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59062362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3-06-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왜 한국은 대중문화 공화국인가
1장 대중문화 이론과 논쟁
대중문화는 문화적인 병균인가
왜 로큰롤을 시궁창 문화라고 하는가
매스 컬처와 파퓰러 컬처는 어떻게 다른가
왜 부르디외는 취향은 계급이라고 하나
왜 코카콜라 그림 한 장이 390억 원에 팔렸을까
2장 스타 시스템의 승자독식주의
왜 스타는 연예 산업의 보험증서가 되었는가
스타 숭배는 종교적 현상인가
한국 영화는 스타만 배불리는가
왜 PD는 쓸개가 없어야 성공할 수 있나
왜 연예 저널리즘은 하이에나가 되어가나
3장 텔레비전의 문법
피 튀기는 시청률 전쟁은 문화적 민주주의인가
왜 텔레비전 시청자의 평균 연령을 13세에 맞추는가
리모컨은 텔레비전을 어떻게 바꾸었나
왜 홈쇼핑은 고독 산업인가
텔레비전은 현실을 반영할 뿐, 교정의 책임은 없나
4장 텔레비전 드라마와 예능
왜 한국은 드라마 공화국이 되었는가
왜 대중은 리얼리티 쇼에 열광하나
왜 예능이 대중문화를 지배하는가
왜 텔레비전 자막이 홍수 사태인가
5장 디지털 시대의 고독과 생존
왜 우리는 공백을 증오하는가
SNS의 인기는 노출증과 관음증 때문인가
한국인에겐 게임 유전자가 따로 있는가
왜 우리는 웹툰에 빠져드는가
6장 영화와 동영상 문화
왜 영화는 도박 산업이 되었나
왜 1,000만 신드롬이 자주 나타날까
작가주의가 프랑스 영화를 죽였나
유튜브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나
7장 대중문화의 세계화
왜 미국 대중문화는 세계를 휩쓰나
왜 대중문화는 청춘이 독재하는가
왜 한국은 키치의 제국인가
한류를 만든 10대 요인은 무엇인가
8장 대중가요의 문법
가수는 무엇으로 살아야 하나
어떻게 MTV 혁명은 케이팝 열풍으로 바뀌었나
왜 대중가요는 늘 사랑 타령인가
인디 예술은 잠수함 속의 토끼인가
9장 엔터테인먼트의 힘
사람을 지루하게 만드는 건 죄악인가
엔터테인먼트가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렸는가
왜 스토리텔링이 흘러넘치는가
왜 우리는 쇼핑몰에 열광하는가
10장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문법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왜 야구는 핫 미디어이고 축구는 쿨 미디어인가
왜 비빔밥 정신이 시대적 대세인가
왜 디지털화될수록 아날로그를 찾게 되나
11장 대중문화로서의 광고
광고는 어떻게 평등 의식을 촉진하나
광고는 대중문화를 어떻게 지배하나
간접광고는 드라마를 어떻게 바꾸나
왜 한국은 간판 공화국이 되었나
12장 소비문화와 대중문화의 결합
왜 브랜드는 종교가 되었나
왜 비쌀수록 명품 로고는 더 작아질까
프로슈머는 대기업의 이윤 창출을 위한 용병인가
왜“주문하신 커피 나오셨습니다”라고 말할까
13장 대중문화로서의 저널리즘과 여론
선정주의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왜 여론조사는 엔터테인먼트인가
인터넷 검색 순위는 시대정신을 말해주는가
어느 악플 폐인은 왜 자살했을까
용어 사전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물론 대중문화에도 그런 서구 지향성이 있지만, 비교적 쌍방향 관계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중문화도 처음엔 서양에서 수입되었을망정 현지화 과정을 거쳐 다시 태어나거나 더욱 발전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한류가 그 점을 잘 보여준다. 로큰롤을 비롯한 대중문화를 시궁창 문화라고 비판하거나, 역으로 고급문화를 속물적.위선적이라고 비판할 필요가 있을까? 각자 취향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평화롭게 공존하는 동시에 서로 배울 건 배우는 게 좋지 않을까?”
- 「1장 대중문화 이론과 논쟁」
“어떤 이유에서든 현실이 못마땅할 때에 현실을 도피하고자 하는 욕구는 반드시 나쁜 것만도 아니다. 문제는 그러한 욕구를 어떻게 보다 나은 여가 활동으로 유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기성세대가 그러한 여가 활동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은 채 스타에 집착하는 청소년을 아무리 꾸짖어봐야 소용없다. 이젠 팬덤에 대한 따뜻한 공론화가 필요하다.”
- 「2장 스타 시스템의 승자독식주의」
“방송사들이 시청률이 높지 않음에도 골프 관련 프로그램을 많이 내보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방송 비평가 레스 브라운은 방송사, 광고 대행사, 광고주 기업의 간부들이 골프를 좋아하기 때문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한국도 다르지 않다. 아니 더 심하다. 방송사들은 일반 대중이 미국에서 활약하는 한국 골프 선수들의 성적에 큰 관심을 보이는 ‘골프 민족주의’를 이용해 당당한 자세로 골프를 과잉 우대하고 있다.”
- 「3장 텔레비전의 문법」