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자를 살려야 중국이 산다

공자를 살려야 중국이 산다

이익희, 지세화, 전병곤, 임대근 (지은이)
일빛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2개 1,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자를 살려야 중국이 산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자를 살려야 중국이 산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56450148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03-03-05

책 소개

중국을 이해하는 다섯 가지 키워드인 문학, 역사, 철학, 정치.경제, 문화를 통해 중국 전체를 개괄할 수 있는 책으로, 다섯 가지 분야의 역사적 흐름과 개황을 서술하고 뒤이어 좀더 자세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들을 다시 뽑아 토픽 형식으로 서술하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했다.

목차

문학
중국 문학의 기원 - 선진
문학과 정치의 결합 - 진, 한
문학의 예술성 - 위진 남북조
지식인 문학의 황금기 - 수, 당, 오대
민간 문학의 등장 - 송
민간 문학의 황금기 - 원, 명
고대 문학과 근대 문학의 교체 - 청
이데올로기와의 충돌 - 근현대 문학

북쪽의 노래, 남쪽의 노래 - <시경>과 '초사'
중국인의 글쓰기와 문학 - 제자백가의 입언
죽어도 사실을 기록한다 - 역사 산문
나 돌아가리, 낙원은 어드매뇨 - 도연명과 육조 시가
이야기에 담긴 중국인의 희로애락
노래에 담긴 중국의 여인들 - <목란사>, <공작동남비>
술, 꽃, 달 그리고 시 - 당 근체시
문학과 정치의 만남 - 당나라 때의 고문 운동
중국인이 술집에서 즐긴 가요 - 송나라의 사(詞)
적벽에 배 띄우고 노세나 - 소식과 송나라의 산문
중국의 오페라 - 원 명의 희곡
중국 근 현대 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랑은 죽음보다 위대하다 - 현대 중국 시인들
노벨 문학상에 빛나다 - 가오싱젠과 그의 문학 세계

역사
중국의 원시인과 원시 문화
중국인의 조상 - 삼황오제
중국 최초의 왕조 - 하
갑골문과 함께 시작된 중국의 역사 - 상
이상적인 국가 - 서주
약육강식 백가쟁명의 시대 - 춘추 전국
최초의 통일 국가 - 진
중국의 정체성을 확립한 나라 - 한
이민족 등장의 본격화 - 위진 남북조
남북의 재통일 - 수
찬란한 문화의 만개 - 당
시민 사회의 성숙 - 송
이민족의 나라 - 원
다시 찾은 한족의 통치 - 명
중국의 마지막 왕조 - 청
치욕의 역사 - 아편 전쟁
최대의 농민 운동 - 태평천국의 난
양무 운동과 청일 전쟁
근대 정치의 시작 - 변법자강 운동과 100일 천하
제국주의에 맞서다 - 의화단 운동
새로운 세기의 혁명 - 신해혁명
민주와 과학의 함성 - 5 4운동
좌절된 혁명 정부 - 제1차 국공합작과 북벌 전쟁
소비에트 혁명의 진전 - 제2차 국내 혁명과 대장정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 중일 전쟁, 제3차 국내 혁명 전쟁
암흑의 세월과 개혁개방 - 중화인민공화국 50년

중국과 중국인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춘추오패와 전국칠웅의 쟁패
진시황, 폭군인가? 위대한 정치가인가?
서역의 길이 열리다
물질적 사치에서 정신적 사치로
미인과 환관 그리고 간신
세계를 떨게 하다 - 황화(黃禍)
환관의 세상이 오다
무역 역조가 부른 전쟁 - 아편 전쟁
새로운 세기의 새로운 혁명 - 신해혁명
광란의 군중 운동 - 문화대혁명
민주화의 열망 - 텐안먼 민주화 운동

철학
중국 철학의 특징과 변천
중국 철학의 원천 - 선진
선진 철학의 변질 - 진, 한
현학의 시대 - 위진 남북조
불교와 유가의 쟁투 - 수 당
이학과 심학의 세상 - 송, 원, 명, 청
전통과 현대의 갈림길 - 근대

음양오행설은 중국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궁하면 통한다는 중국인의 인생관
중국인의 사랑법 - 공자의 인과 묵자의 겸애
도란 무엇인가? - 노자의 도
중국인은 인간을 어떻게 볼까? -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법, 술, 세로 천하를 갖는다 - 한비자 법가 사상
행복에 이르는 방법 - 장자의 초월 의식
지도자는 과연 하늘이 내린 사람인가? - 동중서의 천인감응설
난세에 중국 지식인들이 살아가는 법 - 청담과 현학
달마는 중국에서 무엇이 되었을까? - 불교 문화의 유입과 발전
대나무를 보며 도를 얻는다 - 이학의 격물치지론
마음밖에 아무 것도 없는 중국인 - 심학의 심외무물론5
천하의 흥망은 필부에게 책임이 있다 - 실학의 천하 흥망, 필부유책론
중국과 서양은 어떻게 만날까? - 중체서용론

정치 경제
중국을 상징하는 것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중국화 - 국가 이념
인치에서 법치로 - 중국의 정치 체제
자력 갱생에서 개혁개방의 길로 - 중국 경제
이념에서 실리로, 중국의 대외 관계

공자를 살려야 중국이 산다
중국식 사회주의에서 중국식 자본주의로?
이념인가, 현실인가? - 사상 해방
마오쩌둥 향수340
작은 거인 덩샤오핑
사회주의 시장경제란 무엇인가?
획일화에서 다원화의 시대로
중국판 서부 개척 시대 - 서부 대개발
세계의 공장 중국
아시아를 넘어 세계의 맹주로
세계 최대의 당 중국공산당
제3세대에서 제4세대로
인치에서 법치를 향해 - 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은 통합될 것인가?
새로운 중화 질서를 향하여

문화
컬처에서 문화까지 - '문화'의 뜻
크고 복잡하고 다양한 나라 - 중국의 이모저모
때로는 순박하게, 때로는 영악하게 - 중국인의 기질
정신과 물질의 사이에서 - 사회주의 안에서 꽃피운 중국 문화

중국 음식, 다 먹지 말고 조금 남기세요.
술 없는 세상, 살 맛이 날까?
만병통치의 신약인가, 갈증 해소의 음료수인가?
사합원(四合院), 그 금기와 상징의 집
치파오에 담긴 뜻
명절은 시끄러워야 제 맛이다
보기 싫은 연인들에게는 배를 선물하세요.
중국 사람들의 섹스, 쾌락과 장수의 비결
선생님, 안마 받으시겠어요?
글씨와 그림, 거기에 시 한 수 곁들이노라면……
남자도 여자가 될 수 있다 - 베이징 오페라
고민에 빠진 중국 영화
중국의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사람들
대륙에 몰아치는 한국 바람
또 다른 중국인들의 삶과 문화

저자소개

이익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을 전공했다. 서강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숭실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연수평가원 중국어과 주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 권으로 읽는 중국』(공저), 『중국 현실주의 문학론』(공저) 등이 있으며, 『마왕퇴의 귀부인』, 『중국 지리 오디세이』, 『중국 문학 비평사』등 20여 편의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지세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평택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 및 옮긴 책으로 <중국문학비평사>,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한 권으로 읽는 중국>, <이야기 중국문학사> 등이 있다.
펼치기
전병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제관계학과에서 중국정치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톡릭대학교 중국연수센타 전임연구원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책으로는 <지역학의 현황과 과제>(1996)(공저)이, 옮긴책으로는 <반조류의 중국>(2001)(공역)이 있다.
펼치기
임대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