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5862446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6-03-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_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선사 문화
1부_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1장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황허 유역과 중앙아시아에서 국가가 성립하다
2. 만주·한반도와 일본 열도에서 국가가 성립하다
3. 동북아시아가 정치적으로 연결되다
4. 동남아시아에서 국가가 성립하다
- [동아시아 인물찾기] 정략에 의해 이역만리로 보내진 공주들
- [동아시아 역사공간] 중국의 울타리, 만리장성
2장 인구 이동과 문화 교류
1. 3~7세기 동북아시아에서 인구 대이동이 일어나다
2. 오아시스 길을 따라 동아시아 문화가 흘러가다
3. 바닷길을 따라 동남아시아에서 교류가 이루어지다
- [동아시아 인물찾기] 파미르 고원을 넘어 중앙아시아를 호령한 고선지 장군
- [동아시아 역사공간]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공존했던 오아시스 도시, 둔황
3장 왕권을 떠받치는 두 힘, 율령과 종교
1. 군주를 부모처럼 섬기라고 가르친 유교
2. 율령으로 왕권을 옹호하고 백성을 다스리다
3. 중생의 해탈을 추구한 대승 불교
- [동아시아 인물찾기] 불교의 성인이 된 왕자, 쇼토쿠 태자
- [동아시아 역사공간] 사일렌드라 왕조의 영광을 간직한 인도네시아의 불교 사원들
2부 연결되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1장 세계 제국 몽골과 동아시아
1. 유목 국가가 ‘중원’을 차지하다
2. 몽골족이 세계 제국을 건설하다
3. 몽골 제국과 주변 세계가 영향을 주고받다
4. 몽골 제국이 문화 교류의 통로가 되다
- [동아시아 인물찾기] 라시드웃딘, 최초의 세계사 《집사》를 쓰다
- [동아시아 역사공간] 중국의 왕도 변천사
2장 동아시아의 새로운 지배세력과 통치이념
1. 동아시아에서는 어떻게 관리를 뽑았을까
2.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다
3. 상좌 불교와 이슬람교가 새로운 통치이념으로 등장하다
- [동아시아 인물찾기] 유학자가 된 무사, 아라이 하쿠세키
- [동아시아 역사공간] 100만 마리 코끼리의 나라, 란쌍 왕국
3장 전쟁과 교역의 시대, 16~17세기 동아시아
1.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새롭게 관계를 맺다
2. 전쟁으로 동북아시아 정치가 요동치다
3. 교역의 확대로 동남아시아 정치가 바뀌다
- [동아시아 인물찾기] 전쟁을 초래한 갑질의 달인, 모문룡
- [동아시아 역사공간] 교역의 시대, 브루나이 왕국과 필리핀 제도
4장 동아시아의 경제 교류와 기술 교류
1. 동북아시아에서 경제 교류가 전개되다
2. 동남아시아에서 경제 교류가 활발해지다
3. 동남아시아에서 군사 기술 교류가 활발해지다
- [동아시아 인물찾기] 타이완 독립의 상징, 정성공
- [동아시아 역사공간] 중계 무역이 빚어낸 흥망사, 류큐 왕국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