단계 존재론적 인식의 내적 가능성의 근거
정초 5단계 존재론적 인식의 완전한 본질 규정
제3편 형이상학 정초의 근원
A. 정초된 근거 특징짓기
B. 두 줄기의 뿌리로서 초월론적 상상력
C. 초월론적 상상력과 인간적 순수이성의 문제
제4편 형이상학 정초의 반복
A. 인간학에서 형이상학 정초
B. 인간 유한성의 문제와 현존재의 형이상학
C. 기초존재론으로서 현존재의 형이상학
3장 하이데거와 칸트
1. 해석의 폭력성 재고
2. 칸트와 하이데거, ‘칸트책’과 『존재와 시간』의 거리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이데거는 이러한 작업이 ‘존재이해’와 더불어 실존하는 존재자인 현존재의 존재 구성틀을 분석하는 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무렵 그는 자신의 철학적 기획, 곧 기초존재론을 현존재의 존재 구성틀을 분석함으로써 형이상학을 정초하는 작업으로 이해했다. 『존재와 시간』도 그런 작업의 일환이었다. 그리고 『비판』에도 동일한 작업의 선구적 형태가 엿보였다. 그런 맥락에서 하이데거는 ‘칸트책’의 서두에 “순수이성비판을 형이상학의 정초로 해석함으로써 기초존재론의 이념을 해설함”(KPM, 5)이라는 제목을 달아 두었다.
하이데거는 칸트의 형이상학 정초란 전인미답의 영역으로 침투하는 시도와 같다고 평한다. 이처럼 무언가를 최초로 감행하는 “창조적 개시”(KPM, 19)는 부득이하게도 미리부터 어떤 절차를 따라 탐구를 진행할지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운 다음 실행을 착수하는 식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오히려 차근차근 파고들어 가면서 스스로 길을 개척하는 수밖에 없다. 하이데거는 칸트의 작업이 실로 그러한 작업이었다고 본다.
하이데거는 일반형이상학을 정초하는 맥락에서 칸트가 초월론적 논리학에 우위를 부여하는 데는 나름 정당한 면이 있음을 인정한다. 칸트는 사고의 본질이 직관에 봉사하는 데 있음을 파악하고서 사고가 어떻게 직관에 연관될 수 있는가를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칸트가 제기했던 물음은 ‘어떻게 순수사고가 순수직관과 내적으로 연관되는가’이다. 『비판』에서 초월론적 논리학이 거의 모든 지면을 차지하고 거의 모든 문제를 다루는 이유는, 칸트가 일차적으로 문제의 초점을 사고와 이성의 유한성에 놓고 그로부터 직관과의 연관성을 해명하려고 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