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59060214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06-01-23
책 소개
목차
1장 방송 문화
사람들은 왜 <내 이름은 김삼순>에 열광했나
교정적 리얼리즘이란 무엇인가
TV 드라마 제작, 왜 말이 많나
한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인디 문화란 무엇인가
2장 영화.연예 문화
왜 스타파워가 문제가 되는가
연예 저널리즘, 무엇이 문제인가
영화 산업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대중문화와 광고는 어떻게 결합하나
애 온라인 음악 갈등이 치열한가
사람들은 왜 판타지에 열광하는가
3장 인터넷 문화
블로그를 어떻게 볼 것인가
댓글 저널리즘을 어떻게 볼 것인가
포털 저널리즘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인터넷은 커뮤니케이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사람들은 왜 온라인 게임에 미치는가
4장 디지털 기술.산업
인터넷 강국론을 어떻게 볼 것인가
검색 전쟁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MP3 산업은 어떻게 경쟁하나
디지털 격차란 무엇인가
유비쿼터스란 무엇인가
5장 휴대전화 문화
사람들은 왜 휴대 전화에 미치는가
사람들은 왜 문자 메시지에 열광하나
카메라폰은 세상을 어떻게 바꾸나
디지털 치매란 무엇인가
DMB란 무엇인가
6장 생활.소비.일상 문화
사람들은 왜 인정투쟁에 빠져드나
왜 삶과 이념은 별거했나
백화점, 할인점, 편의점은 어떻게 경쟁하나
왜 삼국지 열풍인가
식탐 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사람들은 왜 이종격투기에 열광하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왜 삶과 이념은 별거했나
"얼마 전 한 언론에 디시인사이드의 중국 진출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이 기사가 디시인사이드 내에 게시물로 올라오자 한 이용자가 '유식이가 돈독이 올랐군'이라는 리플을 달아놓았다. 좀 씁쓸했다."
디시인사이드 대표 김유식의 토로다. (중략)이 문제는 좀더 깊이 있는 분석을 필요로 한다. 다시인사이드 중국 진출에 격려를 보내기보다는 그것을 '돈독'으로 해석하는 심리의 저변에 반(反)기업 정서나 시기심보다는 '삶과 이념의 괴리'를 당연시하는 이중성이 작용했을 법하다. 디시인사이드가 보여준 진보성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공적 영역을 행해선 '이념'을, 사적영역에선 '삶'을 절대적으로 우선시하다 보면, '돈'은 늘 은밀하게 다뤄야 할 그 무엇이 된다. 디시인사이드의 죄는 그걸 은밀하게 다룰 수 없었다는 데 있는 건지도 모른다.
한국인의 '삶과 이념의 별거'는 그 양상이나 이유 모두 대단히 복잡하다. 한국인 자신도 잘 모른다. 그래서 한국인의 겉모습만 보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노무현 정권 사람들도 그런 경우다. 이들은 대통령 선거, 탄핵 사태, 4.15 총선에 나타난 민심을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했다. 자기들이 갖고 있는 이념, 기질, 행태에 지지를 보내준 것으로 생각했다는 것이다. 엄청난 착각이었다.
개혁, 진보파 중에서도 신문만큼은 보수신문을 구독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이거야말로 한국인의 '삶과 이념의 별거'를 말해주는 드라마틱한 증거지만, 이건 사소한 경우라고 말해도 좋을 정도로 굵직한 증거들이 우리 주변에 숱하게 널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